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23:30:53

주암댐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width=320> 파일:댐 일러스트.png영산강 및 섬진강 수계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555"
영산강
영산강하굿둑
전라남도 목포시-영암군
승촌보
광주광역시 남구
담양댐
전라남도 담양군
광주댐
전라남도 담양군-광주광역시 북구
황룡강
장성댐
전라남도 장성군
지석천
나주댐
전라남도 나주시
섬진강
수어댐
전라남도 광양시
하동댐
경상남도 하동군
섬진강댐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요천
동화댐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보성강
보성강댐
전라남도 보성군
동복댐
전라남도 화순군
주암댐
전라남도 순천시
섬진강
상사댐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댐
전라남도 순천시
한강 · 금강 · 영산강 및 섬진강 · 낙동강
}}}}}}}}} ||


파일:지구 아이콘_White.svg 세계의 호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반도
경포호 · 광포 · 궁남지 · 대청호 · 동궁과 월지 · 만포 · 보령호 · 삼지연 · 상사호 · 서번포 · 석촌호수 · 소양호 · 수풍호 · 시화호 · 아산호 · 안동호 · 임하호 · 영랑호 · 우포 · 옥정호 · 영천호 · 운문호 · 용담호 · 의암호 · 진양호 · 주암호 · 탐진호 · 천지(백두산) · 청초호 · 청평호 · 춘천호 · 충주호 · 풍호 · 파로호 · 팔당호 · 합천호
아시아
가오유호 · 갸링호 · 그레이트비터호 · 나마크호 · 달호 · 둥팅호 · 디퍼빌호 · 랜 오브 쿠치호 · 바베호 · 박테간호 · 베히세히르호 · 바이칼호 · 반호 · 발하슈호 · 밴 사가르호 · 뱀바나드호 · 보잉각호 · 부르두르호 · 부이르호 · 비와호 · 사해 · 사라가미시호 · 세반호 · 슈마리나이호 · 슨타롬호 · 신지호 · 아랄해 · 아사드호알라콜호 · 에이르디르호 · 우르미아호 · 오쿠타마호 · 우브스호 · 웨이샨호 · 엘링호 · 이나와시로호 · 이식쿨호 · 차오호 · 칭하이호 · 카간호 · 타이호 · 테르타르호 · 토야코호 · 토바호 · 트리안호 · 판공초호 · 포양호 · 하르어스호 · 하문호 · 하말호 · 하바니야호 · 하우저사디야호 · 한카호 · 할라호 · 함마르호 · 해호 · 후룬호 · 훕스굴호 · 훙쩌호
유럽
네미호 · 네스호 · 노이지들러호 · 뇌샤텔호 · 니이호 · 더그호 · 도이란호 · 데흐 생트코크호 · 라도가호 · 레만호 · 리호 · 마르카르호 · 멜라렌호 · 뮈리츠호 · 베네른호 · 벌러톤호 · 부르제호 · 보덴호 · 볼세나호 · 브라치아노호 · 비스토니다호 · 비스툴라석호 · 사이마호 · 슈베린호 · 슈타른베르크호 · 알바노호 · 애그블래트호 · 에이설호 · 오네가호 · 오흐리드호 · 안시호 · 암머호 · 옐마렌호 · 왈헤렌호 · 울스워터호 · 카라차이호 · 코리브호 · 콜핀호 · 킴호 · 트라시메노호 · 펀시나호 · 페이푸스호 · 포고호 · 폰디호 · 프레스파호 · 프스콥스코예호 · 플라우호 · 플레센호 · 헤비츠호
아프리카
게메리호 · 교가호 · 나세르호 · 나트론호 · 누비아호 · 니앙가이호 · 랑가와호 · 룩와호 · 마이은돔베호 · 말라위호 · 므웨루호 · 뱅웨루호 · 볼타호 · 빅토리아호 · 샬라호 · 세인트루시아호 · 아바야호 · 아베호 · 아비자타호 · 아오관도우호 · 아팜보호 · 에드워드호 · 에토샤호 · 엘버트호 · 엘제리드호 · 월루프호 · 지와이호 · 차드호 · 차모호 · 쵸멘호 · 츄 바히르호 · 카리바호 · 카오라바사호 · 코시호 · 키부호 · 타나호 · 탕가니카호 · 투르카나호 · 툼바호
북아메리카
가우어호 · 골드샌드호 · 구이자호 · 그레이트베어호 · 그레이트솔트호 · 그레이트슬레이브호 · 니카라과호 · 니피곤호 · 러셀호 · 레인디어호 · 로사호 · 마나과호 · 매니토바호 · 모레인호 · 미스타시니호 · 슈스왑호 · 서던 인디언호 · 시더호 · 애서배스카호 · 오대호 · 오파추아나우호 · 월라스톤호 · 웰스호 · 우즈호 · 위니펙호 · 위니피고시스호 · 이던호 · 이사발호 · 줌팡고호 · 카무카위호 · 타호호 · 텍스코코호 · 페텐이트자호 · 폰차트레인호 · 하이락호
남아메리카
가예투예호 · 라코차호 · 리니우에호 · 문다석호 · 발렌시아호 · 부디석호 · 빌러리카호 · 우루우루호 · 카부르과호 · 토타호 · 티티카카호 · 파투스석호 · 푸우푸호 · 헤레라호 · 후닌호
오세아니아
디서포인트먼트호 · 맥케이호 · 블랑쉬호 · 실베스터호 · 아마테우스호 · 에어호 · 카네기호 · 타라불호 · 타우포호 · 토런스호 · 프롬호
남극
보스토크호}}}}}}}}}

