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8:28

경희궁 자정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무덕문
계상당 춘화각영취정
서암 덕유당 상휘당 광명전 어조당 용비루 장락전 봉상루
영렬천 자정전 집경당 회상전 융복전 융무당 집희당 경선당
위선당 태령전 자정문 영선당 사현합
태령문 향실숭정전 정시합 흥정당 청한정 지효합 상의원
내삼청 숭양문
숭정문 승휘전 흥원문
직조청 내각(규장각) 예문관 서방색 궁방 사옹원 사은원 양덕당
일영대 금루 호위청 선부관청 경현당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무겸청 연화문 광달문 화경문 경헌문 승화문
숭의문 서울특별시교육청 금상문 서울역사박물관 건명문 금천교 흥화문
남소 옥당(홍문관) 약방(내의원) 약원 도감군사대직청 빈청 전설사
오위도총부 정원(승정원) 덕응방 내구 마구
개양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식 편전 정문 경복궁 사정문
景福宮 思政門
창덕궁 선정문
昌德宮 宣政門
창경궁 문정문
昌慶宮 文政門
경희궁 자정문
慶熙宮 資政門
부 편전 정문 경복궁 숭양문
景福宮 崇陽門
창덕궁 협양문
昌德宮 協陽門
경희궁 숭양문
慶熙宮 崇陽門
덕수궁의 편전은 한 건물에 고정되어있지 않았다.
창경궁의 부 편전인 숭문당의 정문은 따로 없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271호 경희궁
<colbgcolor=#bf1400> 경희궁 자정문
慶熙宮 資政門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45 (신문로2가)
건축시기 1620년 (창건) / 1998년 (복원)
파일:경희궁 자정문.jpg
<colbgcolor=#bf1400> 발굴조사와 연구를 통해 복원한 자정문의 모습
1. 개요2. 역사3. 구조

[clearfix]

1. 개요

경희궁편전 자정전정문이다. 경희궁 정전 숭정전의 서북쪽 뒷편에 있다.

'자정(資政)' 뜻은 '정사(政)를 돕는다(資)'이다.# 현재 현판은 서예가 송천 정하건 선생(松泉 鄭夏建. 1939 ~ )이 썼다.#

2. 역사

1620년(광해군 12년) 경희궁 창건 때 지었다. 처음 지은 후 화재 한 번 겪지 않고 260년 간 별 탈 없이 존재했다.
서궐(경희궁) 내에는 숭정전, 회상전, 정심합(正心閤), 사현합(思賢閤), 흥정당만 남기고 그 나머지는 모두 헐었다. 목재를 가져오니 다수가 썩었다. 이 가운데 좋은 것을 골라서 (경복궁의) 나인간(內人間)과 각사의 건조에 사용했다.
《경복궁 중건일기》

1865년(고종 2년) 경복궁 중건 시 경희궁을 헐어 경복궁 공사의 자재로 쓸 때 헐렸다. 흔히 일제가 훼철 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이 아니다.

그리고 대한제국 시기 1901년(광무 5년)에 숭정전을 찍은 사진을 보면, 자정문이 있어야 할 자리에 자정문이 없다. 이로 보아 아무리 늦어도 그 이전에 이미 철거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알레베크 사진엽서 경희궁 숭정전.jpg
<colbgcolor=#bf1400> 1901년 이전에 촬영한 경희궁 숭정전 사진
(프랑스어 교사인 샤를 알레베크가 제작한 사진 엽서의 사진)
일제강점기 이후 일제는 자정문 터에 경성중학교 교사를 세웠다. 8.15 광복 후에는 서울고등학교가 사용하다가 1990년대 경희궁 복원 사업의 일환으로 교사를 철거했다. 그 뒤 발굴 조사를 거쳐 1998년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복원 공사 중인 자정전사진을 보아 자정문 공사가 자정전보다 먼저 끝난 듯 하다.
파일:복원 공사 중인 자정전.png
<colbgcolor=#bf1400> 복원 공사 중인 자정전. 왼쪽 사진은 북쪽에서, 오른쪽 사진은 남쪽에서 바라 본 모습이다.[1]

