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10:33

일본국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군주에 대한 내용은 천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구자체 日本國王
신자체 日本国王

1. 개요2. 역사3. 일본국대군4. 기타

1. 개요

일본국왕(日本國王)은 전근대 중국에서 일본의 통치자를 책봉할 때 부여했던 왕호이다.

2. 역사

일본이 자국을 지칭하는 말로 일본을 쓴 것은 7세기 전후의 일이지만 전통적으로는 위노국(委奴國)이나 위()에 사람인변()을 붙인 왜노국(奴國) 등으로 지칭하였고 한나라 때 하사한 금인에도 한위노국왕(漢委奴國王)이라는 명문이 확인되고 있다. 보통은 줄여서 왜국(倭國)이라고 하였고 책봉할 때에도 왜왕(倭王)이란 책봉호를 사용하였다. 당나라 이후 조공책봉 질서에서 벗어나면서 왜국이나 왜왕이라는 명칭은 사라지고 일본이 대내외적으로 표방한 일본이라는 명칭이 주가 되게 된다.

보통 천황이 일본국왕에 책봉되지만 실권자가 대신 책봉되는 경우도 있었다. 대표적인 예가 무로마치 막부의 제3대 쇼군아시카가 요시미츠이다. 명나라로부터 감합무역을 허가받고 일본국왕에 책봉되어 쇼군의 권위가 천황을 뛰어넘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반도와 달리 일본은 섬나라라는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 국가들보다 사대에 무관심했지만 그들도 무역 등의 실리적 이유를 위해 스스로 일본국왕에 책봉해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아시카가 요시미츠 이전에 중국으로부터 일본국왕으로 책봉된 사람이 고다이고 천황의 아들이었던 가네요시 친왕(懷良親王, 1329? ~ 1383)으로, 아시카가 다카우지에게 밀려 교토를 떠나 요시노에 남조를 수립한 고다이고 천황이 자신의 왕자들을 각지에 파견해 무사들의 지원을 받아 내려고 했을 때 규슈 방면으로 파견된 인물이었다. 규슈에서 기쿠치 씨의 지원을 얻어서 정서부(征西府)를 열고 정서장군궁이라 불린 그는 명에 사신을 보내 양회(良懷)라는 이름으로 홍무제로부터 책봉을 받았다. 1369년의 일이다.

홍무제가 가네요시 친왕을 '일본국왕'으로 책봉한 것은 당시 명의 해안에까지 쳐들어 오던 왜구를 금압할 것을 요구하기 위한 것이었고, "더 이상 왜구의 해적 행위를 방치한다면 우리가 군사를 보내 너 '일본국왕'을 체포할 것이다"라는 홍무제의 엄포에 '일본국왕' 가네요시 친왕도 이에 발끈해서 명의 사신을 구금하고 죽일 생각까지 했다고. 중국의 《명사》(明史)에는 1381년 홍무제가 보낸 상당히 고압적인 내용의 국서를 받고 '일본국왕' 가네요시 친왕측도 반박하는 국서를 보냈다고 하는데,[1] 그 국서 내용은 요약하자면 이러하다.
야, 너네만 왕 있고 너만 성깔 있는 줄 아냐? 그렇게 다른 나라 침략해서 배 채우고도 모자라냐? 쳐들어올 거면 말만 털지 말고 쳐들어와 봐라. 나도 대책 다 있으니까. 너하고 나하고 전쟁하면 뭐 무조건 니가 이길 것 같지? 우리같은 작은 나라 상대로 전쟁해서 이긴다고 뭐 니가 어디 가서 자랑이나 할 수 있을 것 같냐? 만에 하나라도 지면 그게 더 쪽팔릴걸? 그때 가서 후회하지 말고 생각 잘 해라.

이 도발적인 내용의 국서에 홍무제는 노해서 일본을 치려고 했다가 예전에 패했던 것을 반면교사로 그만두었다고 한다. 이후 1387년에 앞서 일본에서 사자로 왔던 승려 여요(如瑤)가 승상 호유용(胡惟庸)의 모반을 지지하였으며 화약과 도검 등의 병장기를 숨겨두고 홍무제를 죽이려던 음모가 있었음이 발각되어, 명과 일본의 관계는 단절되었다.

