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6:14:30

경복궁 계조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 옥련정
벽화실 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
청와대
녹지원
춘안당 융문당 관광청 헌춘문
칠궁 양정재 수궁
(구 관저터)
융무당 태화궁
용강문 지희실 경농재
(관풍루)
대유헌 중일각 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 청와대
춘추관
마장 관가문 희맹공신단
금화문 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 금위군직소 춘화문 춘생문
신무문 수문 계무문 광무문 춘도문 수문
숙문당 수문장청 군사방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 각감청 관문각
건청궁
서녹산 어구 동녹산
태원전 영사재 대왕대비전
세답방
순화궁
세답방
중궁전
세답방
종각
빈궁
세답방
공묵재 왕대비전
세답방
가회정 보현당 남여고 육우정 녹직처소 내재실
동장고 통화당 순화궁
외소주방
숙경재 서진설청 선원전 동진설청 경안당
순화궁
내소주방
진전
소주방
진전
생물방
화락당 나인처소
회안전 문경전 서장고 향원정만화당 벽혜당
(왕대비전
생물방)
대향당 나인처소
정훈당
함화당 집경당 전기등소 만경전 건기당
(왕대비전
내소주방)
요광당
(왕대비전
외소주방)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나인처소
숙설소 영훈당
원역처소 빈궁
생물방
상궁처소 다경합 건복합
제관방 회광당
(빈궁
내소주방)
광원당
(빈궁
외소주방)
수인문 흥복전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제수합 영보당 벽월당
(상궁처소)
중궁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국별장직소 원역처소
(접견소)
장방 원역처소 아미산 자미당 자경전 집희당
(대왕대비전
내소주방)
춘소당
(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
(대왕대비전
수방)
나인처소
침채고 예춘당
(대왕대비전
생물방)
벽로당
(상궁처소)
웅향당
(상궁처소)
국출신직소 함정당
(대왕대비전
외소주방)
계응당
(상궁처소)
하향정 임향당 나인처소
무겸직소 융화당 함원전 건순각 인지당 나인처소 보월당
(상궁처소)
자운당
(상궁처소)
나인처소
경회루 함홍각교태전원길헌 복희당
(대전
생물방)
북소위장직소 대재문흠경각재성문 만통문
자안당내순당
보의당
양의문체인당
승순당
흥안당대전
내소주방
난지당
(대전
외소주방)
대소대금방
(나인처소)
건상당 응지당 강녕전연길당계광당
내성문 지도문
파수각 의안당경성전 연생전수경당
수문 건의당용부문 연소당 향오문 청심당 안지문
영추문 수문장청 내각
(규장각)
검서청
(규장각)
대전장방 습회당 협오당 장원당 천추전 사정전 만춘전 연태문자선당비현각 장방 수문장청 건춘문
+ 수정전 +협선당
용신당
건인각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등촉방 장방 관리사무소
군사방 수정문 숭현문사현문별감방 군사방
초관직소 장무관직소
(내의원)
입심억석
(내의원)
주원
(사옹원)
사정문 오상방 원역처소
훈국군번직소 침의청
(내의원)
약방
(내의원)
내반원
(내시부)
영화문향실
예문관
협의문
내삼청
융무루ㅓ
내삼청
충의청
근정전관광청
양미고
계인문
누상고
ㅏ융문루
서방색
통장청 문기수청 춘방
서소위장직소 의약청
(내의원)
계방
옥당
(홍문관)
검서청
(규장각)
대전
수랏간
숭양문 계조당 훈국군번처소 초관처소
누국 당후
(승정원)
정원
(승정원)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 선전관청 빈청 기별청
유화문
배설방
수각
내병조

덕양문

수각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영제교
춘방 책고 대청 상의원 면복각
신당 덕응방 북마랑 정색 마색 흥례문 결속색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 용성문 어도 협생문 계방 오위도총부
우마랑 국립고궁박물관 좌마랑 창고 연지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견마배청 남마랑 군사방 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 충장장청
서십자각 수문 광화문
(월대)
수문 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북궐
(경복궁)
경복궁 계조당
景福宮 繼照堂
경복궁 자선당
景福宮 資善堂
경복궁 비현각
景福宮 丕顯閣

