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이종건 | 제2대 원인식 | 제3대 박주근 | 제4대 박노영 | 제5대 한동석 |
제6대 전영춘 | 제7대 김승우 | 제8대 이동진 | 제9대 박건주 | 제10대 김용운 | |
제11대 최문규 | 제12대 김영진 | 제13대 정기훈 | 제14대 이창석 | 제15대 원낙희 | |
제16대 성기방 | 제17대 박진원 | 제18대 조성운 | 제19대 김재영 | 제20대 박환주 | |
제21대 한상철 | 제22대 김광용 | 제23대 김대종 | 제24대 정호돈 | 제25대 김기열 | |
제26대 한상철 | 제27-28대 김기열 | 제29-31대 원창묵 | 제32대 원강수 | ||
}}}}}}}}} |
<colbgcolor=#26b589><colcolor=#ffffff> 제32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장 원강수 元康修 | Won Gang-soo | |||
출생 | 1970년 3월 7일 ([age(1970-03-07)]세) | ||
거주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반곡길 | ||
현직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장 원주시정연구원 원장 원주시민공감연대 대표 | ||
재임기간 | 제32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장 | ||
2022년 7월 1일 ~ 현직 | |||
링크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26b589><colcolor=#fff> 배우자 | 임소영 | |
자녀 | 슬하 1남 1녀 | ||
학력 | 원주대성중학교 (졸업) 대성고등학교 (졸업) 강원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 / 학사) 강원대학교 대학원 (법학 / 석사과정 수료) | ||
병역 | 육군 제15보병사단 병장 만기전역 (1990년 5월 15일 ~ 1992년 11월 12일)[1] | ||
소속 정당 | |||
경력 | YBN영서방송[2] 기자 YBN영서방송 뉴스앵커 YBN영서방송 보도팀장 제9대 강원도의회 의원 (민선 6기 / 새누리당) 제9대 강원도의회 사회문화위원회 부위원장 제9대 강원도의회 재정건전화특별위원회 위원장 새누리당 강원도당 대변인 제9대 강원도의회 재정정책연구회 회장 자유한국당 원주시 을 당협위원장 윤석열 국민캠프 강원도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 윤석열 국민캠프 강원도 선거대책위원회 수석부위원장 제32대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장 (민선 8기 / 국민의힘)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 현재 원주시장이다.제9대 강원도의회 의원, 원주시민공감연대 대표 등을 지냈다.
2. 생애
1970년 3월 7일 태어나 원주대성중학교, 대성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강원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과에 진학했다. 1990년 5월 15일 육군에 입대하여 제15보병사단에서 정훈병으로 복무했고, 1992년 11월 12일 병장으로 만기전역하였다. 강원대학교 졸업 후 강원대학교 대학원에서 법학 석사 과정을 수료하였다.이후 YBN 영서방송에 입사하여 뉴스앵커, 보도팀장 등을 지냈다.
3. 정치 활동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후보로 강원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새정치민주연합 곽도영 후보[3]를 꺾고 당선되었다.2022년 5월 1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 소속으로 원주시장 최종 후보로 확정되었으며, 더불어민주당 구자열 후보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었다.
4. 비판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4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시군구 주요 고용지표’에 따르면, 고용률 하위지역이 원주시 60.5%, 65세 이상 고용률 하위지역도 원주시 40.2%로 나타나며, 강원도의 시 중에서 최하위를 찍었다. 심지어 철원군, 태백시 같은 전방 지역 보다도 고용률이 떨어지고, 아직 미개발지역이 산재한 춘천시와 엇비슷한 충격적인 조사가 발표되는 굴욕을 겪는 등, 전임 시장 원창묵과 판박이로 고용률을 개선하지 못 하고 있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교통 관련 정비는 잘 하지만, 결국 그건 공무원들의 영역이지, 일자리 창출과는 하등 상관 없는 일이기 때문에, 불과 14년 전인 2010년에 강원도에서 15세 이상 경제활동 인구가 도내 최고를 기록하는 등, 도내 최고의 고용률을 자랑하던 강원도 인구댐 역할을 하는 원주시가 고용 지표 같은 세부 지표에서 곤두박질 치고 있다는 것이다.원주신문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원주시민 1,002명을 상대로 조사한 2023년 3월 여론조사만 보더라도, 39.7 : 38.3으로 여당이 앞서는 정당 지지율에 비해서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과 김진태 강원도지사 지지율이 낮은 것을 볼 수가 있는데, 이미 이때부터 원강수 시장은 1년도 채 되지 않은 3월부터 46.3 : 38.8로 호불호가 명확히 갈리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도로 교통 문제는 잘 해결하는 편이지만, 그 외에는 전임 시장과 별반 차이가 없고 구설수가 많다는 점이 꼽히는데, 이 것이 1년이 지난 현재에는 더욱 낮아진 것으로 보아, 본인 재선 가능성이 매우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4] 전임 시장인 원창묵이 구도심[5]을 매우 홀대하는 짓을 저질러, 원주시 갑에서 민주당의 평판이 대체적으로 좋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결과를 얻었다는 것은 본인에게는 크나큰 위기가 아닐 수 없다.
