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5 15:54:28

오징어 게임(시즌 3)/등장 게임 및 진행 결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오징어 게임(시즌 3)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파일:오징어 게임 로고.svg
파일:오징어 게임 영어 로고.svg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시즌 목록 ]
{{{#!wiki style="margin: -5px -1px 2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colbgcolor=#000><colcolor=#fff> 드라마 오징어 게임 (2021) · 오징어 게임 2 (2024) · 오징어 게임 3 (2025)
스핀오프 오징어 게임: 아메리카 (미정)
예능 프로그램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 (2023) ·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 2 (2026)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0%"
{{{#!folding [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 -5px -1px 2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시즌 1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참가자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성기훈_정사각형프로필.jpg 파일:조상우_정사각형프로필.jpg 파일:일남고화질.jpg 파일:강새벽_정사각형프로필.jpg
NO.456 성기훈 NO.218 조상우 NO.001 오일남 NO.067 강새벽
파일:장덕수_정사각형프로필.jpg 파일:한미녀_정사각형프로필.jpg 파일:알리압둘_정사각형프로필.jpg 파일:지영_정사각형프로필_2.jpg
NO.101 장덕수 NO.212 한미녀 NO.199 알리 압둘 NO.240 지영
파일:병기_정사각형프로필_2.jpg
파일:오징어 게임 로고.svg
파일:오징어 게임 영어 로고.svg
<nopad> 파일:기타참가자_정사각형프로필.jpg
NO.111 병기 기타 참가자 }}}
추적자 주최 측
파일:오징어게임준호.bmp 파일:오징어게임프론트맨1.jpg 파일:오징어게임 진행요원.png 파일:오징어게임정장남.jpg 파일:오징어게임브이아이피.jpg
경찰 황준호 딱지남 VIPS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시즌 2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참가자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성기훈_시즌 2 스틸컷.jpg 파일:001 오영일.png 파일:정배.jpg 파일:오징어 게임 조현주.jpg
NO.456 성기훈 NO.001 오영일 NO.390 박정배 NO.120 조현주
파일:오징어 게임 양동근.jpg 파일:오징어 게임 2 강애심.jpg 파일:오징어 게임 조유리.jpg 파일:오징어 게임 임시완.jpg
NO.007 박용식 NO.149 장금자 NO.222 김준희 NO.333 이명기
파일:오겜2 이진욱.jpg 파일:오징어 게임 2 대호.jpg 파일:오징어 게임 2 타노스.jpg 파일:오징어 게임 2 남규.jpg
NO.246 박경석 NO.388 강대호 NO.230 타노스 NO.124 남규
파일:오징어 게임 김시은.jpg 파일:오징어 게임 2 선녀.jpg 파일:오징어 게임 2 민수.jpg 파일:오징어 게임 2 세미.jpg
NO.095 김영미 NO.044 용궁 선녀 NO.125 박민수 NO.380 세미
파일:오징어게임_임정대.jpg
파일:오징어 게임 2 로고.png
파일:오징어 게임 영어 로고.svg
<nopad> 파일:오징어 게임 시즌 2 기타 참가자.png
NO.100 임정대 기타 참가자 }}}
주최 측
파일:오징어 게임 딱지남(시즌 2 사진).jpg 파일:부대장_틀.jpg 파일:오징어게임프론트맨1.jpg 파일:오징어네모.jpg 파일:강노을 고화질.jpg
딱지남 부대장 △.011 강노을
추적자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황준호 시즌 2.jpg 파일:박선장.jpg 파일:오겜정석호.jpg 파일:김정래 틀.jpg
경찰 황준호 박 선장 최우석 김정래 }}}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
[ 관련 문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10000> 등장 게임 및 진행 결과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설정 · 줄거리 · 음악 · 탐구 · 평가 · 논란 및 사건 사고 · 흥행 및 파급력 ||
}}} ||

1. 기본 규칙2. 등장 게임
2.1. 스페셜 게임: 솎아내기 → 반란(영웅놀이)2.2. 4단계: ???2.3. 5단계: ???2.4. 6단계: ???
3. 찬반 투표
3.1. 찬반 투표(4)3.2. 찬반 투표(5)3.3. 찬반 투표(6)
4. 최종 순위5. 명칭 및 단계가 공개되지 않은 게임들6. 역대 6라운드 우승자 명단7. 총 사망자 및 생존자

1. 기본 규칙


기본 규칙

모두에게 공정한 게임을 위해 게임 정보는 사전에 공개되지 않는다.

