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21:07:00

해평 윤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해평 윤씨
海平 尹氏
관향 <colbgcolor=#fff,#191919>경상북도 구미시[1] 해평면
시조 윤군정(尹君正)
집성촌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사곡리
경기도 오산시 외삼미동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소매리
충청북도 충주시 신니면 모남리
충청북도 청주시 송원동
충청남도 청양군 적곡면 미당리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이천리
황해도 금천군 고동면 덕산리
인구 32,091명(2015년)
1. 개요2. 가문 번성
2.1. 윤철구 파2.2. 윤취동 파
3.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4.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실존 인물
4.1. 10세손4.2. 12세손4.3. 17세손4.4. 18세손4.5. 19세손4.6. 20세손4.7. 21세손4.8. 22세손4.9. 23세손4.10. 24세손 4.11. 25세손 4.12. 26세손 4.13. 27세손 4.14. 28세손 4.15. 29세손

[clearfix]

1. 개요

관향은 경상북도 구미시[2] 해평면[3]이다. 시조는 고려 고종~원종 시기의 무신으로 수사공 상서좌복야 판공부사(守司空 尙書左僕射 判工部事)를 지낸 윤군정(尹君正)[4]이다. 그 손자인 윤석(尹碩)이 충숙왕 때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져 본관이 해평이 되었다고 한다.

인구는 2015년 기준 불과 32,091명으로, 전체 본관별 인구수에서 202위, 윤씨 중에서는 파평 윤씨, 칠원 윤씨, 해남 윤씨에 이은 4위이며, 70만 명이 넘는 파평 윤씨에 비하면 희성이나 다름없다. 그렇다고 한미한 가문은 아니었고 조선시대 내내 꾸준히 정승, 판서, 부마 등을 배출하긴 했으나, 기본 인구가 워낙 적은 편이라 그나마 알려진 조선시대의 유명인은 10세손인 윤은보, 윤은필[5] 형제, 12세손인 윤두수, 윤근수 형제와 윤두수의 고손녀이자 김만중의 어머니인 정경부인 해평 윤씨 정도. 조선조에서 문과 급제자 115명, 상신 6명, 대제학 3명, 공신 3명을 배출하였다. 문과 급제자 수 기준 전체 본관 중 34번째에 해당된다.[6]

조선시대 과거 장원급제자는 다음과 같다.

윤은필(尹殷弼, 생년미상) : 문과(文科) 연산군10년(1504) 별시 일등(一等) 장원급제
윤택휴(尹澤休, 1687 丁卯生) : 문과(文科) 영조11년(1735)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윤득경(尹得敬, 1702 壬午生) : 문과(文科) 영조12년(1736)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윤득우(尹得雨, 1719 己亥生) : 문과(文科) 영조27년(1751)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윤득성(尹得聖, 1699 己卯生) : 문과(文科) 영조45년(1769)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윤치정(尹致鼎, 1764 甲申生) : 문과(文科) 순조1년(1801)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윤치겸(尹致謙, 1772 壬辰生) : 문과(文科) 순조7년(1807)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윤승구(尹升求, 1825 乙酉生) : 문과(文科) 고종10년(1873)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윤횡선(尹宖善, 1832 壬辰生) : 문과(文科) 고종19년(1882)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윤군정의 증손 대에서 소수인 문영공파(文英公派)와 다수인 충간공파(忠簡公派)로 나뉘었고, 문영공파는 8세에서 4개 분파로 나뉘고 충간공파는 13세에서 16개 분파로 나뉘어 총 20개 분파가 현존한다. 문영공파의 4개 분파는 한성윤공파, 청주공파, 장령공파, 남원공파다. 이 중 장령공파는 10세손인 헌간공(憲簡公) 동강(東岡) 윤은필(尹殷弼) 한글위키 대에서 동강공파(東岡公派)로 파조(派祖)하였다. 동강공파는 파조(派祖) 동강(東岡) 윤은필의 증손자이자 여주시로의 입향조(入鄕祖)인 13세손 서윤공(庶尹公) 윤신(尹璶)의 시호를 따라 서윤공파로 부르기도 한다. 서윤공 윤신은 숭정대부 의정부좌참찬 겸 판의금부사, 형조판서, 증좌찬성, 증영의정을 지낸 숙간공(肅簡公) 남악(南岳) 윤승길(尹承吉) 한글위키 의 장남으로 통훈대부 평양부서윤(平壤府庶尹), 첨절제사, 증좌승지를 역임한 선조 시대의 문신이다. 임란 중 부친인 윤승길이 선조를 모시고 의주로 피난하고 있을 동안 양평에서 처가가 있는 여주시 점동면 사곡리(沙谷里)로 입향하였다. 동강공파의 종택은 경기도 여주시에 위치해 있으며 2000년 3월 24일 경기도의 문화재자료 제97호로 지정되었다. 한글위키 종택이 위치한 여주시 점동면 사곡리(모래실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일대에 해평윤씨 집성촌이 있다.

