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05:52

창경궁 낙선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모정 미확인 건물지 집춘문
대온실 관덕정
창덕궁 춘당지관풍각 국립어린이과학관
병경문 성종 태실 앙부일구
풍기대
관리사무소 월근문
함양문 건극당세답방수궁
영안문환취정자경전장고요화당통화전명광문
건인문 통명전양화당정일재집복헌영춘헌
여휘문여휘당 채원합소주방연희당연춘헌천오문만입문보정문 통화문
정양문연경당
경춘전환경전소주방장방수문장청
순역헌
풍순헌
함인정공목합수랏간
함안각
교태문영군직소
취명문 빈양문 명정전 명정문 옥천교 홍화문
보화문협문숭문당 문정전 문정문 영군직소
주명문누국오위도총부고문관주자소영군직소
낙선당 일영대 수문장청
저승전 진수당 군옥재계방등룡문 선인문
춘방사주문내사복시
시민당 +종묘수문암문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북궐
(경복궁)
경복궁 계조당
景福宮 繼照堂
경복궁 자선당
景福宮 資善堂
경복궁 비현각
景福宮 丕顯閣

동궐
(창덕궁 · 창경궁)
창덕궁 중희당
昌德宮 重凞堂
창덕궁 성정각
昌德宮 誠正閣
창덕궁 관물헌
昌德宮 觀物軒
창경궁 저승전
昌慶宮 儲承殿
창경궁 낙선당
昌慶宮 樂善堂
창경궁 시민당
昌慶宮 時敏堂

서궐
(경희궁)
경희궁 승휘전
慶熙宮 承輝殿
경희궁 경현당
慶熙宮 景賢堂
경희궁 양덕당
慶熙宮 養德堂
경희궁 집희당
慶熙宮 緝熙堂
경희궁 경선당
慶熙宮 慶善堂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colbgcolor=#bf1400> 창경궁 낙선당
昌慶宮 樂善堂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건축시기 창건연대 미상
1647년 (중수)
1756년 (소실)
파일:낙선당 터로 추정되는 곳.png
<colbgcolor=#bf1400> 낙선당 터로 추정하는 곳. 저 영역 중 한 곳에 있었다.[1]
1. 개요2. 이름3. 역사4. 여담
4.1. 낙선당 화재의 이유
5. 부속 건물6. 대중 매체에서

1. 개요

창경궁동궁으로, 왕세자공부방이었다.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위치는 정확히 모른다. 지금의 낙선재 자리나 수강재 뒤 뜰로 추정한다. 확실한 것은 창덕궁창경궁이 만나는 영역 중 한 곳이다.

2. 이름

'낙선(樂善)' 뜻은 '선(善)을 즐긴다(樂)'이다. 《맹자》에 나온 '인의(仁義)와 충신(忠信)으로 선을 즐겨(樂善) 게으르지 않는 것(不倦)을 천작(天爵)[2]이라고 한다.'는 말에서 유래했다.

이름 '낙선(樂善)'은 헌종 연간에 옛 낙선당 부근에 세워진 '낙선재(樂善齋)'가 계승했다.

3. 역사

동궐 영역(창덕궁, 창경궁)에 동궁이 생긴 것은 성종 재위 기간이던 1485년 경이었다. 그러나 그 때 낙선당도 지었는지는 모른다. 1647년(인조 25년) 동궁의 처소인 저승전을 고쳐 지은 내용을 담은 《저승전의궤》에 저승전과 같이 보수했다는 기록이 있는 것을 보아 그 이전에 창건한 듯 하다.#

이후 세자가 이 곳에서 신하들을 만나고## 공부를 하는 용도로 사용했다.

1756년(영조 32년) 낙선당의 부속 건물 양정합에서 화재가 일어났다. 불길은 순식간에 번져 낙선당과 부속 건물들이 전부 불타 사라졌다. 이후 조선왕조가 멸망할 때까지 재건하지 않았다.#

4. 여담

4.1. 낙선당 화재의 이유

낙선당이 불탄 것은 영조사도세자를 지나치게 갈군 것과 그로 인한 사도세자의 정신 질환 때문이었다.

사도세자대리청정을 하던 때, 어느 날 영조가 사도세자가 있던 낙선당에 갑자기 나타났다. 그런데 이 때 하필 사도세자는 막 자고 일어난건지 꾀죄죄한 몰골에 옷도 제대로 안 입고 있었다. 이를 본 영조는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앞 뒤 사정 안 따지고, 사도세자가 을 마셨다고 생각하여 버럭 화를 냈다. 마침 금주령을 시행하던 때라 영조는 사도세자를 뜰에 세워놓고, 누가 술을 줬는지 호되게 추궁했다.

