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17:05:20

옥정호

옥정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width=320> 파일:댐 일러스트.png영산강 및 섬진강 수계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555"
영산강
영산강하굿둑
전라남도 목포시-영암군
승촌보
광주광역시 남구
담양댐
전라남도 담양군
광주댐
전라남도 담양군-광주광역시 북구
황룡강
장성댐
전라남도 장성군
지석천
나주댐
전라남도 나주시
섬진강
수어댐
전라남도 광양시
하동댐
경상남도 하동군
섬진강댐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요천
동화댐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보성강
보성강댐
전라남도 보성군
동복댐
전라남도 화순군
주암댐
전라남도 순천시
섬진강
상사댐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댐
전라남도 순천시
한강 · 금강 · 영산강 및 섬진강 · 낙동강
}}}}}}}}} ||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호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반도
경포호 · 광포 · 궁남지 · 대청호 · 동궁과 월지 · 만포 · 보령호 · 삼지연 · 상사호 · 석촌호수 · 소양호 · 시화호 · 아산호 · 안동호 · 임하호 · 영랑호 · 우포 · 옥정호 · 영천호 · 운문호 · 용담호 · 의암호 · 진양호 · 주암호 · 탐진호 · 천지(백두산) · 청초호 · 청평호 · 춘천호 · 충주호 · 풍호 · 파로호 · 팔당호 · 합천호
아시아
가오유호 · 갸링호 · 그레이트비터호 · 나마크호 · 달호 · 둥팅호 · 디퍼빌호 · 랜 오브 쿠치호 · 바베호 · 박테간호 · 베히세히르호 · 바이칼호 · 반호 · 발하슈 호 · 밴 사가르호 · 뱀바나드호 · 보잉각호 · 부르두르호 · 부이르호 · 비와호 · 사해 · 사라가미시호 · 세반호 · 슈마리나이호 · 슨타롬호 · 신지호 · 아랄해 · 알라콜호 · 에이르디르호 · 우르미아호 · 우브스호 · 웨이샨호 · 엘링호 · 이나와시로호 · 이식쿨호 · 차오호 · 칭하이호 · 카간호 · 타이호 · 테르타르호 · 토야코호 · 토바호 · 트리안호 · 판공초호 · 포양호 · 하르어스호 · 하문호 · 하말호 · 하바니야호 · 하우저사디야호 · 한카호 · 할라호 · 함마르호 · 해호 · 후룬호 · 훕스굴 호 · 훙쩌호
유럽
네미호 · 네스호 · 노이지들러호 · 뇌샤텔호 · 니이호 · 더그호 · 도이란호 · 데흐 생트코크호 · 라도가호 · 레만호 · 리호 · 마르카르호 · 멜라렌호 · 뮈리츠호 · 베네른호 · 벌러톤호 · 부르제호 · 보덴호 · 볼세나호 · 브라치아노호 · 비스토니다호 · 비스툴라석호 · 사이마호 · 슈베린호 · 슈타른베르크호 · 알바노호 · 애그블래트호 · 에이설호 · 오네가호 · 오흐리드호 · 안시호 · 암머호 · 옐마렌호 · 왈헤렌호 · 울스워터호 · 카라차이호 · 코리브호 · 콜핀호 · 킴호 · 트라시메노호 · 펀시나호 · 페이푸스호 · 포고호 · 폰디호 · 프레스파호 · 프스콥스코예호 · 플라우호 · 플레센호 · 헤비츠호
아프리카
게메리호 · 교가호 · 나세르호 · 나트론호 · 누비아호 · 니앙가이호 · 랑가와호 · 룩와호 · 마이은돔베호 · 말라위호 · 므웨루호 · 뱅웨루호 · 볼타호 · 빅토리아호 · 샬라호 · 세인트루시아호 · 아바야호 · 아베호 · 아비자타호 · 아오관도우호 · 아팜보호 · 에드워드호 · 에토샤호 · 엘버트호 · 엘제리드호 · 월루프호 · 지와이호 · 차드호 · 차모호 · 쵸멘호 · 츄 바히르호 · 카리바호 · 카오라바사호 · 코시호 · 키부호 · 타나호 · 탕가니카호 · 투르카나호 · 툼바호
북아메리카
가우어호 · 골드샌드호 · 구이자호 · 그레이트베어호 · 그레이트솔트 호 · 그레이트슬레이브호 · 니카라과호 · 니피곤호 · 러셀호 · 레인디어호 · 로사호 · 마나과호 · 매니토바호 · 모레인호 · 미스타시니호 · 슈스왑호 · 서던 인디언호 · 시더호 · 애서배스카호 · 오대호 · 오파추아나우호 · 월라스톤호 · 웰스호 · 우즈호 · 위니펙호 · 위니피고시스호 · 이던호 · 이사발호 · 줌팡고호 · 카무카위호 · 타호 호 · 텍스코코호 · 페텐이트자호 · 폰차트레인호 · 하이락호
남아메리카
가예투예호 · 라코차호 · 리니우에호 · 문다석호 · 발렌시아호 · 부디석호 · 빌러리카호 · 우루우루호 · 카부르과호 · 토타호 · 티티카카호 · 파투스석호 · 푸우푸호 · 헤레라호 · 후닌호
오세아니아
디서포인트먼트호 · 맥케이호 · 블랑쉬호 · 실베스터호 · 아마테우스호 · 에어호 · 카네기호 · 타라불호 · 타우포호 · 토런스호 · 프롬호
남극
보스토크호}}}}}}}}}
파일:옥정호.jpeg.jpg