파일:여주-해평윤씨-동강공파-종택-전경-(1)-full-size.jpg
경기도 여주시 점동면 사곡리에 위치한 해평 윤씨 동강공파 종택 전경.[7]

한편 충간공파에 속하는 5개 분파는 선조 때 영의정을 역임한 오음공(梧陰公) 윤두수(12세)의 후손으로 번성하여 따로 오음공파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오음공파에 속하는 치천공파(稺川公派)[8]와 도제공파(都制公派)[9]에서 아래에서 설명하는 구한말부터의 유력 가문이 탄생했다.

경상도가 관향이지만 의외로 경상도에는 드물고, 경기도 양평군과 여주시, 충청도 쪽에 많이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충청북도에 더 많이 산다.[10] 관향에 '평'자가 들어간다는 이유로 파평 윤씨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잘못 아는 사람들이 있으나 파평 윤씨와는 무관하고 분파는 더더욱 아니다.[11][12]

2. 가문 번성

이처럼 비교적 인구도 적고 평범한 양반 가문이었으나, 구한말일제강점기에 갑자기 유력 가문이 되었다. 여기엔 크게 두 갈래가 있다.

2.1. 윤철구 파

문충공 윤용선(尹容善)은 윤두수의 장남인 치천공(稺川公) 윤방의 8대손이자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및 의정대신(영의정에 해당)을 여러 차례 역임한 정계의 원로였다. 그런데 윤용선에게는 친아들이 없었고, 이에 윤위선(尹爲善)의 아들인 윤철구(尹徹求)가 그의 양자로 입적하게 되었다. 윤철구는 진사시에만 합격하였을 뿐 변변한 관직을 가진 적도 없는 사람이었으나 엄청난 양부를 모신 것이 신의 한수가 되어 윤철구의 차남[13] 윤택영의 딸이 황태자(순종)의 계비로 책봉되었고, 훗날 순정효황후가 되면서 국구(황제의 장인)가 된 윤택영은 해풍부원군에, 그 아버지인 윤철구는 영돈녕부사에 봉해졌다. 이에 윤철구의 두 아들 윤덕영·윤택영 형제는 황실의 외척이 되어 권력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윤철구의 장남 윤덕영은 한일합방조약 당시 황제를 겁박하여 조약 체결을 강요하고, 어전회의를 엿들은 조카딸 순정효황후가 치마폭에 감추고 내어주지 않는 옥새를 강제로 빼앗아 합방조약문에 찍게하는 등 합방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여 경술국적 타이틀을 얻었다. 이 공로로 일본으로부터 윤덕영 자신은 자작 작위를, 동생 윤택영은 순정효황후의 아버지로서 후작 작위를 받고 조선귀족이 되어 열심히 친일활동을 하였으며, 특히 윤덕영은 1940년 중추원 부의장에 오름으로써 친일의 정점을 찍었다.[14]