2. 등장 게임

2.1. 스페셜 게임: 솎아내기 → 반란(영웅놀이)

ROUND SP. 솎아내기
도전자
95명
ROUND SP. 솎아내기
생존자
60~70명[1]

2.2. 4단계: ???

ROUND 04. ???
???(하)는
플레이어는 모두 통과된다.
그러지 못하면 탈락된다.
파일:시즌3 첫번째게임.png
도전자
???명
ROUND 4. 결과
생존자 탈락자
??명 ??명
생존율
??%
게임 종료 후 1인당 상금
???,???,???원

모든 단계가 전부 진행되었던 시즌 1과 달리 시즌 2에서는 게임 전체가 3단계 짝짓기까지만 진행된 채로 끝났는데, 시즌 3의 스토리가 2에서 바로 이어진다면 4단계부터 다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옛날 간이역 컨셉으로 보이는 세트장을 배경으로 1단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에 사용되던 영희 로봇과, 황동혁 감독이 시즌 2 시놉시스에서 등장을 예고한 철수 로봇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게임 장소에 참가자들이 들어서고, 철도건널목 차단기 모형에 불이 들어오는 쿠키 영상이 나온다. 현재로써는 무슨 게임인지 추정 불가. 간이역이나 건널목에서 직접적으려 키워드가 이어진다면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론 기차놀이를 활용한 게임 정도가 있으며 남대문놀이라는 추측도 있다. 아니면 작년 뉴스 기사에서 선공개된 게임인 단체줄넘기일 가능성이 높다.

2.3. 5단계: ???

ROUND 05. ???
???(하)는
플레이어는 모두 통과된다.
그러지 못하면 탈락된다.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도전자
???명
ROUND 5. 결과
생존자 탈락자
??명 ??명
생존율
??%
게임 종료 후 1인당 상금
???,???,???원

벽면의 픽토그램 등으로 유추해 보았을 때 구름사다리가 가장 유력한 게임으로 점쳐지고 있다. 방식은 시즌 1 당시 5단계 게임이었던 징검다리 건너기 방식을 응용했을 것으로 보이는데 평행으로 놓인 두 개의 구름사다리를 참가자들이 순서대로 제한 시간 내에 건너야 하는 게임이 될 듯하다. 그리고 한 쪽은 진짜 철봉, 반대편 한 쪽은 잡는 즉시 부러지면서 아래로 추락하는 가짜 철봉이 무작위로 놓여 있는 방식이 될 것이다.

2.4. 6단계: ???

ROUND 06. ???
???(하)는
플레이어가 최종 우승한다.
우승하지 못한 플레이어는 탈락된다.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도전자
???명
작품의 제목이기도 하거니와 극 중에서도 게임 전체의 코드명이 Squid(오징어)였던 것으로 미루어보아 오징어게임일 가능성이 매우 유력하긴 하나, 확실하진 않으므로 본편이 공개되어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ROUND 6. 결과
생존자(우승자) 탈락자(준우승자)
???번 ??? ???번 ???
생존율
???%
게임 종료 후 1인당 상금
45,600,000,000원

3. 찬반 투표

3.1. 찬반 투표(4)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20c86, #cc0001)"
파일:오겜 투표.webp
유권자
60~70명
세번째 찬반 투표가 50:50, 즉 동수로서 재투표를 하게 되었다. 세번째 찬반 투표때와는 다르게 화장실 소동과 솎아내기로 인해 사람의 수가 많이 줄었으며 특히 솎아내기와 반란으로 X팀이 많이 사망했기에 게임 속행이 될 가능성이 높다.
투표 결과
O X
???명 ???명
최종 결과
???

3.2. 찬반 투표(5)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20c86, #cc0001)"
파일:오겜 투표.webp
유권자
???명
투표 결과
O X
???명 ???명
최종 결과
???

3.3. 찬반 투표(6)

{{{#!wiki style="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20c86, #cc0001)"
파일:오겜 투표.webp
유권자
???명
투표 결과
O X
???명 ???명
최종 결과
???

