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07:02:09

경복궁 건춘문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in-width:500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1.2px; font: 0.90em/1.2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ord-break: keep-all"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현무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천하제일복지천 각자 <bgcolor=#ddd,#383b40>
청와대 본관 오운각<bgcolor=#75b2dd> 옥련정 <bgcolor=#ddd,#383b40>
벽화실 청와대 관저 <bgcolor=#ddd,#383b40> 헌춘문
수궁
(구 관저터)
녹지원 춘안당 · 융문당 · 관광청
칠궁 <bgcolor=#ddd,#383b40> 용강문 양정재 융무당 <bgcolor=#ddd,#383b40>태화궁
경농재
지희실 · 관풍루 · 대유헌 · 중일각 · 팔도배미
영빈관 · 경호실
회맹단 <bgcolor=#75b2dd> 경무대 수궁 춘추관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금화문 · 추성문 여민관 여민관 헬기장 금위군
직소
춘화문 <bgcolor=#ddd,#383b40>춘생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신무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수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계무문 <bgcolor=#ddd,#383b40> 광무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춘도문 <bgcolor=#ddd,#383b40> 수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수문장청 군사방 집옥재
(팔우정 · 협길당
종각 · 가회정 · 보현당)
<bgcolor=#75b2dd> 각감청 관문각
건청궁
서녹산
(남여고 · 육우정 · 녹직 처소)
<bgcolor=#75b2dd> 어구 동녹산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숙문당 태원전 · 영사재 대왕대비전 세답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빈궁 세답방 공묵재 중궁전 세답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순화궁 세답방 왕대비전 세답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75b2dd> 향원정 동장고 통화당 순화궁 외소주방 숙경재 선원전
(내재실 · 진설청)
경안당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만화당 순화궁 내소주방 진전 소주방 진전 생물방 화락당 나인 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회안전 문경전 서장고 <bgcolor=#75b2dd> 함화당·집경당 영훈당 벽혜당(왕대비전 생물방) 대향당 국립민속박물관
나인 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bgcolor=#75b2dd> 빈궁 생물방 상궁 처소 다경합 건복합 만경전 정훈당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회광당
(빈궁 내소주방)
광원당
(빈궁 외소주방)
건기당
(왕대비전 내소주방
요광당(왕대비전 외소주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숙설소 흥복전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제수합 영보당 벽월당
(상궁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원역 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제관방 수인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국별장 · 국출신 · 무겸 · 북소위장 직소 <bgcolor=#75b2dd> <bgcolor=#75b2dd> 대왕대비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집희당
(대왕대비전 내소주방)
춘소당
(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
(대왕대비전 수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동 원역 처소 아미산 자미당 자경전 벽로당
(상궁처소)
웅향당
(상궁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서 원역 처소 장방 침채고 예춘당
(대왕대비전 생물방)
함정당
(대왕대비전 외소주방)
계응당
(상궁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wiki style="margin: -16px -10.5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1.2px;" 하향정 <nopad>
<bgcolor=#ddd,#383b40> 경회루 <nopad>
}}} <bgcolor=#ddd,#383b40> 융화당 함원전 <bgcolor=#ddd,#383b40> 건순각 인지당 나인 처소 임향당 나인 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75b2dd> <bgcolor=#ddd,#383b40> 함홍각 <bgcolor=#ddd,#383b40> 교태전 <bgcolor=#ddd,#383b40> 원길헌 복희당
(대전 생물방)
보월당
(상궁처소)
자운당
(상궁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대재문 흠경각 <bgcolor=#ddd,#383b40> 재성문 <bgcolor=#ddd,#383b40> 만통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자안당 <bgcolor=#ddd,#383b40> 내순당
보의당
<bgcolor=#ddd,#383b40> 양의문 <bgcolor=#ddd,#383b40> 체인당
승순당
<bgcolor=#ddd,#383b40> 흥안당 대전
내소주방
난지당
(대전 외소주방)
대소대금방
(나인 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건상당 <bgcolor=#ddd,#383b40> 응지당 강녕전 연길당 <bgcolor=#ddd,#383b40> 계광당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내성문 <bgcolor=#ddd,#383b40> 지도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파수각 <bgcolor=#ddd,#383b40> 의안당 경성전 연생전 <bgcolor=#ddd,#383b40> 수경당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수문<bgcolor=#75b2dd> <bgcolor=#ddd,#383b40> 건의당 <bgcolor=#ddd,#383b40> 연소당 용부문 <bgcolor=#ddd,#383b40> 향오문 <bgcolor=#ddd,#383b40> 청심당 안지문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영추문 수문장청 내각
(규장각)
검서청
(규장각)
대전 장방 <bgcolor=#ddd,#383b40> 습회당 <bgcolor=#ddd,#383b40> 협오당 <bgcolor=#ddd,#383b40> 장원당 <bgcolor=#ddd,#383b40> 천추전 사정전 만춘전 <bgcolor=#ddd,#383b40> 연태문 자선당 비현각 장방 수문장청 <bgcolor=#ddd,#383b40> 건춘문
<bgcolor=#ddd,#383b40> 수정전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협선당
용신당
<bgcolor=#ddd,#383b40> 건인각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장방 경복궁 관리소
군사방 · 초관 직소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수정문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숭현문 <bgcolor=#ddd,#383b40> 사현문 별감방 군사방
<bgcolor=#ddd,#383b40> 장무관 직소
(내의원)
입심억석
(내의원)
주원
(사옹원)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사정문 <bgcolor=#ddd,#383b40> 오상방 원역 처소 <bgcolor=#75b2dd>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훈국군번 직소 · 서소위장 직소 침의청
(내의원)
약방
(내의원)
내반원
(내시부)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영화문<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향실
예문관
협의문 내삼청
융무루
내삼청
충의청
근정전 <bgcolor=#ddd,#383b40> 관광청
양미고
계인문 누상고
융문루
누상고
서방색
통장청 문기수청 춘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의약청
(내의원)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계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옥당
(홍문관)
검서청
(규장각)
대전 수랏간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숭양문 <bgcolor=#ddd,#383b40> 계조당 훈국군번 처소 초관 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당후
(승정원)
정원
(승정원)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월화문 · 근정문 · 일화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누국 선전관청 빈청 <bgcolor=#ddd,#383b40> 기별청
유화문
배설방
수각
내병조


