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23:36:22

경복궁 흠경각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in-width:500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1.2px; font: 0.90em/1.2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ord-break: keep-all"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현무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천하제일복지천 각자 <bgcolor=#ddd,#383b40>
청와대 본관 오운각<bgcolor=#75b2dd> 옥련정 <bgcolor=#ddd,#383b40>
벽화실 청와대 관저 <bgcolor=#ddd,#383b40> 헌춘문
수궁
(구 관저터)
녹지원 춘안당 · 융문당 · 관광청
칠궁 <bgcolor=#ddd,#383b40> 용강문 양정재 융무당 <bgcolor=#ddd,#383b40>태화궁
경농재
지희실 · 관풍루 · 대유헌 · 중일각 · 팔도배미
영빈관 · 경호실
회맹단 <bgcolor=#75b2dd> 경무대 수궁 춘추관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금화문 · 추성문 여민관 여민관 헬기장 금위군
직소
춘화문 <bgcolor=#ddd,#383b40>춘생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신무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수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계무문 <bgcolor=#ddd,#383b40> 광무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춘도문 <bgcolor=#ddd,#383b40> 수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수문장청 군사방 집옥재
(팔우정 · 협길당
종각 · 가회정 · 보현당)
<bgcolor=#75b2dd> 각감청 관문각
건청궁
서녹산
(남여고 · 육우정 · 녹직 처소)
<bgcolor=#75b2dd> 어구 동녹산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숙문당 태원전 · 영사재 대왕대비전 세답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빈궁 세답방 공묵재 중궁전 세답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순화궁 세답방 왕대비전 세답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75b2dd> 향원정 동장고 통화당 순화궁 외소주방 숙경재 선원전
(내재실 · 진설청)
경안당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만화당 순화궁 내소주방 진전 소주방 진전 생물방 화락당 나인 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회안전 문경전 서장고 <bgcolor=#75b2dd> 함화당·집경당 영훈당 벽혜당(왕대비전 생물방) 대향당 국립민속박물관
나인 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bgcolor=#75b2dd> 빈궁 생물방 상궁 처소 다경합 건복합 만경전 정훈당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회광당
(빈궁 내소주방)
광원당
(빈궁 외소주방)
건기당
(왕대비전 내소주방
요광당(왕대비전 외소주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숙설소 흥복전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제수합 영보당 벽월당
(상궁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원역 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제관방 수인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국별장 · 국출신 · 무겸 · 북소위장 직소 <bgcolor=#75b2dd> <bgcolor=#75b2dd> 대왕대비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집희당
(대왕대비전 내소주방)
춘소당
(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
(대왕대비전 수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동 원역 처소 아미산 자미당 자경전 벽로당
(상궁처소)
웅향당
(상궁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서 원역 처소 장방 침채고 예춘당
(대왕대비전 생물방)
함정당
(대왕대비전 외소주방)
계응당
(상궁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wiki style="margin: -16px -10.5px; font-size: 0.9em; letter-spacing: -1.2px;" 하향정 <nopad>
<bgcolor=#ddd,#383b40> 경회루 <nopad>
}}} <bgcolor=#ddd,#383b40> 융화당 함원전 <bgcolor=#ddd,#383b40> 건순각 인지당 나인 처소 임향당 나인 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75b2dd> <bgcolor=#ddd,#383b40> 함홍각 <bgcolor=#ddd,#383b40> 교태전 <bgcolor=#ddd,#383b40> 원길헌 복희당
(대전 생물방)
보월당
(상궁처소)
자운당
(상궁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대재문 흠경각 <bgcolor=#ddd,#383b40> 재성문 <bgcolor=#ddd,#383b40> 만통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자안당 <bgcolor=#ddd,#383b40> 내순당
보의당
<bgcolor=#ddd,#383b40> 양의문 <bgcolor=#ddd,#383b40> 체인당
승순당
<bgcolor=#ddd,#383b40> 흥안당 대전
내소주방
난지당
(대전 외소주방)
대소대금방
(나인 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건상당 <bgcolor=#ddd,#383b40> 응지당 강녕전 연길당 <bgcolor=#ddd,#383b40> 계광당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내성문 <bgcolor=#ddd,#383b40> 지도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파수각 <bgcolor=#ddd,#383b40> 의안당 경성전 연생전 <bgcolor=#ddd,#383b40> 수경당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수문<bgcolor=#75b2dd> <bgcolor=#ddd,#383b40> 건의당 <bgcolor=#ddd,#383b40> 연소당 용부문 <bgcolor=#ddd,#383b40> 향오문 <bgcolor=#ddd,#383b40> 청심당 안지문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영추문 수문장청 내각
(규장각)
검서청
(규장각)
대전 장방 <bgcolor=#ddd,#383b40> 습회당 <bgcolor=#ddd,#383b40> 협오당 <bgcolor=#ddd,#383b40> 장원당 <bgcolor=#ddd,#383b40> 천추전 사정전 만춘전 <bgcolor=#ddd,#383b40> 연태문 자선당 비현각 장방 수문장청 <bgcolor=#ddd,#383b40> 건춘문
<bgcolor=#ddd,#383b40> 수정전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협선당
용신당
<bgcolor=#ddd,#383b40> 건인각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장방 경복궁 관리소
군사방 · 초관 직소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수정문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숭현문 <bgcolor=#ddd,#383b40> 사현문 별감방 군사방
<bgcolor=#ddd,#383b40> 장무관 직소
(내의원)
입심억석
(내의원)
주원
(사옹원)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사정문 <bgcolor=#ddd,#383b40> 오상방 원역 처소 <bgcolor=#75b2dd>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훈국군번 직소 · 서소위장 직소 침의청
(내의원)
약방
(내의원)
내반원
(내시부)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영화문<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향실
예문관
협의문 내삼청
융무루
내삼청
충의청
근정전 <bgcolor=#ddd,#383b40> 관광청
양미고
계인문 누상고
융문루
누상고
서방색
통장청 문기수청 춘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의약청
(내의원)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계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옥당
(홍문관)
검서청
(규장각)
대전 수랏간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숭양문 <bgcolor=#ddd,#383b40> 계조당 훈국군번 처소 초관 처소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당후
(승정원)
정원
(승정원)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월화문 · 근정문 · 일화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누국 선전관청 빈청 <bgcolor=#ddd,#383b40> 기별청
유화문
배설방
수각
내병조


