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06 01:00:08

이경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보이그룹 일급비밀의 전 멤버에 대한 내용은 경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이경하 초상.jpg

李景夏
1811년(순조 11) 1월 1일 ~ 1891년(고종 28) [1] 2월 1일 (향년 80세)

1. 개요2. 생애3. 여담4. 대중매체

1. 개요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字)는 여회(汝會), 시호는 양숙(襄肅)이다. 광평대군의 후손이며, 신정왕후 조씨의 인척이다. 초명은 이형하(李亨夏)였으나, 1863년 12월 16일 이경하(李景夏)로 개명했다.

아들은 이범윤(간도 관리사), 이범진, 손자는 헤이그 특사 중 한명인 이위종이다. 아들들과 손자는 훗날 독립운동에 헌신 했고 그 결과 세 명 모두 대한민국 건국훈장이 추서됐다.

2. 생애

1811년 1월 1일 한성부(現 서울특별시)에서 오위도총부 경력(五衛都摠府經歷, 종4품)을 지낸 아버지 이인달(李寅達, 1787. 7. 3 ~ 1819. 2. 18)과 어머니 해평 윤씨(1789. 11. 20 ~ 1815. 2. 14) [2] 사이에서 3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832년 우변포도대장(右邊捕盜大將, 종2품)을 지낸 조부 이복연(李復淵, 1765. 2. 17 ~ 1832. 9. 6)의 손자라고 해서 특별히 천거되어 초관(哨官, 종9품)에 제수되었다. 1834년에는 선전관(宣傳官)에 제수되고 이듬해인 1835년(헌종 1) 증광 무과에 병과 23위로 급제했다.

1849년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에 제수되었다.

1863년 고종이 즉위한 뒤 호군(護軍, 정4품)에 올랐고, 1864년 승정원 좌승지(左承旨, 정3품), 경연 참찬관(經筵參贊官, 정3품) 등을 지내다가 흥선대원군에 의해 중용되어 총융사(摠戎使, 종2품), 좌변포도대장(左邊捕盜大將, 종2품),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종2품), 겸 우변포도대장(右邊捕盜大將, 종2품), 겸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 정3품) 등을 역임했다. 1865년에는 병조 참판(兵曹參判, 종2품)을 시작으로 지훈련원사(知訓鍊院事, 정2품), 금위대장(禁衛大將, 종2품),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종2품),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종2품), 한성부 좌윤(左尹, 종2품) 등을 역임했다.

1866년에는 형조판서(정2품), 훈련대장(訓鍊大將, 종2품),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정2품), 순검사(巡檢使), 기보연해도순무사(畿輔沿海都巡撫使) 등을 역임하고 수원부 유수(留守, 종2품)에 부임하여 총리사(摠理使, 정2품)를 겸직했다. 이때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고종에게 상방검을 받고 총지휘관이 되었다. 1868년에는 지삼군부사(知三軍府事, 종2품)를 지냈다. 1869년에는 한성부 판윤(判尹, 정2품)을 거쳐 병조판서에 제수되어 금위대장·어영대장(御營大將)을 겸직했고, 1870년에는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 종1품)를 겸직했다. 1871년에는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정2품),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정2품) 등을 역임했다.

