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올림픽의 음역인 오륜에 대한 내용은 올림픽 문서, 롯데푸드의 옛 이름인 롯데삼강에 대한 내용은 롯데푸드 문서
,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둔촌오륜역 문서
참고하십시오.[clearfix]
三 | 綱 | 五 | 倫 |
석 삼 | 벼리 강 | 다섯 오 | 인륜 륜 |
1. 개요
三綱五倫유교에서 지켜야 할 세 가지 강령과 다섯 가지 인륜을 말한다.
즉, 유교에서 기본이 되는 세가지 법도와 다섯가지 인간관계를 뜻한다.[1]
삼강이란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을 의미한다.
여기서 '벼리'에 대해서는, 해석에 여러 의견이 있다. 유력설에 의하면 벼리란, 그물에 있어서 근본이 되는 굵은 줄을 뜻하며, 현대적 의미에서는 ‘법도(法度)’라고 풀이하거나, 책임자 등의 의미로 해석한다. 즉 군위신강의 경우 왕은 신하의 법도가 된다는 뜻이 되는데, 쉽게 풀이하면 신하는 왕의 말을 따른다 혹은 복종한다 정도의 뜻이 된다.
그리고 오륜은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의미한다.
- 부자유친(父子有親): 어버이와 자식 사이에는 친함이 있어야 한다.
- 군신유의(君臣有義):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로움이 있어야 한다.[2]
- 부부유별(夫婦有別): 부부 사이에는 구별이 있어야 한다.
- 장유유서(長幼有序): 어른과 아이 사이에는 차례와 질서가 있어야 한다.
- 붕우유신(朋友有信):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2. 유래
삼강의 유래에 대해서는, 논쟁이 아직까지 있으나, 현대에 전해지는 그 내용은, 백호통의(白虎通義)에서 기인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통설이다. 오륜의 유래는, 맹자의 등문공장구에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 이라고 적혀있는 것에서 기인하며, 중국에서는 통상 '오상'으로 기재하기에, 조선에서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3. 현대 사회에서의 비판
유가윤리로 통용되는 삼강오륜은 한대의 중앙집권제에 이용되면서 변질된 종적 복종윤리로서, 본래 유가의 윤리에서 크게 벗어나고 말았다는 견해가 이것이다. 정치적으로는 왕도주의, 사회적으로는 삼강오륜 사상을 토대로 하며 사대부 계층에 의한 유교적 가부장주의와 봉건적 전제군주 통치체제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로 정립되고 말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삼강오륜에 의한 상하 남녀 사이의 지나친 차별과 구속으로 유교의 자유와 평등을 간과하게 되었다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기본적으로 전근대의 전제군주정과 가부장제 질서를 기반으로 하는 사상이라 성평등, 개인주의 등의 현대사회에서 필수로 여겨지는 사상과 정면으로 충돌한다.원불교대사전,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단 본래 의미가 무조건적인 상명하복만을 전제하는건 아니다. 수직적인 질서와 더불어 윗사람의 책임 또한 강조하기 때문에 이에 충실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가는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하고 특히 군주의 경우는 천명을 거스르는 것으로 여겨져 역성혁명의 명분이 되기도 했다.
나이와 기수로 상하관계를 따지기 좋아하는 기성세대, 기득권층은 자신들의 사회적 계급을 정당화하기 위해 삼강오륜을 자의적으로 왜곡해 해석하는 경향도 있다. 흔히 "너는 위 아래도 없냐?"라는 식으로[3] 봉건성을 대변하는 이들의 입장은 민주주의와, 인권, 자유와 평등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지만, 전통적인 덕목이란 명목은 독재정권 시절 권위에 대한 일종의 복종교육 수단으로 더할 나위 없는 것이었다. 독재정권 시절과 민주화를 통한 세대 간의 가치관 차이는 사회 전반에서 세대 간 갈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한두 살 차이는 물론이고 5~6살 차이도 마음이 맞으면 그냥 또래 개념으로 친구처럼 지냈다.[4] 요즘처럼 한살 차이로 형 동생을 엄격하게 가르는 것은 일제 시대 선후배 문화에서 나왔다. 사실 조선 시대에는 나이보다 사회적인 계층을 더 중요하게 여겼으며 나이차이를 무시했던 것도 계층적으로는 동일하니까 그런 면이 있다.
그래서 이전에는 예절과 질서의 표본이었으나 이제는 아주 전형적인 강약약강의 표본이라고 여기기도 한다. 이로인해 세대갈등이 더 심해진 건 덤.
4. 기타
삼강오륜을 어긴 예로는 조선의 임금이었던 선조는 임진왜란이 터지자 임금의 도리를 저버리고 일부 신하만 거느린 채로 도망갔다. 당연하지만 그로 인해 선조의 권위는 떨어졌고, 그에 대한 자격지심의 발로로 무수한 실책과 질투를 반복했다.현대중국어에서도 '삼강오륜'이 사용되지만 '부위부강'이라 하지 않고 '부위처강'으로 사용한다. 또 '삼강오상'이라는 용어도 있는데, 오상은 5가지 덕목인 인, 의, 예, 지, 신으로 오륜과는 다른 말이다.
이말년씨리즈 <어린 놈의 새끼가> 편의 부제가 <장유유서 신드롬>이다.
5. 관련 문서
- 가부장제
- 강약약강
- 기수제
- 개구리 올챙이 시절 모른다
- 꼰대
- 남존여비
- 내리갈굼
- 대한민국/사회/문제점
- 똥군기
- 머리에 피도 안 마르다
- 상명하복
- 서열
- 선배
- 성 역할
- 성차별
- 세대 갈등
- 아시아적 가치
- 연령 차별
- 어른들은 말이 안 통한다
- 요즘 젊은 것들은 버릇이 없다
- 전제군주제
- 틀딱
[1] 유교와 산반, 카도카와 소피아 문고, 시부사와 에이사쿠[2] 현대에는 "나라와 국민 사이에는 의리가 있어야 한다"라는 뜻의 국민유의(國民有義)의 라고 바꾸기도 한다.[3] 관련 속담으로 "찬물도 위아래가 있다"가 있겠다.[4] 오성과 한음도 5살 차이였으며, 정도전과 정몽주도 5살 차이였으나 모두 막역한 친구로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