<colbgcolor=#29ACFF><colcolor=#fff> 주암댐
住岩댐|Juam Dam
파일:주암댐.jpg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착공 1984년 10월 17일
완공 1991년 5월 10일
관리기관 파일:한국수자원공사 CI.svg
유형 수자원 공급
홍수 조절
하천 보성강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구산리 · 대광리 · 광천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9ACFF><colcolor=#ffffff> 공사기간 7년 3개월
저수량 4억 5700만t
유역 면적 1,010㎢
본댐
높이 57m
길이 330m
형식 중앙심벽형의 록필(rock fill)식 원형
}}}}}}}}}||

1. 개요2. 역사
2.1. 건설 목적2.2. 저수율 감소 사태2.3. 보조 댐 제안
3. 교통4. 관광5. 중요성

[clearfix]

1. 개요

住岩댐 / Juam Dam

전라남도 순천시 주암면 일원[1]보성강 유역에 있는 .

2. 역사

2.1. 건설 목적

산업화 이후 전라남도는 비록 이촌향도 현상으로 전체적으로 점차 인구가 줄어드는 추세였으나 권역 별 거점 도시의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였으며 농업 생산량 발달과 증가로 인한 농업용수와 산업단지에 필요한 공업용수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물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였다.

특히 여수광양에 대규모 산업단지가 조성되고 광주의 인구가 더욱 늘어나면서 더욱 더 많은 물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당시 전라남도에는 많은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큰 댐이 없었고 각 지역마다 작은 규모의 댐, 저수지의 물에 의존하는 상황이었다.

특히 광주는 늘어나는 인구에 비해 물이 턱없이 부족하여 단수, 제한 공급이 일상적이었을 정도로 만성적인 물 부족에 시달리는 상황이었다. 당시 광주시는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광주댐, 동복댐[2] 등 광주 인근에 댐을 조성했지만 물 공급 부족을 해결하기에 역부족이었고 결국 정부 차원에서 계획을 세우게 된다.

결국 현 주암호 일대가 여러 조사와 계획으로 선정되어 일대의 주민 이주 후 댐 조성이 완료되어 현재에 이르게 된다.

2.2. 저수율 감소 사태

2022년 이상 기온으로 인한 가뭄으로 주암댐의 저수율이 줄어들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권에 물 부족 현상이 벌어지게 되었다. 2022-2023년 한반도 가뭄 참고. 다만 이때 뉴스 보도가 많았을 뿐, 저수율이 더 낮은 시기도 있었으며 그때도 장마기간에 금방 수위가 높아져 해결되었다. 그래서 마지막으로 부분 단수 등의 조치를 취한게 30년이 넘어간다. 그래도, 2023년에 장마전선이 올라와 가뭄을 해결해주었다. 그러나, 이제는 비가 너무 많이 온 탓에 저수율이 늘어서 수자원 과잉상태가 되어 문을 닫아놓으면 수위가 오르는 상황이라, 현재는 21년 이후 약 2년여 만에 수문을 열고 하류로 방류를 계속 이어가는 중.

그러나, 2023년 7월 24일, 주암댐 저수율은 계속되는 방류로 인해 56%까지 내렸다는 보도가 나오자 당장 내년에 마른장마와 가뭄이 또 오게 될 때를 대비하지 않느냐, 작년 마른장마와 가뭄을 겪어보고도 아직도 정신 못 차렸느냐는 비판이 나왔다.http://news.lghellovision.net/news/articleView.html?idxno=428332 이후 현재는 수문을 닫고 물을 가두어 두고 있어서 저수율은 다시 62%대로 상승했다.

2.3. 보조 댐 제안

2022-2023년 한반도 가뭄 이후 환경부는 주암댐과 동복댐 사이에 저수용량 3,100만 m³의 보조댐을 건설하자는 계획을 내놓았다.#

3. 교통

호남고속도로 주암 나들목과 가깝다.

수도권, 광주에서 주암댐으로 올 때 주암 나들목 위에 위치한 석곡 나들목에서 내려서 27번 국도(주석로)로 오는 게 더 빠르다.

4. 관광

주암호와 인근의 조계산, 모후산의 풍경과 유명한 사찰인 송광사로 인해 관광 명소로 이용되기도 한다.

5. 중요성

주암댐은 광주, 전남권에서 가장 큰 댐으로 광주, 전남의 젖줄 역할을 한다.

주암댐의 직접적인 공급 지역은 광주전남의 중, 서부권이지만 전남 동부권의 수원지인 상사댐과 도수터널로 연결[3]되어 상호 보완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결국 전남 동부권도 주암댐의 영향력에 있는 셈이다.

그래서 주암댐은 광주전남 전체에 매우 중요한 시설이다.


[1] 구산리, 대광리, 광천리[2] 1971년에 광주시 차원에서 건설했으나 규모가 작아 1982년 11월 ~ 1985년 7월에 새로 건설하였다.[3] 그래서 상사댐을 주암조절지댐으로 부르기도 할 정도로 수자원공사 측에서는 아예 주암댐과 상사댐을 같은 계통, 같은 댐으로 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