특히 신미사옥으로 천주교도 박해가 한창이던 1871년 3월 어영대장·우변포도대장을 겸직하고 7월 권찰(權察) 좌우변포도대장(左右邊捕盜大將) 등을 역임하면서 수많은 천주교도 및 불법으로 화폐를 주조하는 자들을 사형장에 보냈다. 이때 주로 낙동(駱洞)에 있는 자택에서 심문이 이뤄졌고, 매일 많은 사람들이 사형장으로 보내진다고 하여 사람들이 그를 '낙동염라(駱洞閻羅)'라고 불렀다고 한다. 특히 황현의 《매천야록》에서는 흥선대원군이 이경하가 사람을 잘 죽이니까 기용했다는 식으로 흥선대원군과 이경하 모두를 디스하기도 했다.
이경하는 대원군의 심부름을 가장 많이 했다. 그는 대장(大將)으로서 포도대장을 겸직하여 거의 빈 날 없이 형벌을 내려 살인을 했다.
대원군이 말하기를, "이경하는 다른 장점은 없고 오직 사람을 잘 살해하기 때문에 기용한 것이다"라고 했고 어떤 사람들은, "이경하가 사람들을 마구 죽이는 것이 아니라 사학도(邪學徒)와 도주자(盜鑄者, 화폐를 불법으로 주조하는 자) 등 사형당할 만한 사람들이 처형을 당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李景夏最被雲峴器使, 以大將兼管捕將, 刑殺無虛日, 雲峴嘗曰, 李景夏無他長, 惟善殺人故可用, 或曰景夏非濫殺, 皆邪學·盜鑄可死者爾)
매천야록 권1 갑오이전(甲午以前) 상(上). #

1877년 오위도총부 도총관(五衛都摠府都摠管, 정2품)을 거쳐 강화부 유수, 무위도통사(武衛都統使), 1878년 진무사(鎭撫使), 1880년 판삼군부사(判三軍府事), 1881년 공조판서를 거쳐 무위대장(武衛大將), 경리사(經理事)에 제수되었다.

이듬해인 1882년 6월 9일 자신의 휘하에 있던 무위영(武衛營) 소속 군졸들이 주축이 되어 임오군란을 일으키자, 무위영의 총책임자로서 관리감독을 허술하게 하고, 본 임무인 궁궐 수비를 해내지 못했다는 이유로 명성황후 시해미수에 대한 책임까지 가중되었고, 결국 도봉소 당상(都捧所堂上) 심순택, 선혜청 당상(宣惠廳堂上) 민겸호와 함께 파직되었다.[3] 6월 11일에는 판삼군부사에 임명되었다가 7월 17일 전라도 강진현 고금도유배되었다.[4] 이 과정에서 낙동(駱洞)에 있던 자신의 집을 청나라에 빼앗겼는데, 이 집터에는 훗날 주한중국대사관이 들어선다. 8월 19일에는 '위리안치(圍籬安置, 중죄인을 유배지에서 달아나지 못하도록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 가둠)'로 형벌이 격상되었고, 같은 달 23일 가극(加棘, 울타리에 탱자나무를 더 둘러 침)으로 격상되었다.

1883년 4월 29일, 유배형에서 풀려나 고향으로 쫓겨났다가 그해 8월 2일 사면되었고, 1884년 5월 14일 완전히 석방되어 10월 21일 지중추부사에 제수되면서 조정에 복귀했다. 이후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종1품), 좌변포도대장, 친군전영사(親軍前營使) 등을 역임했다.

1884년 12월 4일 갑신정변 때는 친군전영사 겸 좌변포도대장으로 신정왕후와 세자(후의 순종), 명성황후 등을 셋째 아들 이범진[5]의 집으로 피신시켰다. 갑신정변이 진압된 직후에는 판의금부사에 임명되었다.

1891년 와병으로 향년 80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으며 고종으로부터 양숙(襄肅)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3. 여담

4. 대중매체



[1] 선원속보에는 1892년 졸(卒)으로 등재되어 있다.[2] 윤이동(尹頤東)의 딸이다. 윤이동은 선원속보에 윤순동(尹順東)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무과에 급제하여 수군절도사(정3품)를 지냈다.[3] 직후 무위대장의 직책은 경리사(經理事)로 있던 흥선대원군의 장남 이재면에게 돌아갔다.[4] 임오군란 당시 어영대장으로 있던 신정희(申正熙) 또한 전라도 영광군 임자도에 유배되었다.[5] 이완용과 함께 구한말 친파 대신이었던 인물. 다만 훗날 친일파에 매국노로 변절하는 이완용과 달리, 의병 등 독립운동을 지원했다가 경술국치 때 권총으로 자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