<bgcolor=#ddd,#383b40> 덕양문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75b2dd> <bgcolor=#75b2dd> <bgcolor=#75b2dd><bgcolor=#75b2dd><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일영대 <bgcolor=#75b2dd> 춘방 책고 대청 상의원 면복각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신당 <bgcolor=#ddd,#383b40> 덕응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마랑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정색 마색<bgcolor=#ddd,#383b40> 흥례문 <bgcolor=#ddd,#383b40>결속색<bgcolor=#ddd,#383b40><bgcolor=#75b2dd><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 처소 마랑 <bgcolor=#ddd,#383b40> 마랑 <bgcolor=#ddd,#383b40>용성문 어도 <bgcolor=#ddd,#383b40>협생문 계방 오위도총부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마랑 국립고궁박물관 마랑 창고 <bgcolor=#75b2dd> 연지 <bgcolor=#ddd,#383b40>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견마배청 초관처소·영군직소 · 측사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bgcolor=#ddd,#383b40> 마랑 <bgcolor=#ddd,#383b40> 측사 충장장청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서십자각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수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광화문
(월대)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수문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bgcolor=#ddd,#383b40> 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colbgcolor=#bf1400> 경복궁 흠경각
景福宮 欽敬閣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건축시기 1438년 (창건)
1554년 (중건)
1867년 (중건)
1888년 (중건)
1995년 (복원)
파일:경복궁 흠경각.png
<colbgcolor=#bf1400> 흠경각

1. 개요2. 이름과 현판3. 역사4. 구조5. 옥루

[clearfix]

1. 개요

경복궁전각으로, 자동 천문시계해시계를 비롯한 각종 기상 관측 기구들을 모아 두고 연구하던 일종의 천문관이다.

교태전의 서쪽, 함원전의 남쪽에 있다.

2. 이름과 현판

‘흠경(欽敬)’은 《서경》 - 〈요전〉에 나온 ‘흠약호천(欽若昊天)’, ‘경수인시(敬授人時)’의 앞 글자를 딴 것이다. ‘큰 하늘(昊天) 앞에 받들어 좇아(欽若) 공손한 자세로(敬) 백성들(人)에게 필요한 시간(時)을 알려 준다(授)’는 뜻이다.

현판 글씨는 서예가 동강 조수호(趙守鎬, 1924 ~ 2016) 선생이 쓰고 각자장 철제 오옥진 선생(吳玉鎭, 1935 ~ 2014)이 새겼다.