그러나 현재까지도 번창한 아래 윤취동 파와 달리, 황실의 외척으로서 나라를 팔아 받은 조선귀족 작위와 은사금으로 떵떵거렸던 윤덕영·윤택영 형제는 그냥 몰락했다. 심지어 윤택영은 낭비벽이 너무 심해 그 많은 은사금을 다 날리고 파산 선고를 받고 후작 작위를 잃어버리기까지 하였고,[15] 빚쟁이에게 쫓겨 베이징으로 달아나 그곳에서 객사했다.

다만 윤택영의 장남인 윤홍섭은 참의원직을 주겠다는 일제의 회유도 물리치고 빈곤하게 살면서도 아버지의 후작 작위 승계를 거부하였으며, 누이인 순정효황후로부터 10만 원을 얻어다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을 지원하는 등 국내외를 오가며 독립운동에 투신하였고, 이에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고초를 겪는 등 아버지와 다른 길을 걸으며 독립운동가가 되어 집안의 체면을 살렸다. 광복 이후에는 아래에 언급된 먼 친척들인 윤치영, 윤보선 등과 함께 한민당을 창당했고, 숙명학원 이사장을 지내기도 했다.

2.2. 윤취동 파

한편 이들과는 촌수거리가 좀 먼, 윤두수의 차남 도제공(都制公) 윤흔의 6대손인 윤취동(1798. 7. 18. ~ 1863. 12. 21.)이란 인물이 있었다. 말이 양반 가문이지 그의 아버지 윤득실 대에는 가세가 많이 기울어 직접 나뭇짐을 지고 농삿일을 할 정도였다고 한다. 그럼에도 인품이 후하고 성실했던 윤취동은 고향인 천안에서 아산으로 온 뒤 열심히 농토를 개간해 결국 아산에서 손꼽히는 부자가 되어 가세를 다시 일으켰다. 이후 관직에 진출하여 본인은 중추부지사가 되었을 뿐더러, 모은 재산으로 교육시킨 두 아들 윤웅렬윤영렬은 각각 대한제국 군부대신(지금의 국방장관)과 자헌대부로 출세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윤웅렬과 윤영렬은 자식을 매우 많이 두었고, 윤취동이 모은 재산과 남다른 교육열로 이들과 이들의 후손들 또한 대부분 유력인사가 되었다.