동궐
(창덕궁 · 창경궁)
창덕궁 중희당
昌德宮 重凞堂
창덕궁 성정각
昌德宮 誠正閣
창덕궁 관물헌
昌德宮 觀物軒
창경궁 저승전
昌慶宮 儲承殿
창경궁 낙선당
昌慶宮 樂善堂
창경궁 시민당
昌慶宮 時敏堂

서궐
(경희궁)
경희궁 승휘전
慶熙宮 承輝殿
경희궁 경현당
慶熙宮 景賢堂
경희궁 양덕당
慶熙宮 養德堂
경희궁 집희당
慶熙宮 緝熙堂
경희궁 경선당
慶熙宮 慶善堂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colbgcolor=#bf1400> 경복궁 계조당
景福宮 繼照堂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건축시기 1443년 (창건)
1866년 (중건)
2023년 (복원)
파일:계조당.jpg
<colbgcolor=#bf1400> 계조당[1]
1. 개요2. 이름3. 역사4. 구조5. 부속 건물
5.1. -오상방(五相房)-5.2. -동궁 원역처소(東宮 員役處所)-5.3. -통장청(統長廳)-5.4. -문기수청(門旗手廳)-5.5. -춘방(春坊)-5.6. -계방(桂坊)-

[clearfix]

1. 개요

경복궁의 건물로, 동궁의 정당(正堂)이다.

조선 초, 중기에는 경복궁의 동문 건춘문 안쪽에 있었으나 고종 때 중건한 이후 근정전 마당의 동쪽, 동궁 영역 중 제일 남쪽으로 위치가 변경되었다.

2. 이름

'계조(繼照)' 뜻은 직역하면 '계승해(繼) 비춰준다(照)'이다. 즉 '계조'라는 명칭은 '왕위계승'을 뜻한다.

3. 역사

1427년(세종 9년)에 경복궁동궁을 지었으나, 계조당을 처음 지은 시기는 1443년(세종 25년)이다.# 이 때 세종은 당시 세자였던 문종에게 대리청정을 명하여 모든 나랏일을 맡겼다. 그래서 세자신하들과 조회를 할 수 있는 전각이 필요하여 건물을 새로 지은 것이다. 문종은 여기서 조회는 물론이고# 서연(書筵)[2]을 하고, 일본 사신을 만나기도 했으며#, 양로연도 열고#, 생일 축하를 받기도 하였다.# 마치 ‘소(小) 근정전’ 같았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계조당은 애초 세자대리청정이란 특수 상황에 맞춰 지은 것이기 때문에 문종이 즉위한 이후엔 쓸모가 없어졌다. 결국 1452년(단종 즉위년)에 승하선대왕 문종의 뜻에 따라 철거한 뒤# 재건하지 않았다.

400여 년이 지난 1866년(고종 3년) 경복궁을 중건할 때 같이 재건했으며# 이때 효종잠저였던 어의궁을 옮겨다 지었다.# 고종은 이 계조당을 다듬고 고쳐 완성했다. 고종은 계조당을 재·개건하면서 ‘세종과 왕세자(문종)의 예’를 전거로 삼았다. “세종이 계시고 문종이 계조당에서 대리청정했던 그 시대가 모든 제도와 문물, 법식이 가장 융성했던 때”라고 꼽았다. 고종은 이어 “내가 세종의 업적을 계승한다고는 할 수 없지만 동궁(순종)이 훗날 나(고종)의 가르침을 받들기를 바란다”면서 계조당 개건 의미를 밝혔다. 고종은 “동궁(순종·재위 1907~1910)이 조종조의 예절을 익히고 매번 고사를 따르니 참으로 가상히 여긴다”고 덧붙였다. 영의정 심순택(1824~1906)은 “세자(순종)의 총명이 뛰어나다”고 맞장구쳐주었다.