결국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원주시 갑에서 전임 시장인 더불어민주당 원창묵 후보가 현역 박정하 의원을 상대로 단 1.43%p 차의 석패를 기록하는 일이 벌어졌고, 원창묵이 3선 시장을 지내면서 심각하게 홀대했던 구도심마저 득표율이 꽤 오른 것으로 보면, 원주시에서도 민심 이반이 크게 드러났음을 나타냈다. 원주시 지역구 의원인 박정하와 송기헌의 평가는 상당히 좋은데, 원주시가 좀처럼 강원도의 반도체 사업과 일자리 유치에 제대로 뛰어들지 않는 답답한 모습을 보이자, 견디다 못한 청년층들이 교외로 이탈하면서[6], 2년 연속으로 인구 증가세가 세자릿수를 맴도는 등,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모습이 여기저기서 나타나는 등, 각종 세부 지표가 시정 교체 이후로 개선은 커녕 더 떨어지고 있다.
5. 소속 정당
소속 | 기간 | 비고 |
[[새누리당|]] | 2014 - 2017 | 정계 입문 |
[[자유한국당|]] | 2017 - 2020 | 당명 변경 |
[[미래통합당|]] | 2020 | 합당[7] |
| 2020 - 현재 | 당명 변경 |
6.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강원도의회 원주 5 | [[새누리당|]] | 13,667 (52.54%) | 당선 (1위) | 초선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강원 원주시장 | | 82,526 (53.55%) |
역대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6회 지선 (강원 원주시 제5선거구) | 8회 지선 (강원 원주시장) | }}}}}}}}} |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강릉 | 동해 | 삼척 | 속초 | 원주 |
김홍규 | 심규언 | 박상수 | 이병선 | 원강수 | |
춘천 | 태백 | 고성 | 양구 | 양양 | |
육동한 | 이상호 | 함명준 | 서흥원 | 김진하 | |
영월 | 인제 | 정선 | 철원 | 평창 | |
최명서 | 최상기 | 최승준 | 이현종 | 심재국 | |
홍천 | 화천 | 횡성 | |||
신영재 | 최문순 | 김명기 | |||
◀ 민선 7기 민선 9기 ▶ |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강범석 | 강성태 | 강수현 | 강영석 | 공한수 |
구인모 | 권기창 | 김경호 | 김경희 | 김광열 | |
김기웅 | 김기재 | 김길성 | 김대권 | 김덕현 | |
김동근 | 김동일 | 김명기 | 김문근 | 김병수 | |
김성수 | 김성제 | 김영길 | 김영욱 | 김윤철 | |
김장호 | 김재욱 | 김정헌 | 김진열 | 김진홍 | |
김찬진 | 김창규 | 김하수 | 김학동 | 김형찬 | |
김홍규 | 나동연 | 남한권 | 류규하 | 류한국 | |
문경복 | 박강수 | 박남서 | 박동식 | 박범인 | |
박상돈 | 박상수 | 박용철 | 박일하 | 박종효 | |
박천동 | 박현국 | 박형덕 | 박희조 | 방세환 | |
배광식 | 백경현 | 백성현 | 백영현 | 서강석 | |
서동욱 | 서철모 | 서태원 | 서흥원 | 성낙인 | |
손병복 | 송인헌 | 신계용 | 신상진 | 신영재 | |
신현국 | 심규언 | 심재국 | 안병구 | 오도창 | |
오성환 | 오언석 | 오은택 | 오태완 | 오태원 | |
원강수 | 윤경희 | 윤석준 | 윤일현 | 이갑준 | |
이강덕 | 이권재 | 이기재 | 이남철 | 이동환 | |
이민근 | 이범석 | 이병선 | 이병환 | 이상근 | |
이상일 | 이상호 | 이성헌 | 이수희 | 이순걸 | |
이승화 | 이영훈 | 이완섭 | 이용록 | 이응우 | |
이재호 | 이충우 | 이태훈 | 이필형 | 이현재 | |
이현종 | 장준용 | 전성수 | 전진선 | 정문헌 | |
정영철 | 정종복 | 조규일 | 조근제 | 조길형 | |
조병길 | 조성명 | 조재구 | 조현일 | 주광덕 | |
주낙영 | 주석수 | 진병영 | 천영기 | 최명서 | |
최문순 | 최원철 | 최재구 | 최재형 | 최재훈 | |
최진봉 | 최충규 | 최호권 | 하승철 | 하은호 | |
홍남표 | 홍태용 | }}} }}}}}} |
[1] 병무청 공직자등의 병역사항열람 참조.[2] 현 LG헬로비전 영서방송[3] 2018년에는 당선되어, 제10대 강원도의회 후반기 의장을 지냈다.[4] 정작 박정하, 송기헌은 각각 46.3 : 25.9, 45.3 : 29.0%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과 대비된다. 이 둘은 국회에서도 평판이 좋은 국회의원으로 정평이 나 있는 사람들이라, 이후 치뤄진 총선에서도 개인기로 둘 다 당선되었다.[5] 심지어, 원창묵은 구도심 중 한 곳인 학성동에서 원주시의원 재선을 지내면서 정계에 입문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짓을 저지른 결과 2024년 22대 총선에서 낙선하여 결국 탈환에 실패하였고, 패배의 원흉으로 낙인찍히며 지역위원장에서도 쫓겨났다.[6] 통계청 자료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일자리 사정이 그나마 나은 경기도로 제일 많이 이탈했다. 젊은층이 상대로 많아서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원주시 을은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결국 험지가 되어가고 있다는 것이 그 증거였다.[7]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