3. 역사

세종 재위 시절인 1437년(세종 19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이듬해인 1438년(세종 20년)에 완공되었다. 이 때 당시 우승지였던 김돈이 기문을 지었다. 기문에 따르면 당시의 흠경각은 천추전 서쪽에 있는 작은 전각 1칸 규모였다고 한다. 세종은 흠경각을 여러 과학자들이 연구하는 공간으로 만들었으며 해시계앙부일구, 물시계인 옥루 등을 설치하는 곳으로 활용하였다. #

1553년(명종 8년)에 경복궁 주요부에 화재가 일어나 소실되었고 다음해에 복구하였다. 이후 1592년(선조 25년)에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져 약 270년 간 재건하지 못했다. 흠경각은 이후 창덕궁으로 옮겨 세워졌다.

1868년(고종 5년) 경복궁 중건 때 다시 지었다. 이 때 현재 자리로 위치가 바뀌었다. 1876년(고종 13년) 경복궁 내전 영역과 함께 불탔다가 1888년(고종 25년)에 복구되었다.

그러다 일제강점기인 1917년 화재로 사라진 창덕궁 내전 영역을 복구할 때 자재로 쓰이면서 사라졌다. 현재 건물은 1995년에 복원한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과학문화융합콘텐츠연구개발사업' 일환으로, 국립중앙과학관에서 2019년 9월에 흠경각 옥루를 복원하였다. # 복원한 옥루는 현재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기술관 전통과학분야에 전시 중이다.

자세한 건물의 구조는 이 포스팅을 참조.

4. 구조

경복궁 | 강녕전·교태전 일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85em; letter-spacing: -1.0px; font: 0.85em/1.1 monospace; font-family: revert; word-break:keep-all"
※범례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1px; padding: 2px 3px; background: #202c5b" dark-style="background: #141b38"
<#FFF,#000> ▲ 흥복전 일대
<#FFF,#000> ◀


<#202c5b,#141b38> 침채 <#00a372> 아미산 <#00a372> <#efefef,#222> 자미당 <#FFF,#000>




<#202c5b,#141b38> 건순각 <#efefef,#222>  
<#202c5b,#141b38> 융화 <#202c5b,#141b38> <#efefef,#222>  
<#202c5b,#141b38> 함원전 <#202c5b,#141b38> <#202c5b,#141b38> 교태전
<#202c5b,#141b38> 함홍각 <#202c5b,#141b38> 원길헌 <#202c5b,#141b38>
<#202c5b,#141b38> 대재 <#202c5b,#141b38>성문 <#d3cabb,#726d65>  
 
<#202c5b,#141b38> 만통
<#202c5b,#141b38> 자안 <#202c5b,#141b38>

<#202c5b,#141b38>

<#202c5b,#141b38> 흠경각 <#202c5b,#141b38> 보의당 <#202c5b,#141b38> 양의문 <#202c5b,#141b38> 승순당 <#efefef,#222> 송인당 <#FFF,#000>



·




 
<#202c5b,#141b38> 응지당  <#202c5b,#141b38> 연길당 <#202c5b,#141b38>안당
<#202c5b,#141b38> 강녕전
<#202c5b,#141b38>  
<#202c5b,#141b38>상당 <#202c5b,#141b38>광당
<#202c5b,#141b38> 경성전   <#d3cabb,#726d65> <#202c5b,#141b38> 연생전
<#d3cabb,#726d65>
<#202c5b,#141b38>성문 <#202c5b,#141b38>도문
<#202c5b,#141b38>안당 <#202c5b,#141b38>경당
 
 
  <#202c5b,#141b38> 건의당 <#202c5b,#141b38> 용부문 <#202c5b,#141b38> 연소당 <#202c5b,#141b38> 향오문 <#202c5b,#141b38> 청심당 <#202c5b,#141b38> 안지문 <#202c5b,#141b38>
<#FFF,#000> ▼ 사정전 일대
}}}}}}}}}

파일:흠경각 내부 구성도.png
<colbgcolor=#bf1400> 흠경각 내부 구성도
  • 장대석을 세 단 쌓은 기단 위에 건물로 정면 6칸, 측면 4칸의 총 24칸이다.
  • 남쪽 가장자리 칸 전체를 툇마루로 놓고 중앙의 4칸을 대청으로 둔 뒤 대청을 중심으로 동, 서 양쪽 4칸을 온돌방으로 꾸몄다. 북쪽 가장자리 칸의 경우, 온돌방 쪽은 쪽방으로, 대청 쪽은 툇마루로 두었다. #

5. 옥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옥루(기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