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18:13:36

압슬

파일:압슬.jpg

1. 개요2. 시행 형태
2.1. 한국2.2. 중국2.3. 일본2.4. 서양
3. 압슬이 표현된 콘텐츠

1. 개요

압슬()은 죄인의 바지를 벗겨 바닥에 꿇어앉힌 상태에서 무릎과 허벅지 위에 벽돌이나 무거운 물체를 올리거나 널판지를 깔고 그 위에 사람이 올라타서 압박을 가하는 형벌이다.

당하는 사람은 큰 고통이 지속하여 가해지는데다 도구를 이용하면 집행자가 계속 힘을 쓸 필요도 없기 때문에 편리하면서 자백도 잘 받아낼 수 있는 훌륭한 고문법으로 쓰였다.[1] 한국이나 일본 기록을 보면 "맞아도 자백하지 않던 놈이 압슬을 하니까 자백하였다."는 기록이 적잖다.

문제는 후술되었듯 워낙 고통이 큰 고문법이다 보니 시행하는 도중 죄인이 부상 및 극한의 고통에 의한 쇼크로 죽어버릴 확률도 높았고, 설령 살아도 무릎 관절과 다리뼈가 완전히 으스러져 박살나서 남은 평생동안 걷는 것은 고사하고 자력으로 일어설 수조차 없게 될 수 있었다. 이러면 신체 활동을 할 수 없으니, 전근대 사회에서 경제적으로는 이미 살아도 산 것이 아니게 된다. 또한 유교 사회에서 다리가 완전히 불구가 되면 제사에서 절을 할 수가 없고, 조상에게 효도를 할 수도 없으며 제사를 못 지내니 상속도 받을 수 없었기에 그대로 폐인이 되는 혹독한 형벌이었다.

2. 시행 형태

2.1. 한국

고려 말부터 시행된 기록이 있으며 도자기 조각, 유리조각이나 사금파리가 널브러진 바닥 위로 죄인의 무릎 오금 사이에 굵은 나뭇가지나 기와 조각을 넣고 꿇어앉힌 뒤에 무릎 위에 널판지를 깔고 그 위에 사람이 올라타서 뛰거나 밟는 형식으로 실시되었다. 조선 태종 연간에 1차 시행에 2명이, 2차 시행에 4명이, 3차 시행에 6명이 올라타는 식으로 규정했는데 실제로 압슬은 기본 고문인 신장으로 정강이를 치는 형문을 여러 차례 집행한 이후에 시행하는 고문인 만큼 죄인이 대부분 2차 압슬까지 견디지 못하고 사망하기에 3차까지 시행한 사례는 드물다.

워낙에 잔인한 고문이었던 만큼 영조 연간에 낙형과 함께 폐지되어 형문만 합법적인 고문 방식으로 남았지만 그 시대가 다 그렇듯 비공식적으로는 자주 행해졌다. 이런 비공식적인 집행의 경우 당연히 위에 서술된 방법 그대로가 아닌 변형이 가해져서 시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면 무릎 밑에 추가로 사금파리 같은 이물질을 더 넣고 밟아버린다던가...

사극의 영향으로 조선 시대의 고문 하면 주리틀기부터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주리 틀기는 명에서 수입되어 온 비공식 고문법으로 조선 초기에는 아예 있지도 않았다. 압슬이 본래 영조 연간에 폐지되기 전까지 형문, 낙형과 더불어 조선 시대 추국에 사용되던 정식 고문이었다.

고문 중에서도 워낙 가혹하고 후유증이 심각했기에 조선에서는 압슬형의 적용 대상을 중죄인만으로 적용하였고, 어린 아이와 노인에게는 압슬을 가할 수 없도록 하였다. 그러나 모든 고문과 형벌이 그러하듯 형벌을 적용할 수 없는 대상에게 불법적으로 시행하는 일이 있었다. 기축옥사 당시 동인 강경파 이발(李潑)의 가족들이 연루되어 심문을 받을 때, 무려 이발의 여든 살 넘은 노모에게 장형, 열 살짜리 아들에게도 압슬을 시행하여 결국 노모와 아들 모두 고문을 받다 사망한 사건이 있었다.