1. 개요2. 상세3. 옥정호출렁다리4. 사건 사고

[clearfix]

1. 개요

玉井湖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정읍시에 걸쳐 위치하고 있는 호수. 섬진강댐이 건설되며 생겨난 인공호수이다. 명칭의 유래는 섬진강댐이 지어진 위치인 임실군 옥정리에서 유래했다.

전북의 주요 상수원 중 하나이기도 했으나, 1990년대 중반 부안군부안댐이, 2000년대 초 진안군용담댐이 건설된 후 상수원 역할은 대부분 부안댐(부안군)과 용담댐(진안군)으로 넘어갔고 현재 옥정호에서 취수된 물은 정읍시에만 공급되고 있다.

2015년에 임실군 지역 옥정호 상수원 보호구역이 해제되어 임실군에서는 "섬진강 르네상스"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옥정호 물안개길이라는 수변 산책로 및 주변 순환도로를 조성하고 하중도붕어섬을 연결하는 출렁다리를 건설하는 등# 옥정호가 임실군의 새로운 관광지로써 큰 역할이 되어주고 있다. 현재 옥정호 주변에는 여러 뷰가 좋은 카페가 조성되어 있으며, 4월에는 수변도로의 벚꽃터널이 펼쳐져 장관을 이룬다.

2. 상세

호수의 유역면적이 763㎢이며 저수면적이 26.3㎢, 최대 수심 30m이다.

이 호수를 막아 생긴 섬진강댐은 국내 최초의 다목적댐이다. 높이 64m, 길이는 344.4m로, 총 저수용량은 4억 6,600만 톤. 시설 발전용량은 3만 4,800kw이다. 발전수는 동진강으로 유역변경해서 칠보수력발전소에서 발전한 뒤 흘러가며, 동진강 지역에 농업용수, 공업용수 등을 공급한다.

이 댐의 문제점은 수문이 맨 위쪽에 있어서 사실상 물이 제한수위 가까이 차야 방류를 할 수 있다는 것. 그래서, 2011년에는 급격히 물이 유입되면서 범람 위기까지 가 수문을 모두 열고 긴급 방류하기까지 했다. 그 이후에, 현 수문보다 낮은 위치에 보조여수로가 완공되면서 홍수 조절이 이전보다 쉬워졌고, 수문 개방은 주로 보조여수로를 이용하지만 수위가 많이 오르면 본댐의 수문을 모두 개방해 같이 방류한다.

한국수력원자력 관항 수력발전소가 있는 댐 중 유일하게 한국수력원자력 관할이 아니다.

3. 옥정호출렁다리

파일:출렁다리(임실군).jpg
옥정호 출렁다리
2015년 임실군 지역의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 이후 하중도인 붕어섬에 도보로 입장할 수 있도록 연결한 출렁다리이다.
2022년 10월 출렁다리를 임시 개통하여 관광객을 맞이했으며, 2023년 3월 정식 개통하여 현재 임실에서 가장 유명한 관광지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관광객이 많이 찾아오고 있다.

옥정호 출렁다리 개통과 더불어 눈으로만 보던 붕어섬은 생태공원으로 탈바꿈하였으며 작약, 수국, 코스모스 등 다양한 꽃들이 만개하여 관광객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파일:붕어섬생태공원(임실군).jpg
붕어섬 생태공원

마침내 2024년 5월 2024년 방문객 수가 100만명을 넘어서며 명실상부한 임실군의 대표 관광지가 되었다.
앞으로도 수변레저, 집라인 등 다양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있어 기대가 매우 큰 관광지이다.

생태공원이므로 입장료가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다음을 참조하기 바란다 임실군 https://www.imsil.go.kr/tour/index.imsil

4. 사건 사고

역시 2020년 장마철 때, 폭우가 와 유입량이 늘어나는데도 방류량을 늘리지 않고 보조여수로로 방류하다가 긴급 사태로 인해 본댐 수문을 모두 열어 최대 방류량까지 급격하게 방류량을 늘린 일이 있어 구례, 하동 등 하류 지역이 침수가 되어 피해를 궤멸적으로 입기도 했다. 그래서 그 이후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댐 방류량 증가 시마다 통보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