윤취동의 주요 자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장남 웅렬(1840. 5. 18. ~ 1911. 9. 22.): 해당 문서 참고. 대한제국 군부대신. 경술국치 이후 조선귀족으로 남작 작위를 받아 친일반민족행위자가 되고 1년 만에 죽었다(…). 여러 여자와의 사이에 총 5남 2녀를 두었는데, 윤치호는 두 번째 부인 전주 이씨 소생이고 윤치왕·윤치창은 측실 김정순 소생이라 나이차이가 꽤 크다.
  • 차남 영렬(1854. 4. 15. ~ 1939. 11. 4.): 해당 문서 참고. 대한제국 자헌대부. 형과는 달리 경술국치 이후 관직을 사퇴하고 조용히 여생을 보냈기 때문에 친일파로 분류되지 않았다. 만년에는 가난해졌지만 차남 윤치소의 재산 덕분에 큰 문제는 없었다고 한다. 조카 윤치호는 그의 일기에서 "치소가 아니었다면 삼촌은 진작에 굶어 죽었을 것"(…)이라는 패드립을 날렸으며, 학식이 없다고 까기도 했다. 그럼에도 사리분별력과 수완은 뛰어난 사람이었다고 평가했다. 한 명의 본처(한진숙)와 두 첩과의 사이에서 총 9남 5녀를 두었으며, 아래의 아들들은 모두 본처 소생이다.
    • 장남 치오(1869. 9. 10. ~ 1950. 12. 22.)[18]: 계몽운동가, 친일반민족행위자. 자손이 굉장히 많은데, 장남인 윤일선의사서울대학교 총장 등을 지냈으며 나머지 자손들도 대부분 의사예술가가 되었다.
    • 차남 치소(1871. 8. 25. ~ 1944. 2. 20.): 정치가, 기업가. 이병도의 겹사돈이다. 일찍부터 이재(理財)에 밝아 윤영렬이 집안 재산 관리를 그에게 맡겼으며, 어마어마한 부자가 되었다. 100칸이 넘는 안국동의 윤보선 자택도 그가 지은 것이다. 이 사람도 자손이 많다. 장남이 대한민국의 4대 대통령윤보선이며, 차남 윤완선의 외증손자가 음악인 남궁연이고, 삼남 윤원선은 흥선 대원군의 증손녀와 결혼했다. 5남 윤택선은 자식이 없었던 윤치병의 양자로 들어갔으며, 그의 아들 윤창구는 KIST 교수를 지냈다. 나머지 자손들도 대부분 정치가, 학자, 목사 등이 되었다.
    • 3남 치성(1875. 4. 7. ~ 1936. 8. 11.): 해당 문서 참고. 이 사람도 자손이 많으며 대부분 언론인, 기업가, 학자 등이 되었는데, 특이하게도 차남 윤달선은 (대부분 개신교였던 이 집안에서) 조계종 승려가 되었다. 여담으로 윤치성은 친일파로 전향하지 않았고, 군대 해산 이후 구 대한제국군 장교들의 취업을 도와주었다.. 자세한 사항은 윤치성 문서 참고.
    • 4남 치병(1880. 7. 10. ~ 1940. 1. 24.): 관료였으나 경술국치가 일어나자 관직을 사퇴하며 친일파로 분류되지 않았다.
    • 5남 치명(1885. 10. 27. ~ 1944. 4. 21.): 윤치병과 함께 경술국치 이후 관직을 사퇴하고 고향 아산시에서 교육자로 살았다. 아들 윤유선은 세브란스 병원 원장, 국립보건원 원장 등을 지냈다.
    • 6남 치영(1898. 2. 10. ~ 1996. 2. 9.): 해당 문서 참고. 자손들은 주로 교수가 되었으며, KBS윤인구 아나운서가 손자다. 인촌 김성수의 사돈이기도 하다.

불과 한 세기 남짓한 기간 동안 윤취동의 자손들 중 정치가, 외교관, 법관, 의사, 학자, 기업가, 예술가, 언론인 등으로 출세한 사람만 백 명이 넘는다고 하며. 게다가 인척, 사돈 관계를 맺은 사람까지 따지면 대한민국의 웬만한 유명인사와 다 연결될 정도.

여기에는 살짝 야사 삘나는 뒷이야기가 있다. 윤취동의 아버지 윤득실은 없는 살림에도 거지들을 구제하고 어려운 이를 보살폈는데, 시주받으러 다니다가 굶고 쓰러진 승려를 데려다가 지극정성으로 돌봤다. 승려는 이에 보답하고자 이순신 장군의 묘 아래를 가리키며 그곳에 조상을 모시면 후손이 잘될 거라고 일러주었고, 후에 윤취동은 아버지 득실을 그곳에 몰래 암장했다.[19] 심지어 그 승려는 만약 들키면 몰랐다고 잡아떼라고 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그리고 나서는 가세가 다시 서고 자손이 번성하고 출세했다는 것이다.