영조 즉위 직후인 영조 1년(1725년), 압슬형의 참혹함을 실제로 참관한 영조가 공식적으로 압슬형을 폐지하였다.

2.2. 중국

문헌상으로는 북위 선무제 연간에 돌을 사용해 불법적인 고문을 가하는 사례가 많기에 이를 자제시키라는 상소가 올라온 기록이 있는 만큼 상당히 오래 전부터 계속되어온 고문으로 보인다.

2.3. 일본

이시다키(石抱き, '돌 끌어안기')라는 이름으로 시행했다. 빨래판같이 윗 부분이 뾰족한 각목을 여럿 합쳐놓은 판 위에 죄인을 꿇어앉힌 후 한 개당 약 45kg의 무게에 달하는 석판을 하나씩 올려놓는다. 석판은 5장부터 시작하는 게 기본이었고 심하면 10장이 넘어가는 경우도 있어 거의 500kg의 무게에 달하기에 당연히 여기에 눌린 무릎뿐만이 아니라 빨래판에 찍히며 으스러진 정강이도 시원하게 피떡이 되어 박살난다.[2]

2.4. 서양

서양에서도 비슷한 형이 있다. Peine forte et dure (Law French for "forceful and hard punishment") 라고 한다. 동양의 압슬형은 허벅지를 압박하는 형태지만 서양은 전신 특히 가슴을 압박하여 고문을 가했다. 죄인을 바닥에 눕히고 사지를 묶어 움직일 수 없게 하고 위에 문짝 같은 판을 얹고 그 위에 무거운 돌을 얹거나 사람이 올라타서 가슴을 압박해 숨을 쉴 수 없게 하거나 갈비뼈를 부숴 자백을 받아내는 형태. 대부분은 자백용 고문으로 행해졌지만 이 방식으로 사형을 집행한 예도 있다. 압사형이라고 부르는게 적절하다.

이런 사형의 예로는 유명한 것은 1586년 잉글랜드에서 성 마가렛 클리스로(St. Margaret Clitherow)의 처형. 잉글랜드 헨리 8세 치하에서 성공회(영국국교회)가 만들어지면서 가톨릭이 금지되었는데, 그녀는 여러 가톨릭 신부들을 숨겨주고 집에 신도들이 모여 비밀미사를 올렸다. 가톨릭 신부를 집에 숨겨주었다는 혐의를 받자 자백을 거부했지만 자식들이 고문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유죄를 인정하고 처형당했다. 치안관이 고용한 4명의 거지들이 대신 집행하였다. 날카로운 돌멩이들이 널린 돌밭에 눕히고 자기 집 대문 문짝을 떼어 몸 위에 덮고 그 위에 무거운 돌을 얹어 압사로 사망. 1970년에 로마가톨릭 교회에서 성공회 치하 잉글랜드의 로마가톨릭의 순교자이자 성녀로 시성되었다.

그 외 코끼리나 말의 체중으로 밟아 죽이는 형태도 있고 베트남이나 몽골에서도 자주 행해졌다고 한다.