4. 최종 순위

5. 명칭 및 단계가 공개되지 않은 게임들

본 문단은 본편 공개 후 삭제, 기술되어있는 게임들은 정확한 명칭 및 밝혀진 단계로 이동하여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공식적으로 1단계 게임임이 밝혀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이후로 새 게임들로 보이는 장면들이 여럿 등장했다. 확인할 수 있는 게임들은 다음과 같다.
  • 전작에 협동 위주로한 게임이 많았다. 5인6각, 짝짓기 게임 처럼 협동에 관한 게임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 시즌 1 당시 진행할 모든 게임들[2]의 픽토그램이 그려져 있던 벽면의 일부에, 이번에는 양손으로 무언가에 매달린 채로 나아가는 듯한 픽토그램이 그려져 있다. 구름 사다리 건너기로 추정하는 의견이 많다. 체스 비슷한 픽토그램도 그려져 있었다.[3] 다만, 이번 게임에서의 픽토그램은 게임을 암시하는 픽토그램이 아닌 다른 의미란 설이 점차 높아지는 중이다. 자세한건 오징어 게임/탐구 참고.
  • 시즌 2 엔딩 크레딧 도중, 옛날 간이역 컨셉으로 보이는 세트장을 배경으로 1단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에 사용되던 영희 로봇과, 황동혁 감독이 시즌 2 시놉시스에서 등장을 예고한 철수 로봇이 서로 마주보고 있는 게임 장소에 참가자들이 들어서고, 철도건널목 차단기 모형에 불이 들어오는 쿠키 영상이 나온다. 현재로써는 무슨 게임인지 추정 불가. 간이역이나 건널목에서 직접적으려 키워드가 이어진다면 유추할 수 있는 것으론 기차놀이를 활용한 게임 정도가 있으며 남대문놀이라는 추측도 있다. 아니면 작년 뉴스 기사에서 선공개된 게임인 단체줄넘기일 가능성이 높다. 자세히 보면 영희 위에 검은색 줄이 보이며, 영희와 철수가 마주보고 있는 구조이다. 줄에 날카로운 것들이 달려서 참가자들을 탈락시키는 구조나 5인 6각처럼 팀을 정해 정해진 갯수를 뛰지 못하면 탈락시키는 구조일 수도 있다. [4]
  • 시즌 3 티저 포스터에서 꽃 그림이 나온 것으로 보아, 우리 집에 왜 왔니 게임으로도 추정된다.
  • 오징어 게임: 더 챌린지에서 줄다리기 대신 등장했던 배틀쉽이 현실판으로 나올 가능성이 있다. 더 챌린지부터가 감독의 감수하에 제작되었고, 체스 비슷한 픽토그램이 배틀쉽 판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추측하는 의견이 있다. 하지만 오징어 게임이 대부분 한국 어린이들이 해봤을 만한 전통 게임들로 구성된다는 점을 보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도 된다.[5]

6. 역대 6라운드 우승자 명단

파일:오징어 게임 로고.svg

우승자 명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 연도 회차 번호 이름
1988 1회 174번 노현우
1989 2회 129번 문장호
1990 3회 28번 박필삼
1991 4회 63번 장승종
1992 5회 187번 조수진
1993 6회 112번 최우성
1994 7회 258(238)번 김민수
1995 8회 212번 박태준
1996 9회 79번 김상현
1997 10회 165번 김영철
1998 11회 66번 신정웅
1999 12회 377번 오영남
2000 13회 285(265)번 윤지은
2001 14회 221번 박영원
2002 15회 14번 임형서
2003 16회 330번 최윤태
2004 17회 150번 이현호
2005 18회 51번 조정훈
2006 19회 122번 손정희
2007 20회 229번 최정수
2008 21회 376번 김성태
2009 22회 127번 이충수
2010 23회 325(326)번 이성수
2011 24회 115(116)번 박미경
2012 25회 33번 배동일
2013 26회 436번 이영후
2014 27회 407번 김태우
2015 28회 132번 황인호
2016 29회 173번 주성훈
2017 30회 300번 이성주
2018 31회 204(294)번 불명
2019 32회 불명 불명
2020 33회 456번 성기훈
2021 34회 불명 불명
2022 35회
2023 36회
2024 37회 ??? ??? }}}}}}

7. 총 사망자 및 생존자

[clearfix]
[1] 솎아내기가 성기훈의 주도 하의 영웅놀이로 바뀌며 정확한 생존자와 사망자를 알기가 어려워졌다.[2]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설탕 뽑기, 줄다리기, 구슬치기, 징검다리 건너기, 오징어.[3] 아마 게임 특성상 체스보단 바둑 또는 오목, 혹은 알까기로 추정되고, 게임이 6개이기 때문에 마지막 게임이 체스일 확률이 높다.[4] 그 외에도 동대문을 열어라, 트롤리 게임, 8자 줄넘기 등 다양한 게임들로 예상중이다. 다만 한국 전통놀이와 맞지 않은 트롤리 게임은 등장할 확률이 낮다.[5] 다만 미국을 배경으로 하는 공식 스핀오프작인 오징어 게임: 아메리카에 등장할 가능성은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