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 | ||||||||||||||||
| |||||||||||||||||
서암 | ┏ | ━ | ━ | ━ | ┓ | | | | | | | | |||||
영렬천 | ┃ | 자정전 | ┃ | | | | | | | ||||||||
태령전 | ┠ | ━ | 자정문 | ━ | ┨ | | | ||||||||||
태령문 | 숭정전 | ㅣ | | | | | |||||||||||
┃ | | ||||||||||||||||
┗ | ━ | 숭정문 | ━ | ┛ | | | |||||||||||
| | | | | | ||||||||||||
| | | | ||||||||||||||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 | | | | |||||||||||||
서울특별시교육청 | 서울역사박물관 | | 금천교 | 흥화문 | |||||||||||||
| | | | | | ||||||||||||
| | | |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대한민국 사적 제271호 경희궁 | ||
<colbgcolor=#bf1400> 경희궁 태령전 慶熙宮 泰寧殿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45 (신문로2가) | |
건축시기 | 1744년 이전 추정 (창건) / 2001년 (복원) |
<colbgcolor=#bf1400> 태령전 |
[clearfix]
1. 개요
경희궁에 있는 어진 봉안소[1], 즉 진전(眞殿)이다. 자정전의 서쪽에 있다. 정조는 《경희궁지》에서 태령전을 “자정전 서쪽에 있으며 임금님의 어진을 봉안하는 곳이다.”라고 소개했다.2. 이름
'태령(泰寧)' 뜻은 '넉넉하고(泰) 편안하다(寧)'이다. 현재의 현판은 2001년 복원할 때 석봉 한호의 글씨를 모아 만들었다.[2]'태녕전'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물론 '寧'의 원래 발음이 '녕'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태녕전'이 맞다. 하지만 예전부터 '寧'의 앞 글자가 받침이 없는 경우 활음조 현상으로 인해 '령'으로 읽고 썼기 때문에[3] 이를 반영한 태령전으로 부르는 게 적절하다. 이 문서명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표기인 경희궁 태령전이지만, 태녕전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게 했다.
3. 역사
원래 이 일대에는 상례 공간이었던 읍화당(挹和堂)이란 건물이 있었다. 읍화당은 1731년(영조 7년)까지 기록에서 존재가 확인되나# 그 이후 역사에 대한 자료는 찾아볼 수 없다. 태령전이 기록에서 처음 보이는 것은 1744년(영조 20년) 8월 20일 자 《영조실록》 기사이다. 저 때 중수했다는 내용인데, 이로 미루었을 때 읍화당을 고쳐짓고 태령전으로 이름을 바꾸었을 가능성이 크다. 영조는 평생에 걸쳐 총 13점의 초상화를 남겼는데, 그 중 7점을 태령전에 봉안했다.#1776년(영조 52년) 영조가 승하하자 정조는 태령전과 그 일대를 영조의 장례공간으로 활용했다. 우선 혼전을 이곳에 두었고#[4] 태령전 근처에 재실 도수연을 세웠다.#, 또한 정조 자신이 머물 여막을 태령전 남쪽 행각에 두었고# 인산 날 여기서 망곡례를 행했다.#
1786년(정조 10년)에는 사망한 문효세자의 혼궁[5]을 이 곳에 두고 일종의 위령제인 재우제(再虞祭)[6]를 지냈다.# 1836년(헌종 2년)에는 종묘의 영녕전을 증축공사하면서, 잠시 제1실 ~ 제8실에 있던 신주의 일부를 모시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이후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으며 고종 시기 경복궁을 중건할 때 경희궁의 건물들을 헐어다 자재로 쓰면서 사라졌다. 근거는 다음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서궐(경희궁) 내에는 숭정전, 회상전, 정심합(正心閤), 사현합(思賢閤), 흥정당만 남기고 그 나머지는 모두 헐었다. 목재를 가져오니 다수가 썩었다. 이 가운데 좋은 것을 골라서 (경복궁의) 나인간(內人間)과 각사의 건조에 사용했다.
《경복궁 중건일기》
일제강점기 이후 태령전 자리에 경성중학교[7]가 들어섰고 해방 후에는 서울고등학교로 바뀌었다. 1980년대에 서울고등학교가 지금의 서초구 효령로로 이사간 후 서울특별시와 문화재청에서 2001년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경복궁 중건일기》
4. 구조
<colbgcolor=#bf1400> 《서궐도안》을 채색한 《서궐도》의 태령전 |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이다. 공포는 이익공 양식으로 되어있으며 공포 사이마다 화반을 두고 틈새를 벽으로 막았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양상바름을 하고 그 위에 취두와 용두, 잡상을 올렸다.
<colbgcolor=#bf1400> 태령전 뒷면 |
<colbgcolor=#bf1400> 태령전 내부 |
5. 여담
<colbgcolor=#bf1400> 태령전 뒤에 있는 서암 | <colbgcolor=#bf1400> 서암의 샘 |
[1] 奉安所. 보관하고 모시는 곳.[2] 이것을 집자(集字)라고 한다.[3] 대표적인 예로, 인명으로는 무령왕(武寧王), 효령대군(孝寧大君), 이어령(李御寧) 등을, 이외에는 보령군(保寧郡), 고령가야(古寧伽倻)를 들 수 있다. 자세한 것은 '寧' 항목 참조.[4] 이 때 태령전에 보관 중이던 어진을 임시로 태령전 서쪽에 있는 위선당이란 곳에 옮겨 모셨다. 이후 어진은 경현당을 거쳐# 창덕궁 선원전으로 옮겨갔다.#[5] 왕이 되지 못하고 죽었으므로 혼'전(殿)'으로 부르지 못하고 혼궁이라 했다.[6] 시신을 무덤에 안장한 후 신주를 만들어 혼령을 안정시키는 제사를 우제(虞祭)라고 한다. 제우제는 하관(下棺) 후 두 번째로 지내는 우제이다.[7] 현재 마포구 연남동에 있는 경성중학교와는 전혀 다르다. 그 곳은 1967년 개교했으며 한자가 '景'城으로 다르다.[8] 摹寫本. 베껴 그린 그림.[9] 경희궁 일대가 돈의문(서대문) 바로 안쪽에 위치한다. 돈의문의 별칭이 새문이었기에 그 부근을 새문동이라 불렀다. 자세한 것은 돈의문 항목 참조.[10] 그래서 새 궁궐 짓는다며 원래 이 자리에 있던 정원군(광해군의 이복 동생)의 집을 빼앗았고, 정원군은 화병으로 사망했다. 나중에 정원군의 아들 능양군이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로 즉위하면서 뺏긴 집을 도로 다시 찾은 모양새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