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정식 편전 정문 | 경복궁 사정문 景福宮 思政門 | 창덕궁 선정문 昌德宮 宣政門 | 창경궁 문정문 昌慶宮 文政門 | 경희궁 자정문 慶熙宮 資政門 |
부 편전 정문 | 경복궁 숭양문 景福宮 崇陽門 | 창덕궁 협양문 昌德宮 協陽門 | 경희궁 숭양문 慶熙宮 崇陽門 | ||
※ 덕수궁의 편전은 한 건물에 고정되어있지 않았다. ※ 창경궁의 부 편전인 숭문당의 정문은 따로 없다. | |||||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 |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 ||
<colbgcolor=#bf1400> 경복궁 사정문 景福宮 思政門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 |
건축시기 | 1395년 (창건) 1867년 (중건) |
<colbgcolor=#bf1400> 사정문 |
[clearfix]
1. 개요
경복궁의 편전 사정전의 정문이다.이름은 당연히 사정전의 문이란 뜻으로, 명칭 자체는 조선 초 재상이던 삼봉 정도전이 ‘생각하면 슬기롭고 슬기로우면 성인이 된다.’는 《시경(詩經)》의 구절을 인용하여 지었다. 정도전은 이 말의 의미에 대해 '천하의 이치는 생각하면 이를 얻을 수 있고 생각하지 않으면 이를 잃게 되는 것이므로 늘 깊이 생각할 것을 촉구한다'고 설명하였다.
위치는 정전인 근정전의 북쪽, 사정전의 남쪽에 있다.
법전과 편전을 가르는 경계에 있은 만큼, 중요한 행사나 의례 때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가 되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이 곳을 참조.
2. 역사
1394년(태조 3년) 경복궁 창건 당시에 지어졌다. 조선 초기 경복궁을 그린 《경복궁 전도》를 보면 근정전과 사정전은 행각으로 이어져 있는데 이를 미루어 볼 때 이 당시 사정문의 남, 북으로 복도가 설치되어 있었던 듯 하다. 1429년(세종 11년)에 개수되었고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다시 불탔다가 1867년(고종 4년)에 중건되어 오늘에 이른다.<colbgcolor=#bf1400> 일제강점기 사정문 | <colbgcolor=#bf1400> 옆 사진과 같은 시기 사정문 안쪽 |
3. 구조
- 조선의 5대 궁궐 중 정전 바로 정북방에 위치한 유일한 편전 정문이다. 창덕궁과 창경궁의 편전 정문인 선정문과 문정문은 정전의 측면에 있으며 경희궁의 편전 정문인 자정문도 정전 정북쪽이 아닌 서북쪽에 있다. 그리고 사정문의 정북방으로 편전 사정전과 왕의 침전인 강녕전이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이를 보아 경복궁 내 전각들이 정궁으로서 질서 있는 배치원칙을 따랐음을 알 수 있다.
- 1층 목조 문[1]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기단은 장대석 1벌대로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주춧돌은 원형주좌초석(圓形柱座礎石)[2]이고 기둥은 민흘림이 있는 원 기둥이다. 정면 기준 가운데 기둥 2개에 문고리가 달려있는데 아마 행사를 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붕은 맞배지붕, 처마는 홑처마로, 공포는 간결한 초익공 양식이다. 구조는 1고주 5량가 형식으로, 대들보와 종보를 겹쳐 올렸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양성바름을 하고 그 위에 용두와 취두를 두었다. 문짝은 나무판이며 동, 서 양 측면의 벽 역시 나무판으로 마감했다. 문의 바닥에는 박석을 끌었다. #
- 좌, 우 칸은 신하들이 다니게 하고 가운데 칸은 왕이 다니는 어칸(御間)으로 두었는데, 다른 궁궐 편전 정문과 달리 어칸과 양 옆 칸 높이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폭은 어칸이 조금 더 넓다. 각 칸의 인방 위에 안상의 모양대로 위, 아래 6개 씩 총 12개의 풍혈을 뚫은 궁판이 놓여있고[3] 그 위에 홍살을 놓았으며 가운데 칸 궁판에 현판을 걸었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되어있다.
[1] 보통 한옥의 경우 1층보다는 단층(單層)으로 말한다.[2] 주좌는 윗면에 기둥을 앉힐 자리를 따로 다듬어 돋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3] 윗 궁판의 경우, 5개는 온전히 뚫었으나 1개는 반으로 나누어 배치했다.[4] 부재 끝부분에만 문양을 넣고 가운데는 긋기로 마무리한 단청이다.[5] 한자어로서 '그물 부(罘)'에 '그물망머리 시(罳)'를 쓴다. 원래는 비단으로 그물을 쳤으나 현재는 철로 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