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22:56:00

하중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구광역시의 섬에 대한 내용은 하중도(대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춘천시의 섬에 대한 내용은 하중도(춘천)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222> 하천 지형 <colbgcolor=#fff,#000>직류하천 | 자유곡류하천 | 감입곡류하천 | 망류하천 | 감조하천 | (옹달샘) | 폭포 | 계곡(V자곡) | 선상지 | 하안 단구 | 우각호 | 구하도 | 하중도 | 천정천 | 범람원(자연제방 · 배후습지) | 삼각주 | 하구 | 돌개구멍
해안 지형 | | 사빈 | 석호 | 갯벌 (펄갯벌 · 모래갯벌) | 해안 사구 | 해안 단구 | 해식 동굴 | 해식애 | 해식 아치 | 육계도 | 시스택 | 파식대 | 사주 | 사취 | 리아스 해안
해양 지형 군도 | 산호초 | 대륙붕 | 해곡 | 해저협곡 | 대륙 사면 | 대륙대 | 심해저 평원 | 해산(기요) | 해구 | 해령 | 블루홀
건조 지형 사구 | 사막포도 | 와디 | 버섯 바위 | 삼릉석 | 오아시스
빙하 지형 | 피오르 | U자곡 | 빙하호 | 크레바스 | 빙하동굴 | 빙붕 | 빙상 | 빙산
카르스트 지형 석회동굴(석순 · 종유석 · 석주) | 카르스트 지형(돌리네 · 우발레 · 폴리에) | 싱크홀
화산 지형 칼데라 | 화구호 | 오름 | 단성 화산 | 성층 화산 | 온천 | 간헐천 | 열점 | 용암 동굴 | 주상절리 | 용암 대지
구조 지형 분지(침식분지(펀치볼 · 케스타) · 대찬정 분지) | 곡저평야 | 대평원 | 팜파스 | 지협 | 지층 | 탁상지(테이블 산) | 순상지 | 고위평탄면 | 습곡산맥(고기 습곡산맥 · 신기 습곡산맥) | 단층산맥 | 해령
기타 잔류 암괴지형 | 풍화혈 | 풍화 암설지형 | 매스무브먼트 }}}}}}}}}

파일:ㅇㅅㄹㅌㅂㄹㄴ.jpg
이탈리아수도로마의 하중도 이솔라 티베레나(Isola tiberena).[1]

1. 개요2. 형성 과정3. 용도4. 크기5. 대한민국의 하중도
5.1. 한강 수계5.2. 낙동강 수계5.3. 임진강 수계5.4. 영산강 수계
6. 북한의 하중도
6.1. 대동강 수계6.2. 압록강 수계6.3. 두만강
7. 세계의 하중도8. 여담

1. 개요

하중도(河中島, river island[2])는 한 가운데 있는 을 말한다.

2. 형성 과정

하중도는 하천의 유량과 유속에 따라 쉽게 없어지거나 생겨난다.

하천이 구불구불 흐르다가 흐르는 속도가 느려지거나 유로가 바뀌면 퇴적물을 하천에 쌓아 놓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계속 일어나면 하천 바닥에 퇴적물이 쌓이고 하천 한가운데 섬으로 남게 된다.

침식으로도 하중도가 생길 수 있다. 자유곡류하천에서 측방침식이 계속되면서 커브 2개가 붙어버리면 하중도가 생긴다. 대충 이러이러해서 생긴단 소리. 이후 물이 더 짧은 유로로 흐르는 힘이 커지고 예전 유로로 연결되는 부분에 퇴적작용이 계속되어 갈래난 부분이 막히면 따로 떨어진 부분은 우각호(牛角湖)가 되며 우각호가 마르거나 간척되면 구하도(舊河道)가 된다.

보통 큰 하천의 하류에 잘 생긴다. 낙동강 하류에 있는 삼각주는 대부분 하중도를 이루며[3] 한강은 삼각주는 없지만 미사리·석도(石島)·밤섬·여의도·난지도·남이섬 등이 하중도에 속한다.

