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19:36:13

압하스어

압하스어
Аԥсуа бызшәа[1]| Абхазский язык
Abkhaz Language
파일:2560px-Map_of_Abkhaz_language.svg.png
<colcolor=#fff><colbgcolor=#888,#ddd> 유형 교착어
어순 주어-목적어-서술어 (SOV)[2]
서자방향 좌횡서 (왼쪽부터 가로쓰기)
문자 키릴 문자
아랍 문자(과거)
로마자(과거)
조지아 문자(과거)
주요 사용 지역
[[압하지야|]][[틀:국기|]][[틀:국기|]]

[[러시아|]][[틀:국기|]][[틀:국기|]]

[[튀르키예|]][[틀:국기|]][[틀:국기|]]
원어민 약 19만여 명
계통 북캅카스어족
압하스아바자어파
압하스어
언어
코드
<colcolor=#fff,#000><colbgcolor=#999> ISO 639-1 ab
ISO 639-2 abk
ISO 639-3 abk

1. 개요2. 특징3. 음소
3.1. 자음3.2. 모음
4. 문자
4.1. 문자체계
5. 언어별 명칭6. 기타

[clearfix]

1. 개요

[3]
압하스어는 캅카스 서북부 러시아압하지야, 튀르키예에서 쓰이는 언어로 압하스인모어이다. 서북캅카스어족의 압하스아바자어파에 속하며, 사멸한 우비흐어와도 관련이 있다.

2. 특징

매우 많은 자음과 그에 비해 현저히 적은 모음이 특징이다. 방언에 따라 다르지만 일단 표준 압하스어는 58개나 되는 자음이 존재한다.[4] 모음은 2개에 불과하지만 앞뒤 자음에 따라 심하게 발음이 달라진다.

표준어는 아브즈와(Абжьыуа / Abƶywa) 방언에 기초하고 있다.

문법은 복잡한 편으로 명사는 주격과 부사격밖에 없어 간단하나 동사 변화가 극히 복잡하다. 교착어 또는 포합어[5]로 분류한다.

3. 음소

3.1. 자음

양순 순치 치경 후치경 권설 치경구개 양순경구개 경구개 양순연구개 연구개 구개수 인두
m n
무성파열 p t·tʷ k·kʷ·kʲ
유성파열 b d·dʷ g·gʷ·gʲ
방출 tʼ·tʷʼ qʼ·qʷʼ·qʲʼ
무성파찰 t͡s t͡ʃ ʈ͡͡ʂ t͡ɕ·t͡ɕʷ
유성파찰 d͡z d͡ʒ ɖ͡ʐ d͡ʑ·d͡ʑʷ
방출파찰 t͡sʼ t͡ʃʼ ʈ͡ʂʼ t͡ɕʼ·t͡ɕʷʼ
무성마찰 f s ʃ·ʃʷ ʂ ɕ·ɕʷ χ·χʷ·χʲ·χˤ·χˤʷ ħ·ħʷ
유성마찰 v z ʒ·ʒʷ ʐ ʑ·ʑʷ ʁ·ʁʷ·ʁʲ·ʁˤ·ʁˤʷ
접근 ɥ j w
설측접근 l
전동 r
칸 안의 표기는 (평음·원순화음·경구개화음·인두음화음·원순인두음화) 이다.

3.2. 모음

전설 근전설 중설 근후설 후설
근고
중고
ə
중저
근저
ä
칸 안의 표기는 (평순모음·평순비모음) / (원순모음·원순비모음) 이다.

4. 문자

원래 문자가 없었으나 1862년 독일계 러시아인 언어학자였던 표트르 우슬라르(Пётр Услар) 남작이 키릴 문자에 여러 글자를 덧붙여 알파벳을 고안했다.[6] 1892년에 압하스인 작가였던 드르미트 굴리아(Дырмит Гәлиа)와 조지아인 콘스탄티네 마차바리아니(კონსტანტინე მაჭავარიანი)에 의해서, 1909년에 압하스인 안드레이 초추아(Андреи Ҷоҷуа)에 의해 새로운 변형이 고안됐다.[7] 유사언어학으로 유명한 니콜라이 마르(Николай Марр, ნიკოლოზ მარი)는 압하지야 SSR의 수립 이후 라티니자치야 정책에 걸맞게 압하스어를 위해 77자의 라틴 문자 변형을 만들기도 했다.[8] 스탈린 치하에서는 조지아어 문자로 이 언어를 표기하는 게 시도됐다. 현재 사용되는 문자체계는 1954년에 드르미트 굴리아에 의해 재정립됐다.[9] 자음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다른 키릴 문자어권에서 찾아보기 힘든 Ӡ(/d͡z/), Ҽ(/ʈ͡ʂ/), Ҩ(/ɥ/) 같은 문자를 사용한다. 한편, 아디게어나 아바자어 정서법에서 보이는 이 크랏코예(Й), 트뵤르디 즈나크(Ъ), 에 오보로트노예(Э), 팔로치카(Ӏ, 성문 파열음을 나타냄.) 문자가 압하스어에는 없는 것과 키릴문자 슈와(Ә)가 원순음화(◌ʷ)를 나타낼 때 쓰이는 것 또한 구별되는 점이다.

