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6:01:49

경복궁 사정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 옥련정
벽화실 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
청와대
녹지원
춘안당 융문당 관광청 헌춘문
칠궁 양정재 수궁
(구 관저터)
융무당 태화궁
용강문 지희실 경농재
(관풍루)
대유헌 중일각 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 청와대
춘추관
마장 관가문 희맹공신단
금화문 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 금위군직소 춘화문 춘생문
신무문 수문 계무문 광무문 춘도문 수문
숙문당 수문장청 군사방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 각감청 관문각
건청궁
서녹산 어구 동녹산
태원전 영사재 대왕대비전
세답방
순화궁
세답방
중궁전
세답방
종각
빈궁
세답방
공묵재 왕대비전
세답방
가회정 보현당 남여고 육우정 녹직처소 내재실
동장고 통화당 순화궁
외소주방
숙경재 서진설청 선원전 동진설청 경안당
순화궁
내소주방
진전
소주방
진전
생물방
화락당 나인처소
회안전 문경전 서장고 향원정만화당 벽혜당
(왕대비전
생물방)
대향당 나인처소
정훈당
함화당 집경당 전기등소 만경전 건기당
(왕대비전
내소주방)
요광당
(왕대비전
외소주방)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나인처소
숙설소 영훈당
원역처소 빈궁
생물방
상궁처소 다경합 건복합
제관방 회광당
(빈궁
내소주방)
광원당
(빈궁
외소주방)
수인문 흥복전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제수합 영보당 벽월당
(상궁처소)
중궁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국별장직소 원역처소
(접견소)
장방 원역처소 아미산 자미당 자경전 집희당
(대왕대비전
내소주방)
춘소당
(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
(대왕대비전
수방)
나인처소
침채고 예춘당
(대왕대비전
생물방)
벽로당
(상궁처소)
웅향당
(상궁처소)
국출신직소 함정당
(대왕대비전
외소주방)
계응당
(상궁처소)
하향정 임향당 나인처소
무겸직소 융화당 함원전 건순각 인지당 나인처소 보월당
(상궁처소)
자운당
(상궁처소)
나인처소
경회루 함홍각교태전원길헌 복희당
(대전
생물방)
북소위장직소 대재문흠경각재성문 만통문
자안당내순당
보의당
양의문체인당
승순당
흥안당대전
내소주방
난지당
(대전
외소주방)
대소대금방
(나인처소)
건상당 응지당 강녕전연길당계광당
내성문 지도문
파수각 의안당경성전 연생전수경당
수문 건의당용부문 연소당 향오문 청심당 안지문
영추문 수문장청 내각
(규장각)
검서청
(규장각)
대전장방 습회당 협오당 장원당 천추전 사정전 만춘전 연태문자선당비현각 장방 수문장청 건춘문
+ 수정전 +협선당
용신당
건인각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등촉방 장방 관리사무소
군사방 수정문 숭현문사현문별감방 군사방
초관직소 장무관직소
(내의원)
입심억석
(내의원)
주원
(사옹원)
사정문 오상방 원역처소
훈국군번직소 침의청
(내의원)
약방
(내의원)
내반원
(내시부)
영화문향실
예문관
협의문
내삼청
융무루ㅓ
내삼청
충의청
근정전관광청
양미고
계인문
누상고
ㅏ융문루
서방색
통장청 문기수청 춘방
서소위장직소 의약청
(내의원)
계방
옥당
(홍문관)
검서청
(규장각)
대전
수랏간
숭양문 계조당 훈국군번처소 초관처소
누국 당후
(승정원)
정원
(승정원)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 선전관청 빈청 기별청
유화문
배설방
수각
내병조

덕양문

수각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영제교
춘방 책고 대청 상의원 면복각
신당 덕응방 북마랑 정색 마색 흥례문 결속색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 용성문 어도 협생문 계방 오위도총부
우마랑 국립고궁박물관 좌마랑 창고 연지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견마배청 남마랑 군사방 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 충장장청
서십자각 수문 광화문
(월대)
수문 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식 편전 정문 경복궁 사정문
景福宮 思政門
창덕궁 선정문
昌德宮 宣政門
창경궁 문정문
昌慶宮 文政門
경희궁 자정문
慶熙宮 資政門
부 편전 정문 경복궁 숭양문
景福宮 崇陽門
창덕궁 협양문
昌德宮 協陽門
경희궁 숭양문
慶熙宮 崇陽門
덕수궁의 편전은 한 건물에 고정되어있지 않았다.
창경궁의 부 편전인 숭문당의 정문은 따로 없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colbgcolor=#bf1400> 경복궁 사정문
景福宮 思政門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건축시기 1395년 (창건)
1867년 (중건)
파일:경복궁 사정문.png
<colbgcolor=#bf1400> 사정문
1. 개요2. 역사3. 구조

[clearfix]

1. 개요

경복궁편전 사정전정문이다.