3. 용도

비교적 규모가 큰 곳은 농경지가 되거나 취락이 들어선다. 미사리 선사시대 주거지가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하중도는 홍수에 취약하기 때문에 하중도에 생긴 취락은 오래가지 못하는 편이다. 주로 방목지로 쓰이거나 골재 채취지로 남는다. 현대에는 경우에 따라서는 하천의 흐름을 막는다는 이유로 폭파처리되기도 한다. 이런 것을 모두 겪은 것이 서울의 밤섬이다.

퇴적지일 경우 지반이 매우 매우 매우 연약하여 제대로 된 건축물을 세우려면 기초말뚝공사부터 어려움이 많다.

하중도가 도시에 인접해 있으면 경우에 따라서 번화가가 되기도 한다. 일단 강 중간에 넓게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하중도를 징검다리 삼아서 다리를 건설하기도 쉽고, 도시가 강 건너 지역으로 확대될 때 이음매 역할을 담당하므로 덩달아서 같이 발전하기도 쉽다. 이런 경우가 뉴욕맨해튼 섬, 서울여의도다.

덤으로 사방이 흐르는 물로 둘러싸였기 때문에 중세까지는 주변에 산이 없는 도시가 하중도에 성벽을 둘러친 후 그 곳을 방어거점으로 삼는 일이 많았다. 강을 천연의 해자로 이용한 것인데, 이 과정에서 도시의 중심지가 하중도로 이동하기도 했다. 이런 경우는 파리의 기원이 되는 생 루이 섬을 들 수 있다.

4. 크기

하중도라고 하면 보통 작은 느낌을 받기 쉬운데,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크다. 가장 큰 섬은 브라질 아마존 강 하구의 마라호 섬으로 한국 면적의 40%에 달하고, 바다와 접하지 않은 가장 큰 섬은 바나나우 섬으로 경상북도만한 면적이며, 캐나다 제2의 대도시몬트리올 시는 도시 자체가 통째로 커다란 하중도이다. 면적이 서울보다도 작아서 다른 하중도들에 비할 바는 못되지만.

사실 몬트리올은 섬 한가운데에 크고 아름다운 산이 있는 둥 본 단락 초반에 설명한 "강 하구에 퇴적물이 쌓여 형성된 섬"과는 좀 다르다. 강이 산을 만나서 두 갈래로 나뉘어졌다가 다시 합쳐지는 지형에 가깝다. 애초에 강 하구도 아니기도 하고. 이건 바나날 섬도 마찬가지다.

5. 대한민국의 하중도

5.1. 한강 수계

5.2. 낙동강 수계

5.3. 임진강 수계

5.4. 영산강 수계

5.4.1. 황룡강 수계

6. 북한의 하중도

6.1. 대동강 수계

6.2. 압록강 수계

압록강의 섬
웨량 섬 창허 섬

여기서 비단섬을 제외한 섬들이다.

6.3. 두만강

7. 세계의 하중도

7.1. 일본

7.2. 중국

  • 충밍도 : 상하이의 장강 하구에 있는 전세계에서 가장 큰 삼각주[11]이다. 바다에 큰 섬이 적은 편인 중국에서 하이난섬 다음으로 커서, 두번째로 큰 섬. 섬 안에 고속도로도 있다. 상하이 육지와 지하터널을 만들려고 2020년대부터 대형공사 중인 곳.
  • 웨량 섬
  • 창허 섬

7.3. 프랑스

7.4. 미국

7.5. 캐나다

7.6. 스웨덴

7.7. 러시아

7.8. 독일

  • 베를린: 슈프레섬. 섬 북부는 박물관섬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7.9. 브라질