3. 압슬이 표현된 콘텐츠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사극, 심지어 그 이전 시대를 다루는 사극에서 주리틀기가 남발되는 관계로 압슬형의 경우 실제로 조선 시대에 정식으로 집행된 고문 방법임에도 표현되는 매체가 극히 드물다. 주리틀기야 워낙 많이 알려진 데다 연기와 화면 조정을 통해 보정하는 게 가능하지만 압슬은 시행 과정에서의 실수로 인해 진짜 다리가 눌리는 경우 배우 몸이 완전 망가지는 불상사가 터질 가능성이 있어서 보여주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도 여러 국문 장면에서 나오기는 한다. 문제는 압슬이 말 그대로 사람을 죽거나 불구로 만드는 형벌인데, 국문에서 압슬을 당한 사람들이 그 다음에 멀쩡하게 움직이는 묘사가 많다.
  • 란마 1/2 - 쿠노 타테와키의 아버지인 풍림관고교 교장이 첫 등장 할 때 야자의 위치를 말하지 않자 그대로 압슬형을 당한다.
  • 용의 눈물 - 의외로 모르는 사람이 많지만 용의 눈물에도 압슬이 나온 적이 있었다. 146회에서 태종원경왕후 민씨의 동생 민무회, 민무휼을 고문할 때 이 방식을 사용했는데, 압슬형을 가하라는 대사가 분명히 나오지만 흔히 알려진 것과는 방법이 좀 다르다. 우선 바닥에 깨진 기와 조각 같은 게 있는 것도 아니고, 무릎을 꿇린 것이 아니라 다리를 펴고 앉은 상태에서 무릎 위에 엄청나게 큰 돌을 얹는다. 여기까지 보면 별로 안 아플 것 같지만 압슬형이 가해지기 전에 이미 주리를 인정사정 없이 틀어 두 다리가 피범벅이 된 상태였다. 다 찢어져 피범벅이 된 다리 위에 집채만한 돌을 얹은 것. 그리곤 집행관 둘이 좌우에서 힘껏 잡아 누르며 나머지 한 명이 커다란 망치로 그 돌을 사정잆이 내려친다. 국문 장면이 많이 나오는 작품이지만 그중에서도 손에 꼽을만큼 잔인한 고문이다.
  • 명성황후 - 신철균을 고문하는 장면에서 압슬형이 나왔다. 대왕세종, 정도전, 징비록과 비슷한 방식으로 나왔다.
  • 장희빈 - 용의 눈물, 대왕 세종 등 두 방식을 모두 사용하지도 않고 죄인이 의자에 앉아있는 상태에서 집행관 한 명이 큰 돌을 잡고 죄인의 다리에 큰 돌을 여러번 세게 내려치는 장면으로 묘사되었다. 63회에서 폐비 민씨 복위 거사 관련자들을 문초할 때 한중혁에게 압슬형이 가해지는 장면이 묘사되었고, 마지막 회에서 장희재와 결탁한 민언량과 김태윤의 문초 장면에서도 압슬형을 가하는 장면이 묘사되었다.[3] 장희빈의 나인들을 고문할 때도 숙종이 압슬을 하라는 명을 내리지만 화면상에서 묘사되지 않고 실제로 형문까지는 버티다 압슬형은 못버티고 자복을 했던 숙정이 압슬형을 당하는 것도 삭제되었다.
  • 무인시대 - 오랑 : 고려, 조선 시대에 시행된 압슬 방식이 아닌 일본의 이시타키 집행 방식으로 표현되었다.
  • 불멸의 이순신 - 제법 압슬형이 나온다.
  • 대왕 세종 - 강상인이 압슬형을 당하는 장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여기서는 도자기 파편을 바닥에 깐 후 죄인에게 무릎을 꿇리면서 형리가 꾹 눌러 1차로 고문하고, 2차로 돌을 무릎에 올렸는데 돌의 길이가 짧아서 각 죄인당 형리 두 명이 양옆에서 돌을 꾹 눌러 고문했다. 그 과정에서 피가 적나라하게 흐른 건 덤.
  • 뿌리깊은 나무 - 역시 강상인이 압슬형을 당하는 장면부터 시작한다.
  • 정도전 - 이첨이인임을 무고했다는 이유로 압슬을 당한다.
  • 태종 이방원 - 효빈 김씨원경왕후에게 앙심을 품은 후, 자신이 경녕군을 잉태했을 때 민씨 집안에서 자신을 냉대했다는 것을 태종에게 고발하여 그 대가로 민무휼민무회가 숙청당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두 사람이 압슬을 당하는 것이 상세히 묘사되었다. 일단 도자기 파편이 깔린 바닥에 꿇게 한후 돌을 무릎에 얹은 다음 각각 두 형리가 발로 그 돌을 밟았다. 세종의 등극 후 세종의 장인인 심온 역시 입슬을 당하는 것이 상세히 묘사되었다.
  • 징비록 - 1화에서 정여립의 모반 사건 관여자들을 고문할 때 압슬형이 나온다. 밑에 사금파리를 깔고 위에서 밟는 형식은 다른 매체들과 동일하다. 다만 특이하게 죄인을 무릎 꿇린 채로 하는 압슬이 아니라, 죄인을 바르게 눕힌 후 그 상태로 허벅지~무릎에 판자를 깔고 밟는 방식이다.
  • 사쿠라다 문 밖의 변 - 다키모토 이노 : 에도 요시하라의 기녀로 1860년에 발생한 사쿠라다문 밖의 변에 연루되어 가혹한 고문을 받고 옥중에서 사망한다.
  • 료마전 - 오카다 이조 : 도사근왕당이 통째로 숙청될 때, 그 중 하나였던 히토키리(살인마) 이조에게 혹독한 형벌이 가해졌다. 공중에 매달아 놓고 매타작을 하는 것은 기본이고 빨래판같은 돌 위에 이시타키로 압슬하는 장면을 그대로 보여줬다. 도사근왕당의 리더였던 다케치 한페이타가 그 잔혹한 모습을 지켜보다 견디지 못하고 죄를 인정하고 할복하게 된다.
  • 사신짱 드롭킥 1기 : 5화에서 유리네가 실수로 멘드레이크 인형을 망가뜨린 사신짱을 응징할 때 콘크리트 지압판에 앉혀 놓고 그 위에 콘크리트 벽돌을 5개 올려놓는 방식으로 사용했다.
  • 뱀파이어 시리즈 - 비샤몬의 초 필살기로 존재함.
  • 경녀!!!!!!!! - 금기를 사용한 엘리트 1위가 벌칙으로 받은 것. 단, 위에서 언급한 것과 다르게 이 쪽은 크고 아름다운 책 6권 + 아령 2개를 올렸다.
  • 바보와 시험과 소환수 - 시마다 미나미히메지 미즈키가 가끔씩 사용한다. 주 희생자는 당연히 요시이 아키히사.
  • 기숙학교의 줄리엣 - 체육제 때 이누즈카 로미오가 흑견 측의 승리로 끝났을 경기를 어이없이 말아먹은 탓에[4] 그날 밤에 분수대에서 압슬을 당했다.
  • 은수저 - 하치켄이 자주 당한(?)다. 물론 개그스럽게 표현된 것.
  • 한성별곡 - 주인공이 자기 부하에게(!) 압슬을 시전하려다가 "이제 압슬형 금지임" 이라는 말에 멈추는 장면이 나온다.
  • 다수의 일본 BDSM AV - 이시다키가 고문 플레이로 자주 나온다.