이름은 당연히 사정전이란 뜻으로, 명칭 자체는 조선재상이던 삼봉 정도전이 ‘생각하면 슬기롭고 슬기로우면 성인이 된다.’는 《시경(詩經)》의 구절을 인용하여 지었다. 정도전은 이 말의 의미에 대해 '천하의 이치는 생각하면 이를 얻을 수 있고 생각하지 않으면 이를 잃게 되는 것이므로 늘 깊이 생각할 것을 촉구한다'고 설명하였다.

위치는 정전근정전북쪽, 사정전남쪽에 있다.

법전과 편전을 가르는 경계에 있은 만큼, 중요한 행사나 의례 때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구분하는 경계가 되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이 곳을 참조.

2. 역사

1394년(태조 3년) 경복궁 창건 당시에 지어졌다. 조선 초기 경복궁을 그린 《경복궁 전도》를 보면 근정전사정전은 행각으로 이어져 있는데 이를 미루어 볼 때 이 당시 사정문의 남, 북으로 복도가 설치되어 있었던 듯 하다. 1429년(세종 11년)에 개수되었고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다시 불탔다가 1867년(고종 4년)에 중건되어 오늘에 이른다.
파일:일제강점기 경복궁 사정문.png
파일:일제강점기 경복궁 사정문 안쪽.png
<colbgcolor=#bf1400> 일제강점기 사정문 <colbgcolor=#bf1400> 옆 사진과 같은 시기 사정문 안쪽

3. 구조

  • 조선의 5대 궁궐 중 정전 바로 정북방에 위치한 유일한 편전 정문이다. 창덕궁창경궁의 편전 정문인 선정문문정문은 정전의 측면에 있으며 경희궁의 편전 정문인 자정문도 정전 정북쪽이 아닌 서북쪽에 있다. 그리고 사정문의 정북방으로 편전 사정전과 의 침전인 강녕전이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이를 보아 경복궁 내 전각들이 정궁으로서 질서 있는 배치원칙을 따랐음을 알 수 있다.
  • 1층 목조[1]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기단은 장대석 1벌대로 사실상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주춧돌은 원형주좌초석(圓形柱座礎石)[2]이고 기둥은 민흘림이 있는 기둥이다. 정면 기준 가운데 기둥 2개에 문고리가 달려있는데 아마 행사를 할 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붕은 맞배지붕, 처마는 홑처마로, 공포는 간결한 초익공 양식이다. 구조는 1고주 5량가 형식으로, 대들보와 종보를 겹쳐 올렸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양성바름을 하고 그 위에 용두와 취두를 두었다. 문짝나무이며 동, 서 양 측면의 역시 나무판으로 마감했다. 문의 바닥에는 박석을 끌었다. #
  • 좌, 우 칸은 신하들이 다니게 하고 가운데 칸은 이 다니는 어칸(御間)으로 두었는데, 다른 궁궐 편전 정문과 달리 어칸과 양 옆 칸 높이의 차이가 크지 않으나 폭은 어칸이 조금 더 넓다. 각 칸의 인방 위에 안상의 모양대로 위, 아래 6개 씩 총 12개의 풍혈을 뚫은 궁판이 놓여있고[3] 그 위에 홍살을 놓았으며 가운데 칸 궁판에 현판을 걸었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되어있다.
  • 단청은 모로단청[4]으로 칠하여 화려하면서도 절제된 느낌을 주었다.
  • 사정문 좌, 우의 행각을 창고로 사용하였는데 이름을 천자문 순서대로 지었다. 천자고(天字庫)부터 월자고(月字庫)까지 총 창고 10개가 있다.


[1] 보통 한옥의 경우 1층보다는 단층(單層)으로 말한다.[2] 주좌는 윗면에 기둥을 앉힐 자리를 따로 다듬어 돋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3] 윗 궁판의 경우, 5개는 온전히 뚫었으나 1개는 반으로 나누어 배치했다.[4] 부재 끝부분에만 문양을 넣고 가운데는 긋기로 마무리한 단청이다.[5] 한자어로서 '그물 부(罘)'에 '그물망머리 시(罳)'를 쓴다. 원래는 비단으로 그물을 쳤으나 현재는 로 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