<bgcolor=#ddd,#383b40> 덕양문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75b2dd> <bgcolor=#75b2dd> <bgcolor=#75b2dd><bgcolor=#75b2dd><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일영대 <bgcolor=#75b2dd> 춘방 책고 대청 상의원 면복각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신당 <bgcolor=#ddd,#383b40> 덕응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마랑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정색 마색<bgcolor=#ddd,#383b40> 흥례문 <bgcolor=#ddd,#383b40>결속색<bgcolor=#ddd,#383b40><bgcolor=#75b2dd><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 처소 마랑 <bgcolor=#ddd,#383b40> 마랑 <bgcolor=#ddd,#383b40>용성문 어도 <bgcolor=#ddd,#383b40>협생문 계방 오위도총부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마랑 국립고궁박물관 마랑 창고 <bgcolor=#75b2dd> 연지 <bgcolor=#ddd,#383b40>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견마배청 초관처소·영군직소 · 측사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마랑 <bgcolor=#ddd,#383b40> 측사 충장장청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서십자각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수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광화문
(월대)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수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colbgcolor=#bf1400> 경복궁 건춘문
景福宮 建春門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건축시기 1395년 (창건) / 1867년 (중건)
파일:external/www.cha.go.kr/1624469.jpg
<colbgcolor=#bf1400> 건춘문[1]
1. 개요2. 이름3. 역사4. 구조5. 부속 건물
5.1. 건춘문 수문장청(建春門 守門將廳)5.2. 건춘문 군사방(建春門 軍士房)5.3. 별감방(別監房)5.4. 건춘문 초관처소(建春門 哨官處所)5.5. 건춘문 훈국군번처소(建春門 訓局軍番處所)
6. 여담

[clearfix]

1. 개요

경복궁의 동문(東門)이다. 주로 왕실의 친인척이나 궁인들이 이용했다.

현판 글씨는 고종 때 관료인 이경하[2]1865년(고종 2년) 9월 17일 현판 서사관(書寫官)에 차출되어 쓴 것이다.

최근 발견된 <경복궁 영건일기> 일본 와세다 대학 소장본에 따르면 원래 건춘문 현판은 묵본록서(墨本綠書; 검정 바탕 녹색 글씨)였다고 한다. # 그러나 이 현판은 전해지지 않고 현재 걸려있는 현판의 글씨는 서예가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 1921~2006)이 썼다. #

2. 이름

‘건춘’은 직역하면 ‘봄(春)을 세운다(建)’는 뜻이다. ‘建(세울 건)’은 ‘立(설 립)’과 의미가 비슷하므로, ‘입춘(立春)’, 즉 ‘봄이 시작된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오행에서 동쪽은 봄을 나타내므로, 동쪽 문에 ‘춘(春)’ 자를 붙이는 경우가 많다.#

3. 역사

1395년(태조 4년)에 경복궁을 창건할 때 건립되었으며# 1428년(세종 10년) 5월에 다시 지었다.#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불탄 뒤 270여 년간 방치되었다. 1865년(고종 2년)에 중건되어 오늘에 이른다.