사실 저런 수위 높은 국서를 보내 홍무제에게 받아쳤던 가네요시 친왕도 여유 있는 상황이 못 되었다. 가네요시 친왕이 '일본국왕'으로 책봉되고 얼마 되지 않아 가네요시 친왕 세력이 쇠퇴해 버렸다. 1372년에 명의 사신이 가네요시 친왕의 일본국왕 책봉을 위해 하카타에 왔다가 북조 측의 단다이 이마가와 료슌에게 잡혔다고 해서 이 시점에서는 이미 하카타 같은 곳이 북조에 넘어가 있었음을 암시한다. 또 《명사》에는 홍무 9년(1376년) 4월에 '일본국왕 양회'가 승려 규정용(圭廷用) 등을 보내 명에 공물을 바치며 왜구 피해에 대해 사과하였다고 적고 있는데, 일본의 사학자 사쿠마 시게오(佐久間重男)는 아시카가 요시미츠의 군세에 남조의 기쿠치 세력이 쫓기고 있던 여러 긴박한 정황상 가네요시 친왕이 명에 사절을 보낼 겨를은 없었고, 아마도 규슈의 다른 세력들이 명 왕조로부터 '일본국왕'으로 공인받고 있던 가네요시 친왕 즉 '일본국왕 양회'의 이름을 도용하여 명 왕조와의 접촉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그럼에도 명 왕조는 자신들이 처음 책봉했던 '일본국왕'만을 자신들의 외교적 교섭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츠가 명과의 교역을 시작하면서 새로 '일본국왕'으로 책봉될 때까지 사쓰마의 시마즈 우지히사 등 규슈의 무사들이나 심지어 북조의 쇼군 요시미츠도 명에 사신 보낼 때는 '일본국왕 양회'의 이름을 도용해야 했다. 명 왕조에게 가네요시 친왕 외에는 '자국의 신하 책봉을 받은 자로써 양회와는 일본의 국왕 자리를 두고 다투고 있는 자'로 간주되었고, 외교 관계 수립 상대로 인식되지 못했다.

국학의 성행으로 천황을 떠받드는 존황사상과 국수주의가 퍼져나가면서 메이지 시대 이후로는 일본국왕 칭호를 스스로 받은 것에 대해 사대주의라고 비난하게 되었다. 일본국왕 칭호를 받은 요시미츠도 "천황을 능멸했다", "외세에 굴종했다" 등의 악평을 받았고 무로마치 막부를 세운 조부 아시카가 다카우지, 아버지 아시카가 요시아키라, 자신 3대의 목상이 참수되어 길바닥에 효수되었다.

재밌게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칭송을 받았는데 에도 시대 유학자, 병법가들에 의해 강화회담을 파탄냈다고 알려졌고 '천황을 능멸했다는' 에도 막부의 대적이란 이미지 덕분이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도 임진왜란 중 강화 회담을 하면서 일본국왕에 책봉되고 관복, 도장, 칙유문을 받았다.[2] 현재까지도 유물이 전해지고 있다.
파일:히데요시 관복.jpg
히데요시가 명나라에서 받은 일본국왕 곤룡포. 현재 교토박물관 소장중.

3. 일본국대군

일본국대군(日本國大君), 약칭 대군(大君)은 에도 막부쇼군이 대외적으로 사용한 칭호였다. 약칭인 대군의 일본어 발음은 '타이쿤(タイクン)'인데,[3] 이 칭호가 개항 이후 서양인들에게 알려지면서 '타이쿤(Tycoon)'이라는 어휘로 쓰이게 된다.

임진왜란 종전 이후 일본은 조선과 명나라와의 국교가 완전히 단절되었다. 센고쿠 시대를 끝낸 에도 막부에서는 다시 조선 및 중국과의 국교 정상화를 원했고, 그 덕분에 세키가하라 전투 때까지 서군에 종군했던 대마도주 소 요시토시는 아무런 처벌을 받지 않고 조선과의 국교 정상화에 동원된다. 이 과정에서 요시토시와 대를 이은 아들 요시나리는 국서를 위조해가면서 국교 회복에 성공하는데, 이 사실이 1631년에 대마도 내부의 권력 다툼으로 막부에 발각되게 된다. 이 사건의 처분에 관한 막부 내부에서의 논쟁을 '야나가와 잇켄(柳川一件)'이라고 부르는데, 막부는 소씨 가문의 위조 건은 덮어주면서도 조선과의 외교에 직접 개입하기 시작하여, 1636년에 관련 사실을 조선에 통보했다.