그런데 문제는, 사도세자가 저 때 술을 안 마셨었다. 그러나 아버지가 하도 몰아대며 물으니까 사도세자는 밧소주방 나인 한 명이 주었다고 거짓말을 했다. 이런 어이없는 상황을 보다 못한 사도세자의 보모 최 상궁이 영조에게 술 냄새가 나는 지 맡아보라며 사도세자를 변호해주었다. 이에 사도세자는 서둘러 "먹고 아니 먹고 내 먹었노라 아뢰었으면 자네 감히 말을 할까 싶은가. 물러가라."[3] 며 최 상궁을 물리쳤지만, 영조는 "너, 내 앞에서 상궁을 꾸짖냐? 어른 앞에서는 개랑 말도 꾸짖지 못하는데 (감히 내 앞에서) 누굴 나무라냐?" 라고 사도세자를 또 혼내며(...) 세자시강원[4] 관원들에게 세자를 훈계하라 명했다. 참고로 사도세자가 거짓 자백하며 언급한 해당 소주방 나인은 거제도로 유배갔다.

시강원 관원들이 방에 들어가자 감정이 터져버린 사도세자는 '왜 부자 사이를 안 도와주냐'며 심하게 화를 내며 쫓아냈다. 그런데 하필 이 때 촛대가 쓰러지며 건물에 불이 붙었다. 이미 이전부터 있었으나 주변 사람들만 알던 사도세자의 광증을 이 사건으로 조정 신료들까지 알아 버렸다.

영조는 사도세자가 일부러 불을 지른 줄 알고 폭발해서 아니 누가 원인을 제공했는데 함인정[5]으로 사도세자를 불러 신하들이 보는 앞에서 또 갈궜다. 이에 결국 참는 데에 한계가 온 사도세자는 저승전 앞 뜰의 우물에 뛰어들었으나 경악한 신하들과 나인들이 가까스로 구해서 겨우 살아났다. 부자 간의 갈등이 건물의 화재로까지 이어졌던 것이다.#

5. 부속 건물

  • 낙선당 남쪽에 양정합(養正閤)이 있었고 양정합에는 손지각(孫志閣)이란 건물이 딸려 있었다. 이외에도 덕성합(德成閤)과 관희합(觀熙閤)이 있었다. 낙선당 화재 당시 관의합에는 혜경궁 홍씨세손이던 정조가 머물렀다.

6. 대중 매체에서

영조 때 불 탄 이후 다시 짓지 않았기에 당연히 실제 낙선당의 모습이 나온 적은 없었다.
  • 1998년 MBC에서 방영한 《대왕의 길》에서 화재사건을 자세히 재현했으며 전체적인 상황은 물론이고, 대사들도 위에 언급한 기록을 거의 그대로 반영했다. 다만 장소가 낙선당이 아닌, 취선당 바깥 소주방으로 나오며 사도세자(임호 분)가 그 곳에 틀어박힌 것을 안 숙의 문씨(윤손하 분)가 영조(박근형 분)에게 술마셨다고 모함하여 영조가 찾아간 것으로 묘사했다. 화재 이후 잠시 세자가 사라졌으나 곧 궁으로 다시 돌아왔는데 영조가 사도세자를 보자마자 갈궜다. 단, 함인정 뜰이 아닌 침전에서, 신하들 앞이 아닌 화완옹주(김지연 분) 앞에서 야단친 것으로 나왔다. 건물 외관은 창덕궁 후원 내에 있는 희우정(喜雨亭)에서 촬영했다.
  • 영화사도》에서는 위에 언급한 낙선당 화재 사건의 원인을 각색한 장면이 나온다. 인원왕후(김해숙 분)가 죽은 이후 영조(송강호 분)의 학대에 정신이 피폐해진 사도세자(유아인 분)가 공부고 대리청정이고 뭐고 다 때려치우고 정말로 술을 마셨고, 이를 보고 분노한 영조는 귀 씻은 물을 세자에게 끼얹으며 폭언을 퍼붓고 자리를 박차고 나간다. 세자는 세자대로 영조가 내동댕이친 사발로 주변의 신하들을 내리치면서 "일개 아녀자도 목숨걸고 나서는데 내 편을 들어 주는 건 어떻게 한 놈도 없냐"며 화풀이를 하는 것으로 나온다.

[1] 사진 출처 - 카카오맵.[2] 남에게서 존경을 받을 만한 타고난 덕행.[3] 그러니까 '내가 먹었다고 얘기하면 용기있게 내 편에 서서 나섰겠냐'는 뜻.[4] 왕세자교육을 맡아보던 관청.[5] 창경궁 환경전의 남쪽, 명정전의 서북쪽에 위치한 정자. 지금도 남아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 (이전 역사)
문서의 r97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