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11:30:44

경희궁 흥정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무덕문
계상당 춘화각영취정
서암 덕유당 상휘당 광명전 어조당 용비루 장락전 봉상루
영렬천 자정전 집경당 회상전 융복전 융무당 집희당 경선당
위선당 태령전 자정문 영선당 사현합
태령문 향실숭정전 정시합 흥정당 청한정 지효합 상의원
내삼청 숭양문
숭정문 승휘전 흥원문
직조청 내각(규장각) 예문관 서방색 궁방 사옹원 사은원 양덕당
일영대 금루 호위청 선부관청 경현당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무겸청 연화문 광달문 화경문 경헌문 승화문
숭의문 서울특별시교육청 금상문 서울역사박물관 건명문 금천교 흥화문
남소 옥당(홍문관) 약방(내의원) 약원 도감군사대직청 빈청 전설사
오위도총부 정원(승정원) 덕응방 내구 마구
개양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식 편전 경복궁 사정전
景福宮 思政殿
창덕궁 선정전
昌德宮 宣政殿
창경궁 문정전
昌慶宮 文政殿
경희궁 자정전
慶熙宮 資政殿
부 편전 경복궁 수정전
景福宮 修政殿
창덕궁 희정당
昌德宮 凞政堂
창경궁 숭문당
昌慶宮 崇文堂
경희궁 흥정당
慶熙宮 興政堂
덕수궁의 편전은 한 건물에 고정되어있지 않았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271호 경희궁
<colbgcolor=#bf1400> 경희궁 흥정당
慶熙宮 興政堂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2가)
건축시기 1620년 (창건) / 1865년 ~ 1868년 (철훼)
파일:경희궁 흥정당.jpg
<colbgcolor=#bf1400> 흥정당 사진

1. 개요2. 역사3. 정문4. 구조5. 여담

[clearfix]

1. 개요

경희궁의 편전이다. 편전은 평상시 임금이 나랏일을 보고 경연을 하던 곳이다. 공식적인 편전은 자정전이나 일상적으로는 흥정당을 더 많이 활용했다. 기능적으로 창덕궁 희정당, 창경궁 숭문당과 유사하다.

2. 역사

1620년(광해군 12년) 경희궁 창건 때 지었다. 침전인 회상전, 융복전의 바로 남쪽에 있어서, 언덕을 타야하는(...) 자정전보다 접근성이 훨씬 좋았다. 더군다나 조선 후기에는 자정전을 빈전[1]으로 주로 사용했기에, 자연히 평상시에는 흥정당을 편전으로 사용했다.

1829년(순조 29년) 10월에 회상전에서 화재가 일어났을 때 같이 불타 1831년(순조 31년)에 재건했다. 순조의 왕비 순원왕후가 8살에 즉위한 헌종을 대신해 수렴청정을 여기서 했다.

고종경복궁을 중건하면서 대부분 경희궁 건물들을 공사 자재로 쓰려고 철거했다. 그러나 흥정당 건물은 숭정전 · 회상전 · 정심합 · 사현합 · 흥화문 등과 함께 살아남았다.
파일:학교건물 흥정당.png
파일:광운사 이건 이후 흥정당.png
<colbgcolor=#bf1400> 학교 건물로 쓰이던 당시의 흥정당 <colbgcolor=#bf1400> 광운사 이건 이후 흥정당
그러나 일제강점기 이후 일제가 경희궁 터에 경성중학교[2]를 지으면서, 흥정당 건물은 1915년 4월부터 1925년 3월까지 임시소학교 교원양성소 부속 단급소학교의 교실이 되었다. 이후 1928년 3월에 지금의 용산 지역에 있던[3] 광운사(光雲寺)에서 건물을 매입하여 가져갔다. 1950년대까지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남아있지 않다.

3. 정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희궁 숭양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구조

  • 정면 4칸, 측면 3칸의 1층 목조 전각[4]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붕은 팔작지붕에 공포는 이익공[5]양식이다. 기단을 뒤로 물리고 정면에 돌기둥을 놓아 누각 또는 다락집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이는 17세기에 지어진 궁궐 건축의 특징이다.
  • 정면 기준 2칸은 대청이고 좌,우로 온돌을 두어 사시사철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했다. 동쪽 측면에는 가퇴를 두어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게 했다.
  • 흥정당 남행각에는 세자도서실인 존현각(尊賢閣)과 주합루(宙合樓), 관문루(觀文樓), 동이루(東二樓), 홍월루(虹月樓)가 있었다. 존현각은 읽고 공부하는 기능을, 주합루를 비롯한 ‘누’가 붙은 건물들은 책을 보관하는 역할을 했다.

5. 여담

  • 세손 시절 존현각을 자주 이용하던 정조는 즉위 후에도 많이 찾았는데, 1777년(정조 1년) 7월에 이 곳에서 독서하다 자객의 습격을 받은 일이 일어났다. 이 사건을 다룬 영화가 바로 《역린》. 이후 정조는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긴다.

[1] 빈전(殯殿): 상여가 나갈 때까지 왕이나 왕비의 관을 모시던 곳.[2] 현재 마포구 연남동에 있는 경성중학교와는 전혀 다르다. 그 곳은 1967년 개교했으며 한자가 '景'城으로 다르다.[3] 장충동에 있었다는 설도 있다.[4] 보통 전통 건축의 경우 1층보다는 단층(單層)으로 말한다.[5] 창방과 직접 만나 보를 받치는, 쇠서(소혀 모양의 자재)를 두 겹으로 낸 공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