고종은 계조당을 다시 고쳐 건립하면서 당시 17세가 된 세자(순종)에게 ‘나도 세종처럼 대리청정시키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이후 여러 행사왕세자축하를 받는 곳으로 사용하였다.## 1891년(고종 28년)에 고쳐 지었다.#
파일:계조당 복원도.jpg
<colbgcolor=#bf1400> 계조당 복원 조감도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헐렸고 이후 빈 터로 남아있었다가 경복궁 2차 복원 계획에 포함되었다. 2020년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2023년 6월까지 총 82억 원을 투입해 계조당을 복원하고 동궁정비계획이라고 밝혔다.#

2023년 9월 20일 공사를 마치고 일반에 공개했다.# 하지만 단청이 칠해져 있지 않은데, 단청 작업은 고증 연구를 통해 2024년에 진행될 예정이다.

복원 후에는 전통문화교육 공간 등으로 활용한다.#

4. 구조

파일:계조당 배치도.png
<colbgcolor=#bf1400> 계조당 및 행각 내부 구성도
  • 정면 5칸, 측면 3칸의 총 15칸으로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 공포는 이익공 양식의 전각이며, 5개의 잡상과 토수[3]를 놓았다. 내부는 모두 트여 있으며 마루로 구성되었다.
  • 동쪽과 남쪽은 빈 월랑으로 되어있으며, 서쪽과 북쪽은 담장으로 되어있다. 동행각은 12칸, 남행각은 13칸이며 이중 남행각 중앙의 3칸은 대문인 명사문(明四門)이고 북서쪽 담장에는 쪽문이 있다.

5. 부속 건물

파일:경복궁 동궁 부속 배치도.png}}} ||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동궁 일대 내부 구성도
계조당 북쪽의 자선당, 비현각과 계조당의 사이는 동궁을 보좌하는 건물들로 구성되었으나 1907년(광무 11년) 《북궐도형》 제작 당시 자선당비현각을 제외하면 모두 헐렸고 2차 복원 때 복원될 예정이었으나 예산 및 고증자료 부족으로 취소되었다.

5.1. -오상방(五相房)-

景福宮 五相房

장악원(掌樂院)의 부서중 하나로 악공(樂工)들의 처용무(處容舞)를 교육하는 곳이었다.

5.2. -동궁 원역처소(東宮 員役處所)-

景福宮 東宮 員役處所

원래는 각 관아의 서리(書吏)가 쓰던 세자궁 장방(世子宮 長房), 세자를 경호하던 별감(別監)들이 쓰던 세자궁 별감방(世子宮 別監房), 세자궁의 요리를 만드는 세자궁 수랏간(世子宮 水剌間)등이 있었으나 후대에 원역처소로 개축했다. 제반관서에 딸린 구실아치인 원역들이 머무는 처소였다.

5.3. -통장청(統長廳)-

景福宮 統長廳

훈련도감(訓鍊都監)에 소속된 무예청(武藝廳)에서 우수한 무예별감(武藝別監)인 통장(統長)이 근무하던 곳이었다.

5.4. -문기수청(門旗手廳)-

景福宮 門旗手廳

깃발을 드는 기수들을 관리하던 관청이었다.

5.5. -춘방(春坊)-

景福宮 春坊

세자의 교육을 담당한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이었다.

5.6. -계방(桂坊)-

景福宮 桂坊

세자의 경호를 담당한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이었다. 오위도총부 서편에도 계방이 있는데 이건 당시 세자순종의 경호를 강화하기 위해 계방의 인원을 늘려서 이를 수용하기 위해 지은걸로 추정된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2] 조선 시대왕세자에게 경학을 강론하는 자리.[3] 吐首. 지붕 네 귀의 추녀 끝에 끼는 용머리나 귀신 머리 모양의 장식 기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