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42:36

예멘-이스라엘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아프리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유럽·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북예멘 국기.svg 파일:남예멘 국기.svg
북예멘-남예멘 관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예멘 이스라엘
1. 개요2. 자이드파의 반유대주의3. 역사적 관계
3.1. 21세기
3.1.1. 2000년대3.1.2. 2010년대3.1.3. 2020년대
4. 예멘 유대인5. 여담6. 관련 기사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예멘이스라엘의 대외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여타 아랍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이스라엘과는 외교관계도 맺지 않고 있다. 그리고 예멘측도 이스라엘 국적자의 입국을 막고 있다.

2. 자이드파의 반유대주의

예멘의 무슬림 인구는 순니파 인구와 시아파 내 분파인 자이드파 인구가 양분하는 관계인데 자이드파 무장단체 후티가 상징에서 보듯 이스라엘에 적대적이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후티 상징.svg}}}||
신은 위대하시다.
미국에 죽음을.
이스라엘에 죽음을.
유대인에게 저주를.

이슬람에 승리를.
후티의 상징.

원래 현대 시오니즘 운동 이전부터 예멘의 자이드파는 유대인들을 극도로 혐오하던 종파였다.[1] 자이드파에서 유대인들을 혐오하는 이유는 성선설에 대한 광신이 있었는데, 이슬람 교리에서는 모든 인간이 원래는 하느님에 대한 신앙심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부모에 의해 기독교인, 유대인, 조로아스터교도 등 이런저런 기성 종교로 개종하게 된다고 가르친다. 자이드파는 이를 두고 " 원래 무슬림으로 태어난 아이들이 사악한 유대교 문화에 의해 불신자가 되어 지옥에 떨어진다."라고 주장하며 유대교 문화를 대대적으로 박해 혹은 배격하는 것출처

3. 역사적 관계

3.1. 21세기

3.1.1. 2000년대

2006년 7월 19일, 예멘에서 반 이스라엘 시위가 일어났다.#

2009년 2월 19일, 예멘 유대인들이 이스라엘 비밀 공수작전을 통해 이스라엘에 도착했다.#

3월 23일, 예멘 법원은 이스라엘인과 이메일을 주고받은 예멘인에게 사형 선고를 내렸다.#

3.1.2. 2010년대

2011년 3월 1일, 샬레 예멘 대통령은 미국과 이스라엘이 예멘 사태의 배후라고 비난했다.#

3.1.3. 2020년대

2021년 5월 18일, 예멘의 사나시에서 후티 지지자들이 이스라엘에 반대하는 시위를 진행했다.#

2022년 1월 31일, 이스라엘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를 방문중에 후티 반군이 아랍에미리틀 향해 미사일을 발사했다.#

2023년 3월 26일, 예멘의 사나시에서 시위대가 미국과 이스라엘 국기를 밟는 시위를 진행했다.#

7월 4일, 예멘의 사나시에서 이스라엘의 군사 작전에 반대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10월 18일, 예멘의 사나시에서 가자지구 연대 행진이 있었고 행진대가 이스라엘과 미국 국기를 불태웠다.#

10월 31일,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을 향해 탄도 미사일과 드론 공격을 가했다.#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을 향해 공격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11월 2일, 이스라엘군은 후티 반군이 발사한 미사일을 요격하는 영상을 공개했다.#

11월 9일, 이스라엘의 에일라트시가 후티 반군의 공격을 받았다.#

11월 14일,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을 향해 미사일을 발사했다.#

11월 19일,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 선박 나포 영상을 공개했다.#

11월 27일, 이스라엘과 관련된 선박이 예멘 부근서 나포됐다가 구조됐다.#

12월 4일, 홍해서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 선박을 향해 미사일, 드론 공격을 가했다.#

12월 15일, 후티 반군은 미국과 이스라엘이 예멘을 공격하면 끔찍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2024년 1월 15일,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 선박과 미국 선박을 공격하겠다고 밝혔다.#

4월 14일,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을 향해 드론을 발사했다.# 후티 반군은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은 정당한 대응이라고 밝혔다.#

6월 6일, 후티 반군은 이라크 조직과 협력해 이스라엘 하이파 항구를 공격했다고 밝혔다.#

6월 10일, 후티 반군은 사나시에서 국제기구 직원으로 위장한 미국과 이스라엘의 간첩단을 체포했다고 밝혔다.#

6월 12일,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 도시 2곳과 그리스 상선을 공격했다고 밝혔다.#