파일:yoon_tree.jpg

다소 씁쓸하게도, 저 격랑의 시대에 저런 유력 가문이었다는 것은 필연적으로 친일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실제로 저 가계도의 적지 않은 인물들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어 있다. 물론 끝끝내 친일을 거부한 윤보선이나 독립운동가들도 많다. 아버지(윤택영)는 친일파, 아들(윤홍섭)은 독립운동가인 등, 가까운 친척 간에도 한쪽에서는 조선귀족 작위를 받아 떵떵거리고 한쪽에서는 일제에 협조를 거부하고 조용히 살기도 했다. 절묘하게도 윤치호 삼형제는 각각 일본/ 영국/ 미국에서 유학했으며 각각 친일, 친영, 친미파가 되었다. 가공할 분산투자인 셈이다.

특기할 만한 점이라면, 다른 네임드(?) 친일파 가문인 여흥 민씨(그래도 일부는 독립운동을 했음 대표적으로 민필호, 민영익 일부), 전주 이씨(왕공족 등 일부) 등은 조선귀족 작위와 일제 은사금으로 아무 생각없이 놀고 먹다가 일제의 패망과 함께 사이좋게 망한 사람이 많은 반면에, 윤취동의 후손들은 기본적인 경제관념과 교육열이 있었기 때문에 상당수가 기업가, 학자, 의사 등으로 출세하여 때문에 해방 이후에도 위세가 거의 그대로 유지되었다는 것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때문에 후일 더 까이게 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이는 애초에 가세의 근원이 은사금 등이 아니라 대부분 윤취동 개인이 축적한 부(富)와 교육열이었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윤치왕의 경우 1910년대에 사비로 영국 유학을 간다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상도 못할 일일 뿐더러 유학 시절 1년에 5천원 정도를 썼는데, 이는 오늘날로 환산하면 2억 5천만 원이 넘는 액수다. (참고로 당시 조선총독부 국장급의 월급이 80원 정도였다.) 한 술 더 떠 윤보선에든버러 대학교 유학 당시 피아트 컨버터블을 타고 다녔는데, 내·외국인을 통틀어 자가용를 가진 유일한 학생이었다고 한다. 이렇게 집안 재산이 많았기 때문에 일제에 협력을 거부한 윤치명·윤치병 같은 인물들도 생활에 별다른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

3. 조선 왕실과의 인척 관계

4.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실존 인물

4.1. 10세손

4.2. 12세손

  • 윤두수: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86대 영의정.[20]
  • 윤근수: 조선 중기의 문신, 시인, 화가.
  • 윤승훈: 조선 중기의 문신. 92대 영의정.

4.3. 17세손[21]

  • 윤급: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

4.4. 18세손[22]

4.5. 19세손[23]

  • 윤취동: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재력가, 대지주.

4.6. 20세손[24]

  • 윤웅렬: 대한제국의 군인, 정치인(온건개화파), 일제강점기 조선귀족
  • 윤영렬: 대한제국의 군인, 정치인

4.7. 21세손[25]

  • 윤치왕: 산부인과 및 외과 의사, 교수, 군의관.
  • 윤치호: 대한제국, 일제강점기의 외교관, 언론인, 교육자, 시민운동가
  • 윤치성: 대한제국, 일제강점기의 군인, 독립운동가, 기업인
  • 윤치영: 제헌국회의원, 전 서울특별시장

4.8. 22세손[26]

4.9. 23세손[27]

4.10. 24세손[28]

4.11. 25세손[29]

4.12. 26세손[31]

4.13. 27세손[32]

4.14. 28세손[33]

  • 윤홍빈: 배우
  • 윤홍정: 대한민국의 정치인,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연구위원

4.15. 29세손[34]