압하스어는 총 64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자음이 매우 많은데 반해 독립적인 모음은 А а /a/와 Ы ы /ɨ ~ ə/ 둘 뿐이다. 때문에 모음의 변이음이 다양하다.

4.1. 문자체계

문자문자 이름라틴 문자 변환국제음성기호
А аАa/ɑ/
Б бБыb/b/
В вВыv/v/
Г гГыg/ɡ/
Гь гьГьыg'/ɡʲ/
Гә гәГәыgw/ɡʷ/
Ӷ ӷӶыġ/ʁ/
Ӷь ӷьӶьыġ'/ʁʲ/
Ӷә ӷәӶәыġw/ʁʷ/
Д дДыd/d/
Дә дәДәыdw/d͡b/
Е еЕe/ɛ/
Ж жЖыž/ʐ/
Жь жьЖьыž'/ʒ/
Жә жәЖәыžw/ʒᶣ/
З зЗыz/z/
Ӡ ӡӠыʒ/d͡z/
Ӡә ӡәӠәыʒw/d͡ʑᵛ/
И иИыi/j, jɨ, ɨj, i/
К кКыk/kʼ/
Кь кьКьыk'/kʼʲ/
Кә кәКәыkw/kʼʷ/
Қ қҚыķ/kʰ/
Қь қьҚьыķ'/kʲʰ/
Қә қәҚәыķw/kʷʰ/
Ҟ ҟҞыq/qʼ/
Ҟь ҟьҞьыq'/qʼʲ/
Ҟә ҟәҞәыqw/qʼʷ/
Л лЛыl/l/
М мМыm/m/
Н нНыn/n/
О оОo/ɔ/
П пПыp/pʼ/
Ԥ ԥԤыph/pʰ/
Р рРыr/r/
С сСыs/s/
Т тТыt/tʼ/
Тә тәТәыtw/t͡pʼ/
Ҭ ҭҬыţ/tʰ/
Ҭә ҭәҬәыţw/t͡pʰ/
У уУыu/w, wɨ, ɨw, u/
Ф фФыf/f/
Х хХыch/χ/
Хь хьХьыch'/χʲ/
Хә хәХәыchw/χʷ/
Ҳ ҳҲыh/ħ/
Ҳә ҳәҲәыhw/ħᶣ/
Ц цЦыc/t͡sʰ/
Цә цәЦәыcw/t͡ɕᵛʰ/
Ҵ ҵҴыċ/t͡sʼ/
Ҵә ҵәҴәыċw/t͡ɕʼᵛ/
Ч чЧыč/t͡ʃʰ/
Ҷ ҷҶыć/t͡ʃʼ/
Ҽ ҽҼыĉ/t͡ʂʰ/
Ҿ ҿҾыç/t͡ʂʼ/
Ш шШыš/ʂ/
Шь шьШьыš'/ʃ/
Шә шәШәыšw/ʃᶣ/
Ы ыЫy/ɨ/
Ҩ ҩҨыõ/ɥ ~ ɥˤ/(< */ʕᶣ/)
Џ џЏыǧ/d͡ʐ/
Џь џьЏьыǧ'/d͡ʒ/
Ь ьj/ʲ/
Ә әw/ʷ,ᶣ,ᵛ/
Ӷ와 Ԥ는 본래 Ҕ와 Ҧ라는 다른 문자를 사용했는데, Ӷ와 Ԥ가 2009년에 나온 유니코드 5.2에야 추가되었기 때문에 아직까지도 Ҕ나 Ҧ가 사용된 자료들이 있다.

5.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압하스어(Abkhaz語)
압하스어 Аԥсуа бызшәа(Аҧсуа бызшәа)
러시아어 Абхазский язык
영어 Abkhaz Language
우크라이나어 Абхазька мова
조지아어 აფხაზური ენა
튀르키예어 Abhazca

6. 기타

압하스어 위키백과가 존재한다.

매우 생소한 언어지만 한국에 소개된 압하스어 표현 하나가 있다. 1980년대 한국야쿠르트의 떠먹는 요구르트 '슈퍼100'의 광고에서 "이브지옵프"로 등장한 표현인 '이브지오우프'(ibziouṗ, '좋다.')가 있다. 해당 표현은 주로 '아주 좋다.'는 뜻의 "Даара ибзиоуп."[10]로 쓰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Даара ибзиахоит."로 쓸 수 있다. 다만 한국에서는 스위스불가리아에서 사용되는 표현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 박명수무한도전 시크릿 바캉스 편에서 "이브지옵프"라고 언급해서 더 유명해졌다.


[1] [apʰswa bɨzʃʷa\]. 약칭은 Аԥсшәа [apʰsʃʷa\]이다.[2] 출처[3] 출처: ILoveLanguages![4] 캅카스 지역의 언어들은 보통 자음의 개수가 많은 편이다.[5] 보통 교착어로 본다. 교착어가 캅카스 서북부 언어의 전형적인 특징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출처: Chirikba, Viacheslav (2003). Abkhaz LINCOM Europa, p.22.[6] 관련 글.[7] 관련 글 1, 관련 글 2.[8] 관련 글.[9] 관련 글.[10] Даара(매우) и(3인칭 비인간 단수 또는 3인칭 복수 접사)-бзио(좋다; 원형은 бзиа)-у(현재 접사)-п(비동작 접사) 로 분석할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