6월 26일,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 하이파 항구에 있는 선박을 공격했다고 주장했다.#

7월 1일, 후티 반군은 미국, 영국, 이스라엘 선박을 대상으로 군사작전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7월 9일, 후티 반군은 홍해에서 이스라엘과 미국 선박 3척을 공격했다고 밝혔다.#

7월 19일, 후티 반군이 텔아비브를 향해 드론 공격을 했고 1명이 사망했다.#

7월 21일, 이스라엘이 예멘의 호데이다항을 향해 공습했다.# 이스라엘의 첫 예멘 공습이 일어나자 확전 가능성이 커지기 시작했다.#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에 공습을 다짐하겠다고 밝혔다.#

7월 22일, 후티 전직 관리는 이스라엘의 공격은 심각한 오판이라고 비판했다.#

7월 31일, 하니예 사망에 대해 헤즈볼라와 후티가 이스라엘을 비판했다.#

8월 4일,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의 공습을 받은지 보름만에 이스라엘로 입항하려던 유조선을 공격했다.#

8월 16일, 예멘의 사나시에서 이스라엘을 규탄하는 집회가 있었다.#

8월 24일,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과 거래중이던 그리스 유조선을 공격했다고 밝혔다.#

8월 25일, 후티 반군은 성명을 내고 헤즈볼라의 공격을 반기며 추가 보복을 예고했다.#

9월 2일, 후티 반군은 유조선 블루 라군 1호를 공격했다고 밝히며 이스라엘과 관련된 것들은 공격하겠다고 밝혔다.#

9월 13일,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에 대항하기 위해 시리아에 병력을 파견했다.#

9월 15일,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 중부를 향해 탄도미사일을 발사했다.#1#2 다만, 이스라엘 측은 미사일이 공터에 떨어져서 사상자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을 향해 극초음속 탄도 미사일을 발사하는 장면을 공개했다.#

9월 26일, 후티 반군은 이스라엘의 행동은 강력하고 헤즈볼라는 어느때보다 강력하다고 밝히면서 헤즈볼라를 돕겠다고 밝혔다.# 이스라엘군은 예멘에서 날라온 미사일을 요격했다고 밝혔다.#

9월 27일, 이스라엘군은 후티 반군이 발사한 미사일을 격추했다고 밝혔다.#1#2

9월 28일, 후티 반군이 벤구리온 공항을 목표로 공격했다고 밝혔다.#

9월 29일,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의 벤구리온 공항을 향해 미사일을 발사했다.#

9월 29일, 이스라엘군이 후티 근거지를 공습했다.# 이스라엘군은 예멘서 발사된 미사일을 방공망으로 요격했다고 밝혔다.#

10월 2일, 후티 반군이 이스라엘의 군사시설을 향해 로켓 공격을 가했다.#

10월 3일, 후티 반군이 텔아비브에 드론 공격을 가했다고 주장했다.#

4. 예멘 유대인

예멘은 고대 이래 유대인 인구가 번성하던 지역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예멘 유대인 인구 절대다수가 이스라엘로 이민한 상황이다. 수에즈 운하가 개통된 것을 계기로 예멘 유대인들은 자이드파의 유대교 박해를 피하기 위해서 야파와 예루살렘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들의 이민 시기는 동유럽에서 시작된 첫 번째 알리야 시기와 겹친다. 특히 북예멘의 기원이 된 예멘 왕국이 1918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자국 내 유대인들을 대대적으로 탄압하면서 상당수의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 일대로 피난하기 시작했다. 다만 유대인들의 이스라엘 이민 당시에는 예멘 측에서는 이런저런 폭력이나 약탈 행위가 없이 안전하게 이루어졌다고 한다. 당시 북예멘에서는 "통 크게 단결해서 시오니스트들을 무찌르자."라고 외치는 것과 별개로 이스라엘의 보복이 두려워 따로 군대를 보낸다든가 하는 조치를 전혀 취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이스라엘의 건국 전후하여 유대인 인구 대다수가 이스라엘로 빠져나가고, 잔류한 소수의 유대인 인구 역시 예멘 내전으로 위협을 받고 있다.

2018년 1월 24일, 이스라엘 정부는 1950년대에 일어났던 예멘 유대인 아동 실종 사건 조사에 박차를 가했다.#

5. 여담

예멘에서 태어나 이스라엘에 91년 거주중인 예멘 유대인에 대한 인터뷰가 진행됐다.#

6. 관련 기사

7.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대신 자이드파는 순니파와는 온건한 관계를 유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