[1] 과거 선산군[2] 과거 선산군[3] 길(吉)씨와 같다.[4] 부인은 경주 이씨로 아버지는 검교정승(檢校政丞) 이세기(李世基), 어머니는 이천 서씨 예빈윤(禮賓尹) 서찬(徐瓚)의 딸이다. 윤군정의 처남인 첨의참리(僉議參理) 이천(李蒨)의 가계도 참조.[5] 동강공파의 파조(派祖)다. 황해도 관찰사, 충청도 관찰사, 홍문관 부제학, 성균관 대사성, 경상도 관찰사, 이조참판 등을 역임했다.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관직을 시작하였으나 기묘사화 이후 사림을 옹호하고 훈구대신들과 거리를 두었던 일로 인해 승차가 늦은 편이었다. 영의정을 지낸 윤승훈(尹承勳) 한글위키 의 친할아버지다.[6] 1위는 870명의 전주 이씨(全州李氏), 2위는 368명의 안동 권씨(安東權氏), 3위는 346명의 파평 윤씨(坡平尹氏)다.[7] 원래는 99칸의 큰 저택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솟을대문과 행랑채는 50년대 후반 청미천 범람 때 무너지고 사랑채는 1963년 화재로 소실되어 현재는 안채 46칸만 남아있다. 2022년 현재 가옥주는 동강공(東岡公)의 17대 종손인 윤중진 씨다. 11대 조부 때부터 만취당(晩趣堂)이란 당호를 쓴다.[8] 윤두수의 장남 치천공 윤방의 후손[9] 윤두수의 차남 도제공 윤흔의 후손[10] 다만 유명한 집성촌은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신항리에 있으며 윤보선의 고향도 이곳이다. 이곳이 바로 윤취동이 재력과 토지를 구축한 곳, 즉 그의 본진이었기 때문.[11] 실제로 윤씨의 4분의 3 가량이 파평 윤씨 또는 그 분파(남원 윤씨, 함안 윤씨 등)에 속하나, 해평 윤씨는 파평 윤씨와 상관이 없다. 더구나 이들의 관향인 파평은 경기도 파주, 해평은 경상도 구미에 있는 지명으로 서로 '평(平)' 자만 우연히 겹칠 뿐이다.[12] 조선시대 당파로 보아도 파평 윤씨소론의 대표적 가문이지만 해평 윤씨는 노론이다.[13] 정확히는 삼남이나 작은 형이 일찍 죽어 사실상 차남의 역할을 하였다.[14] 중추원 의장은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총독 다음 서열)이 겸임하므로 조선인이 오를 수 있는 최고위직은 부의장이다.[15] 나중에 작위를 회복하기는 하였다. 그 작위는 아래와 같이 장남 윤홍섭이 독립운동에 투신한 까닭에 차남 윤의섭이 이어받았으며, 윤의섭은 아버지처럼 열심히 친일을 하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수록되었다.[16] 단 양자인 조카의 손자이므로 친증손자는 아니다.[17] 불확실하지만 윤치왕의 장교자력표에 생모(김정순)의 차남이라 되어있어 요절한 형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8] 제대로 보면 눈치채겠지만 아버지 윤영렬하고 나이차이가 고작 15년이다. 중3 나이에 득남을 한 셈. 아버지하고 큰아버지 윤웅렬이 14년 조금 안되는데(...).[19] 후에 윤득실 묘는 근처인 현재의 위치로 이장했다.[20] 오음공파의 파조(派祖)이다.[21] 종파에 따라 쇠금변(金) 혹은 삼수변(氵)이 들어간 외자를 항렬로 사용.[22] '택(澤)O' 혹은 '득(得)O' 두 가지 항렬 사용.[23] 'O동(東)' 혹은 'O상(相)' 두 가지 항렬 사용.[24] 'O렬(烈)' 혹은 'O겸(謙)' 두 가지 항렬 사용.[25] '치(致)O' 혹은 '철(喆)O' 두 가지 항렬 사용.[26] 'O선(善)' 항렬.[27] 'O구(求)' 항렬.[28] 'O영(榮)' 항렬.[29] 'O섭(燮)' 항렬.[30] 대한제국의 황후가 대한민국 대통령증손녀 뻘이다(...).[31] 'O로·노(老)' 항렬.[32] 'O진(鎭)' 항렬.[33] '홍(洪)O' 항렬.[34] 'O식(植)' 항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