당시 국서를 위조한 내용 중에는 중국의 연호로 바꾸거나 쇼군을 일본국왕으로 개작한 경우가 많았으므로, 막부에서는 공식적으로 일본의 연호를 사용하기로 하면서 쇼군의 칭호는 '대군(大君)'으로 하여, 독자 연호 사용에 따른 조선의 반발을 다소 무마하면서도 일본 내부에서 천황과 쇼군의 관계 설정 논쟁을 회피하는 선택을 했던 것이다. 이 사건 이후 조선 이외의 나라에도 국교시에 사용하는 쇼군의 칭호는 대군이 되었다.

도쿠가와 츠나요시의 정치 고문을 맡았던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는 조선에서 '대군'은 국왕의 적자[4]를 부르는 말이므로 조선국왕과 쇼군의 격을 맞추기 위해 쇼군의 칭호를 일본국대군에서 다시 일본국왕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견이 반영되어 1711년부터 한동안 쇼군은 조선과의 국교에서는 일본국왕을 자칭하게 된다.

이 조치에 쓰시마 후추 번의 아메노모리 호슈는 '왕'이라는 단어에 가즈사나 히타치 같은 지명이나 동·서 따위의 방위 명칭을 붙인다면 가즈사의 왕 또는 동쪽의 왕 식으로 그 지역에서나 행세하는 자칭 왕으로 허용해 줄 수 있지만, '일본국왕'이라고 부르는 것은 말 그대로 '일본의 왕'이라는 뜻이 되므로 엄연히 의미가 달라진다고 비판하면서 동문인 하쿠세키를 난폭한 유학자라고 힐난했다. 특히 호슈는 막부의 쇼군은 엄연히 일본이라는 '왕국'의 정당한 주권자인 천황 즉 '왕'으로부터 국가 권력을 위임받아 무력으로 통치하는 존재일 뿐이며 일본에서 '일본국왕'이라고 불릴 수 있는 것은 엄연히 교토의 천황뿐이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5]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집권하자 하쿠세키는 실각했고, 결국 쇼군의 대외용 칭호는 다시 일본국대군으로 복구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 기타

1986년나카소네 야스히로 내각총리대신에스와티니 국왕 음스와티 3세의 즉위식에 참석해달라는 초청장을 받았는데 거기에 수신인이 '일본국왕 나카소네'로 쓰여있어서(...) 화제가 된 바 있다. 초청장을 보내는 측에서 착오가 있었던건지는 불명이다.

[1] #[2] 심지어 임진왜란을 일으킨 이유 중 하나가 감합무역의 재개라는 설이 있으며 실제로도 도요토미가 전쟁을 끝내는 조건으로 내세운 것 중 하나가 감합무역의 재개인데 감합무역은 기본적으로 책봉국-조공국 관계의 사고가 깔려 있으며 당연히 중국이 책봉국이고 그 외 다른 나라들이 조공국이다.[3] 大君을 훈독인 '오오키미(オオキミ)'로 읽게 될 경우에는 천황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의미가 바뀐다.[4] 일본으로 치면 친왕이다. 일본은 정비 즉 중궁의 소생이 아니어도 덴노가 인정하면 친왕이 될 수 있었다.[5] 사실 쇼군으로써도 일본국왕이라는 칭호가 마냥 달갑지도 않았던 것이, 쇼군이 '왕'이 되고 덴노가 '황제'가 되어 황제-(제후)왕의 구도가 성립될 경우, 일본이라는 왕국의 진정한 천자(황제)인 덴노가 행사해야 할 국정 운영권을 쇼군이 덴노로부터 횡령해 자기 마음대로 휘두르는 고대 중국 역사에서 등장하는 권신들과 같은 존재임을 쇼군 스스로가 천하에 폭로하는 꼴이었고, '왕'이 '황제'보다 낮고 '일본국왕'인 쇼군이 '일본 황제' 덴노의 신하가 되는 것이라면 당연히 정치를 신하가 멋대로 할 것이 아니라 임금에게 돌려드려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일부 존왕주의자들의 주장 역시 힘을 얻게 되기 때문이었다. 막부의 권위가 높아지는 대신 반대로 위태롭게 될 수도 있는 위험성이 '일본국왕'이라는 호칭 안에 들어있었던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