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인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구인구직 사이트에 대한 내용은 사람인 문서 참고하십시오. 人 사람 인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人,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2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ジン, ニン | ||||||
일본어 훈독 | ひと | ||||||
- | |||||||
표준 중국어 | ré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clearfix]
1. 개요
사람 인사람이라는 뜻을 지닌 한자로,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한자 중 하나이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사람 |
음 | 인 | |
중국어 | 표준어 | rén |
광동어 | jan4 | |
객가어 | ngìn | |
민북어 | nêng | |
민동어 | ìng[文] / nè̤ng[白1] | |
민남어 | lîn[文1], jîn[文2] / lâng[白1] | |
오어 | zen (T3)[文] / nyin (T3)[白] | |
일본어 | 음독 | ジン, ニン |
훈독 | ひと | |
베트남어 | nhân |
유니코드에는 U+4EBA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ㄖㄣˊ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人)로 입력한다.
갑골문 | 금문 | 소전 |
해서의 자형은 사람이 두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모습으로 보인다. 이를 두고 누군가가 두 사람이 서로 기대고 있는 모습으로 보고 모름지기 사람은 서로 의지하고 살아야 한다는 의미로 왜곡했다. 사실 갑골문의 자형을 보면 팔을 내리고 서 있는 사람의 옆모습을 그린 상형자며, 전서로 오면서 팔 부분이 길게 변형된 것에 불과하다.
한글 자음 ㅅ과 모양이 거의 같아 외계어 등에서 이용하기도 했다.
기본적으로 '사람'이라는 뜻이지만, 상나라 시절에는 지배층만을 의미하는 한자였고 피지배층의 경우 '民'으로 칭했다. 또 한문에선 己와 같이 나올 경우, 己는 '나'로 人은 '남'으로 해석된다. 비단, 己와 함께 나오지 않더라도 人이 한문에서 나온다면 열의 여덟은 남이라는 뜻이다.
또한 창작물에서 살인사건, 등장인물 등에 쓰이는 사람 인 자는 종으로서의 사람만이 아닌 인격체 전반을 가리키므로 등장인물이 인격체라면 살견사건, 등장견물 등으로 바꾸지 않아도 된다. 물론 인격체가 아니라면 '등장 견' 등으로 바꿀 수 있다.
일본어에서는 人이 일부 단어에서 그리고 인명의 마지막 글자로 쓰일 때 うど의 꼴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ウ음편이라는 현상에서 기인한 것이다. 고대 일본어에서 현대일본어로 변하는 과정에서 [k],[p],[ɾ]등의 탈락이 매우 빈번하게 일어났는데 그 결과~ひと[pito]→うど[-udo]의 꼴로 변한 것이다. 자세한 것은 순음퇴화 항목과 음편 문서 참조.
한국의 한자 세대에선 필기 때 오른쪽 획에 삐침 2개를 쓰는 경우(𱎚[8])가 잦다.
3. 용례
기초적이고 중요한 한자이다 보니 매우 다양한 용어에서 사용된다. 접미사(~인) 등으로도 매우 많이 쓰여서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3.1. 단어
- 개인 (個人)
- 개인화기(個人火器)
- 군인 (軍人)
- 기업인 (企業人)
- 노인 (老人)
- 달인 (達人)
- 대변인 (代辯人)
- 대인 (大人/對人)
- 미인 (美人)
- 범인 (犯人)
- 법인 (法人)
- 본인 (本人)
- 부인 (夫人)
- 살인 (殺人)
- 상인 (商人)
- 성인 (成人/聖人)
- 시인 (詩人)
- 수인 (獸人)
- 신인 (新人)
- 애인 (愛人)
- 언론인 (言論人)
- 연예인 (演藝人)
- 연인 (戀人)
- 외국인 (外國人)
- 외지인 (外地人)
- 인간 (人間)
- 인건비 (人件費)
- 인격 (人格)
- 인공 (人工)
- 인구 (人口)
- 인권 (人權)
- 인기 (人氣)
- 인도 (人道)
- 인두겁 (人두겁)
- 인력 (人力)
- 인류 (人類)
- 인민 (人民)
- 인물 (人物)
- 인사 (人事/人士)
- 인삼 (人蔘)
- 인생 (人生)