4. 구조

  • 아치을 낸 석축 위에 단층짜리 문루(門樓)를 올렸다. 문루 4면의 가장자리 앞에는 벽돌로 쌓은 통여장이 놓여있다.#
  • 통여장의 바로 밑 부분 석축에 석누조 2개가 달려 있다. 이는 비가 올 때 빗물이 빨리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 문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총 6칸이다. 지붕은 우진각 지붕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전부 양성바름을 했고 그 위에 취두와 용두, 잡상을 올렸으며, 추녀 끝에는 토수를 끼웠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공포는 이익공이다. 공포 사이마다 화반을 놓았으며 단청은 모루단청으로 칠했다.
  • 문루의 내부는 전부 한 공간으로 트여있다. 가운데칸 천장은 구조가 다 드러나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가장자리 쪽 들보 위는 우물반자로 마감하였다. 문루의 바닥은 전부 전돌을 깔았으나 가운데 칸만 마루를 깔았다.#
  • 아치은 겉에만 아치를 구성하고 내부의 천장은 반자로 덮어 놓은 모습이다. 반자에는 청룡황룡이 그려져 있다. 은 동쪽의 수호신을 뜻하기에 경복궁의 동쪽 문인 건춘문에 그려넣은 것이다. 문짝은 붉은색 나무이며 문짝 위에는 문둔테를 두었다.#
  • 경복궁 안쪽 부분의 석축 양쪽에 문루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을 두었다. 계단에 난간은 설치하지 않았다. 계단과 문루 사이의 통여장 가운데에는 전돌을 쌓은 을 두었다.#

5. 부속 건물

5.1. 건춘문 수문장청(建春門 守門將廳)

파일:건춘문 수문장청.png
<colbgcolor=#bf1400> 건춘문 수문장청
파일:경복궁 대문 수문장청.png
《북궐도형》의 건춘문 수문장청 내부 구성도
景福宮 建春門 守門將廳

건춘문 안쪽의 수문장들이 근무하던 곳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심하게 변형되었다가 헐렸고 경복궁 2차 복원 공사 5단계(2039년~2045년)에 복원될 예정이다.

5.2. 건춘문 군사방(建春門 軍士房)

파일:건춘문 군사방.png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건춘문 군사방 내부 구성도
景福宮 建春門 軍士房

건춘문을 여닫는 군사들이 있던 곳이다. 일제강점기에 헐려서 현재는 없고 경복궁 2차 복원 공사 5단계(2039년~2045년)에 복원될 예정이다.

5.3. 별감방(別監房)

파일:경복궁 별감방.png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군사방 내부 구성도
景福宮 別監房

건춘문 수문장청 북서쪽에 있던 별감들의 처소이다. 1907년(광무 11년)에 제작된 《북궐도형》에는 이미 헐려서 '금무(今無)' 즉 '현재는 없음' 으로 표시하고 빈칸으로 그려두었다.

5.4. 건춘문 초관처소(建春門 哨官處所)

파일:건춘문 초관처소.png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건춘문 초관처소 내부 구성도
景福宮 建春門 哨官處所

건춘문 안쪽의 경비를 담당한 종 9품의 무관인 초관(哨官)의 처소이다. 일제강점기에 헐려서 현재는 없다.

5.5. 건춘문 훈국군번처소(建春門 訓局軍番處所)

파일:건춘문 훈국군번처소.png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건춘문 훈국군번처소 내부 구성도
景福宮 建春門 訓局軍番處所

건춘문 안쪽의 경비를 담당한 훈련도감 병사들의 처소이다. 1907년(광무 11년)에 제작된 《북궐도형》에는 이미 헐려서 '금무(今無)' 즉 '현재는 없음' 으로 표시하고 빈칸으로 그려두었다.

6. 여담

  • 조선 초 · 중기에 유독 건춘문 일대에서 해괴한 일이 많이 일어났다. 세종 때는 부엉이가 나타나서 울었고#, 세조 때는 궁궐을 지키는 갑사 한 명이 벼락을 맞아 해괴제를 지냈다.# 또한 중종 때는 익명서가 달린 화살이 건춘문에 날라온 일이 여러 번 있었다.###
파일:external/images.wikia.com/Kof97koreabg.gif}}} ||
<colbgcolor=#bf1400>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의 한국 스테이지 배경으로 나온 건춘문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의 한국 스테이지 배경이었다.* 길 건너편에 주한 폴란드 대사관이 있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흥선대원군의 신임을 받던 포도대장, 금위대장이었다. 이범진의 아버지이자 이위종의 할아버지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