8. 여담

간도(間島)는 본래 하중도를 뜻하는 말이다. 조선 후기에 두만강 건너 중국으로 넘어가 살던 사람들이 처벌을 피하기 위해 자신은 국경을 불법으로 넘어다닌 게 아니라 강 사이 하중도까지만 갔다고 둘러대면서 생긴 이름이다. 국경을 맘대로 넘어가 사는 것은 실제론 조선 정부의 통제력 부족으로 형식적 가벼운 처벌만 하거나 거의 방치하긴 했지만 조선 법에서 원칙적으로는 사형이었다. 그러니 이렇게 뻔한 말로라도 대충 둘러댈 수밖에 없었다. 사전적으로만 생각하면 널찍한 만주 대륙의 일부를 '섬(島)'으로 칭하는 게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다.

생태학적으로는 강에 있는 특성상 독자적인 생태계는 없는 경우가 많지만, 동시에 물의 흐름을 방해해 웅덩이나 여울 등을 형성해 다양한 풀과 나무가 자라고, 물새나 물고기 등에 생물들에게 있어 휴식처와 사냥터로서 나름 중요한 서식지가 된다.

캠핑할 때 하중도를 야영지로 삼는 것은 좋지 않다. 폭우가 쏟아지면 하중도는 침수 위험이 높고 침수되지 않는다 해도 불어난 물이나 급류에 의해 고립될 위험이 크다.


[1] 어쌔신 크리드: 브라더후드에서 에지오의 은신처가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 플레이어라면 눈에 익은 장소이다. 본래 로마시에서 전염병 환자들을 격리 수용하던 곳이었다. 지금도 병원과 성당들이 남아 있다.[2] 그냥 river island를 검색하면 동명의 상표가 나오기 때문에 에 대한 정보를 얻을려면 뒤에 river를 쳐야 한다.[3] 현지에선 섬이란 인식도 희미하긴 하지만 부산 강서구 땅 대부분, 즉 낙동강서낙동강 사이는 모두 섬인 셈이다.[4] 상중도와 하중도는 원래 중도라는 하나의 섬이었는데, 의암댐 건설 후 섬이 두개로 나뉘었다.[5] 섬도 아닐뿐더러 한강 위에 떠있지도 않았다. 일시적으로 성수천 물이 넘치면 섬이 되었다.[6] 지금의 삼성동.[7] 잠실도 서쪽에 있던 섬으로, 수위가 낮아지면 잠실도와 연결되었다. 현재는 서울종합운동장아시아선수촌, 정신여자중학교, 정신여자고등학교 등이 있다.[8] 1970년대 개발로 송파강을 매립하면서 육지가 되었다. 이때 송파강의 일부를 매립하지 않고 호수로 남겨둔 것이 석촌호수.[9] 압구정 현대아파트 건설 당시 매립지의 토사로 쓰이며 사라졌다. 지금의 옥수동 쪽이며, 현재는 다시 퇴적현상으로 옥수동 쪽에 흙이 쌓여서 수면 위로 섬이 올라와 있다가 잠겼다가 한다. 위에 취소선 쳐놓은 뚝섬과 사실상 혼동되었다.[10] 명지도에 명지신도시가 생기기 전까지 강서구의 중심지였던 곳. 지금도 강서구청김해국제공항이 이 섬에 있다.[11] 이보다 큰 하중도들은 삼각주가 아니다.[12] 파리가 현재의 대도시로 성장하기 전에는 시테 섬 부분만 파리였다. 파리라는 도시 자체가 하중도 도시로 시작한 셈. 도시를 뜻하는 영단어인 City의 어원도 바로 이 시테 섬이다.[13] 다른 하중도들과는 다르게 지반이 단단한 편암이다. 이 덕분에 맨해튼에 많은 고층건물을 세울 수 있었다. 시테 섬처럼 이 섬에 세워진 뉴암스테르담으로 부터 뉴욕의 역사가 시작되었다.[14]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하중도로, 맨해튼을 제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