3. 구조

  • 경희궁 자체가 원래 이궁으로 잠시 머물 목적으로 지은데다 산자락이란 지형의 한계 때문인지 일반적인 편전 정문의 배치와는 좀 다르다. 숭정전 - 자정전 축에서 서쪽으로 치우쳐있다. 또한 숭정전과 자정문 사이의 길이 굉장히 가파르고 폭이 좁은데, 이런 지형은 훗날 경종 즉위 초에 자정전에 모셨던 선대왕 숙종의 재궁[2]을 발인할 때 문제가 되었다. 그럼 어떻게 해결했느냐면 자정문부터 숭정전 내부까지 으로 메워(...) 길을 만들었다.#
  • 하지만 산자락의 지형을 역이용해 기단을 높임으로써 편전 정문의 위엄을 돋보이게 만들었다. 다른 궁궐의 편전 정문들은 기단계단이 없거나 있어도 높지 않고 소박한 형태이지만, 자정문의 기단은 무려 장대석을 7단이나 쌓은 높은 기단이고, 계단도 무려 8단이며, 계단 가운데에 봉황을 새긴 답도를 놓고, 소맷돌 아래 끝 부분에 서수조각해서 화려하게 꾸몄다.
  • 원형 주춧돌 위에 원기둥을 올린 뒤 그 위에 건물을 올렸다. 정면 3칸, 측면 2칸, 총 6칸으로 지붕은 팔작지붕이고 처마는 겹처마이다. 또한 용마루, 내림마루, 추녀마루를 양상바름한 뒤, 2개의 취두와 4개의 용두, 그리고 동, 서 양쪽의 추녀마루 위에 4개의 잡상과 각 처마 끝에 토수를 놓았다. 평방 없이 창방 위에 바로 공포를 놓은 형태로 공포는 익공 양식이며 공포 사이마다 화반 1개 씩을 두었다. 이는 자정전과 비슷하나 자정전과 달리 공포와 화반 사이를 으로 메꾸지 않고 트이게 했다.
  • 문짝은 나무 으로 중앙 열 3칸에 달았다. 가운데 이 다니는 어칸(御間)을 조금 더 높게 만들었으며, 양 측면의 칸 마다 중인방을 끼우고 위, 아래 위위아래를 벽으로 마감했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했고, 위는 풍형 홍살을 꾸며놓았다.
  • 단청은, 창방은 모로단청[3]을 입혔으나 주심도리 부분은 긋기단청[4]으로 칠했다.

파일:서궐도 자정전.png}}} ||
<colbgcolor=#bf1400> 〈서궐도안〉을 채색한 〈서궐도〉에서 묘사한 자정전
조선 후기에 들어 자정전을 혼전[5] / 빈전[6]으로 주로 사용했으며 이에 맞추어 자정문과 자정전 사이에 혼전 / 빈전에 설치하는 복도각을 설치했다. 여기서 복도각은 혼령이 드나드는 이란 의미이다. 고종 시기 자정문, 자정전을 철거할 때 같이 헐었다. 1990년대 말 이 일대를 복원했지만, 복도각은 복원하지 못한 채 현재에 이른다.

[1] 사진 출처: MBC Archive.[2] 梓宮. 임금.[3] 부재 끝부분에만 문양을 넣고 가운데는 긋기로 마무리한 단청이다.[4] 가칠단청 위에 선만을 그어 마무리한 단청으로, 가칠단청은 무늬없이 단색으로만 칠한 단청이다.[5] 魂殿. 임금이나 왕비국장 뒤 3년 동안 신위(神位)를 모시던 전각.[6] 殯殿. 국상 때, 상여가 나갈 때까지 임금이나 왕비을 모시던 전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