[1] 곤장이나 채찍 등 때리는 방식의 고문은 상대가 기절하면 일단 멈춰야 한다. 기절한 사람을 계속 때리면 자백 전에 죽을 수 있으니까. 즉 꾀병을 부려서 고문에서 벗어나기도 쉽다. 꾀병을 부려 고문 때 덜 맞는 비법이 죄수들 사이에서 돌았다는 기록까지 있다. 그리고 꾀병을 부려서 두들겨 맞는 고문은 잘 넘긴 죄수가 꾀병이 통하지 않는 압슬을 당하고 결국 자백했다는 기록도 있다.[2] 이 고문을 받는 도중 피범벅이 되고 정강이가 박살이 나 반병신이 되었는데 이에 황홀해하며 고통을 받아들이는 성향이 좀 아스트랄의 영역을 보여준 여인이 있어서 사면을 받았다는 기록도 있다(...)[3] 장희빈에서의 고문 장면은 초기에는 야외 대형 조사실에서 진행되는 장면도 있었지만 후기에는 주로 실내 소형 조사실에서 진행되는 장면이 많았다.[4] 로미오가 흑견 측의 승리를 선언하려는 심판을 막으며 줄리엣 페르시아와의 기마전을 신청했는데 대결 중에 로미오가 실수로 줄리엣의 가슴을 만지고는 코피를 흘리며 쓰러지는 바람에 백묘 측의 승리로 끝났다. 그리고 로미오는 리더 자리를 박탈당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