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30066, #330066 20%, #330066 80%, #330066);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25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이동녕 | 손정도 | 홍진 | 김인전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조소앙 | 장붕 | 윤기섭 | 조상섭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여운형 | 최창식 | 송병조 | 이동녕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이강 | 김붕준 | 이동녕 | 송병조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홍진 | 김붕준 | 송병조 | 홍진 |
과도입법의원 의장 · 국회의장}}}}}} ||
윤기섭 관련 틀 | |||||||||||||||||||||||||||||||||||||||||||||||||||||||||||||||||||||||||||||||||||||||||||||||||||||||||||||||||||||||||||||||||||||||||||||||||||||||||||||||||||||||||||||||||||||||||||||||||||||||||||||||||||||||||||||||||||||||||||||||||||||||||||||||||||||||||||||||||||||||||||||||||||||||||||||||||||||||||||||||||||||||||||||||
|
<colbgcolor=#330066><colcolor=#fff>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제7대 의장 윤기섭 尹琦燮 | Yoon Ki-seop | |||
출생 | 1887년 4월 4일 | ||
경기도 장단도호부 동도면 사야시리[1] (현 개성시 장풍군 사시리) | |||
사망 | 1959년 2월 27일 (향년 71세) | ||
북한 평양시 |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무후선열 위패-206호 | ||
평양시 애국렬사릉 | |||
재임기간 | 제7대 임시의정원 의장 | ||
? ~ 1924년 3월 27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30066><colcolor=#fff> 본관 | 해평 윤씨[2] | |
자 | 중규(仲珪) | ||
호 | 완운(蜿雲), 규운(虯雲) | ||
의원 선수 | 1 | ||
의원 대수 | 2 | ||
서훈 |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1989년)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정치인. 광복 이후 제2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1950년 납북되었고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2. 생애
2.1. 해방 이전
1887년 4월 4일 경기도 장단도호부 동도면 사야시리(현 개성시 장풍군 사시리)의 양반가에서 윤기영(尹耆榮, 1843. 10. 24 ~ 1897. 2. 11)[3]과 어머니 합천 이씨(1859 ~ 1892. 5. 20)[4] 사이의 2남 3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상경해 사립 보성중학교를 졸업하였다.그의 고조부 윤치민(尹致民, 1761. 6. 7 ~ 1822. 8. 2)은 1795년(정조 19) 식년 생원시에 3등 16위로 입격한 뒤 1817년(순조 17) 사도시 첨정(司䆃寺僉正, 종4품), 대흥군수(大興郡守) 등을 역임했으며, 증조부 윤학선(尹學善, 1781. 6. 12 ~ 1833. 8. 2) 또한 1807년(순조 7) 식년 생원시에 2등 10위로 입격한 뒤 음서로 1830년 종묘서 령(宗廟署令, 종5품) 등을 역임했다.
1909년 청년학우회(靑年學友會)에 가입했다가 105인 사건이 일어나자 청나라 동삼성으로 망명하였다. 1911년 봄 신흥무관학교 학감이 되었다가 교장에 취임해 독립군 병사들의 군사 훈련을 지도하였다. 1912년 경학사의 후신 부민단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19년 초 만주 서간도의 한족회 조직에 참여하여 한족회 학무부장이 되었다.
1919년 4월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요청으로 상하이로 건너갔다.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 육군 무관학교 교관에 선임되었다. 이후 임시의정원 의원, 제7대 임시의정원 의장, 임시정부 국무원 군무차장, 임시정부 국무위원 등을 지냈다.
1926년 12월 9일에는 제9대 임시정부 내무부장에 취임해 1927년 4월 11일까지 역임했다. 그 사이 1927년 2월, 동방피압박민족연합회(東方被壓迫民族聯合會) 조직에 참여해 이사에 취임했고, 그해 3월에는 한국국민당에 입당했다. 1930년 한국독립당이 창당되자 군사위원장에 취임했고, 1931년 11월 한중민족항일대동맹(韓中民族抗日大同盟) 조직에 참여해 이사를 역임했다.
1932년 한국독립당을 탈당하고 남경특별시에서 신익희 등과 함께 한국혁명당을 창당해 집행위원장에 취임했고, 상하이를 비롯한 각지에 흩어져 있는 독립운동 동지들과 연락을 취했다. 1933년 3월 6일에는 제17대 임시정부 군무부장에 취임해 1934년 9월 20일까지 역임했다. 1935년에는 김규식, 지청천 등과 민족혁명당을 조직, 중앙위원에 취임하고 민족유일당 운동 전개에 참여했다. 이때 그는 한국혁명당 대표로 참가하였다. 194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다시 입각하여 국무위원이 되고, 1943년 3월 임시정부 군무부 차장이 되었다.
2.2. 해방 이후
1946년 2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 2진으로 귀국하였다. 이후 민족혁명당 당원 신분에서 민주주의민족전선에서 활동하기도 하였으나, 중도우파 스탠스의 정치노선을 지닌 그는 좌우합작위원회에 참가. 그 해 12월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 조선민족혁명당 대표로 관선의원에 선출되어 부의장으로 활동했다. 1947년 10월에는 민족자주연맹이 창당되자 입당해 중앙집행위원에 취임하기도 했으나, 이후 탈당했다. 탈당 후 1948년 독립운동자동맹 부위원장을 역임했고, 그해 9월 1일 국학대학 학장에 취임했다.1950년 5월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6.25 전쟁이 일어나면서 납북되었다.
이후 납북인사를 중심으로 결성된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집행위원에 선임되었고, 1956년 7월에는 상무위원이 되었다. 그러나 1959년 초 간첩 혐의로 투옥되었고, 그해 2월 27일 지병이 악화되어 평양시에서 사망했다. 사후 그의 유해는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1989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 이후 국립서울현충원에 그를 기리는 무후선열 위패가 봉안되었다.
3. 가족
4. 선거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소속 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50 | 제2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서대문구 을) | 무소속 | 11,674 (36.65%) | 당선 (1위) | [8] |
[1] 독립유공자 공적조서 기준. 장단도호부 서도면 중리 출신이라고도 한다.1934년 작성된 용의조선인명부에는 경기도 장단도호부 서도면 중리(현 개성시 장풍군 대덕산리)에서 태어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한편, 조부 윤길구(尹吉求, 1809. 10. 1 ~ 1877. 8. 8)와 아버지 윤기영(尹耆榮, 1843. 10. 24 ~ 1897. 2. 11)의 묘소가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마산리에 있는데, 이를 근거로 윤기섭의 출생지를 파주시 파평면 마산리(당시 파주목 주내면 마산리)로 보기도 한다.[2] 백사공파(白沙公派) 25세 섭(燮) 항렬.[3] 초명 윤만영(尹晩榮).[4] 이현강(李鉉剛)의 딸이다.[5] 일본 경찰을 피해 피신했으나 이후 행방불명되었다.[6] 족보명은 윤눈솔.[7] 사법시험 41회, 사법연수원 31기[8] 6.25 전쟁 중 납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