- 인재 (人才/人材/人災)
- 인종 (人種)
- 인중 (人中)
- 인체 (人體)
- 인형 (人形)
- 일반인 (一般人)
- 장애인 (障礙人/障碍人)
- 장인 (匠人/丈人)
- 정치인 (政治人)
- 주인 (主人)
- 주인공 (主人公)
- 지식인 (知識人)
- 증인 (證人)
- 초인 (超人/招人)
- 초인종 (招人鐘)
- 타인 (他人)
- 한국인 (韓國人)
3.2. 고사성어/숙어
- 각인각색(各人各色)
- 미인박명(美人薄命)
- 안하무인(眼下無人)
- 인면수심(人面獸心)
- 인명재천(人命在天)
- 인사불성(人事不省)
- 인사유명(人死留名)
- 인산인해(人山人海)
- 인생무상(人生無常)
- 차도살인(借刀殺人)
- 천인공노(天人共怒)
- 촌철살인(寸鐵殺人)
- 홍익인간(弘益人間)
- 팔방미인(八方美人)
3.3. 인명
뜻이 뜻이니만큼 인명에 자주 쓰이는 한자다. 일본에서는 남자이름에 흔하게 들어가지만 한국에서는 '인' 자의 어감 때문에 여자이름에 많다.- 가인 - 본명 손가인 (孫佳人/嘉人)
- 가키노모토노 히토마로(柿本 人麻呂)
- 간 나오토 (菅 直人)
- 나나미 켄토(七海 建人)
- 나카무라 카이토(中村 海人)
- 모노마 네이토(物間 寧人)
- 선인(仙人)
- 송시인(宋施人)
- 시몬 마사토 (子門真人)
- 시바타 나오토 (柴田直人)
- 신소 히토시(心操 人使)
- 이인직(李人稙)
- 장재인(張才人)
- 정인택(鄭人澤): 소설가
- 제로자키 히토시키(零崎 人識)
- 카미사토 아야토(神里 綾人)
- 키무라 케이토(木村 慧人)
- 타케나카 나오토(竹中 直人)
- 텐히로 나오토(天広 直人)
- 하야미 라센진(速水 螺旋人)
- 한가인(韓佳人)
- 휘인 - 본명 정휘인 (丁輝人)
- 후카사와 나오토 (深澤直人)
- 히토미 겐키 (人見元基)
3.4. 지명
3.5. 창작물
- 만인보(萬人譜)
- 망내인(網內人)
- ずっと2人で…/GONE WITH THE WIND
- 主亡き機械人形のまなざし(주인 잃은 기계인형의 눈빛)
- 最愛のひと(가장 사랑하는 사람)
- 好きな人がいること(좋아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
- 淫らに喘ぐ七人の夜這いする孕女(음란하게 허덕이는 일곱 요바이잉녀)
3.6. 기타
- 개념인(槪念人)
- 고봉민김밥人
- 국인체(國人體): '국방인사정보체계'의 준말
- 대인배(大人輩)
- 반인반요(半人半妖)
- 연반인(演般人)
- 인간사료(人間飼料)
- 인급동(人急動): '인기 급상승 동영상'의 준말
- 인자강(人自強)
- 탈인간(脫人間)
- 피해호소인(被害呼訴人)
- 丕刀卜乙卜人丨凹卜乙卜口卜
- 白い恋人(시로이코이비토): 일본의 과자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5.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획순 |
사람인부의 제부수자로, 강희자전에 9번째로 분류되어 있는 부수이며, 이것을 부수로 삼는 한자는 약 800여개가 있다. 일상적으로 자주 쓰이고 중요한 한자들 중 상당수가 사람인부를 부수로 삼으므로 매우 중요한 부수이다.
사람인부가 변으로써 쓰이면 사람인변(亻)이 되는데, 변부수들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비중이 높은 부수 중 하나다. 가타카나 イ(이)와 비슷해보이는데, 실제로도 イ는 사람인변의 형상에서 유래하였다. 사람인변 뿐만 아니라 머리로써 쓰이는 부수(𠆢) 등도 있는데, 부수로서는 자주 쓰이는 편은 아니나 구성요소로써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𠆢는 合(합할 합) 등에 쓰이는 한자라고 이해하면 된다. 오히려 人이 '사람 인'으로서 위쪽으로 가면 ⺈ 형태로 바뀌는 경우가 많다.
국악에서는 음계를 뜻하는 한자에 붙어 0옥타브의 음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9]
6. 人놀이
네이버 웹툰을 비롯한 많은 커뮤니티의 댓글난에서 성행하는 놀이. 무언가 공감할 내용을 가지고 人을 붙여가며 이어가는 것.해당 댓글이 있는 바나나걸 43화 보러가기 유료화됐다.
A: 나무위키를 보고있는 1人 B: 나무위키를 보고있는 2人 C: 나무위키를 보고있는 3人 . . |
한때 네이버 카페같은 커뮤니티에도 보였으나,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곳은 역시 네이버 웹툰. 참여자가 한둘이 아닌 만큼 人앞에 숫자가 겹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이걸 막겠다고 미리 숫자를 건너뛰어서 하다보면 10~20씩 건너뛰며 진행되며, 일부러 수를 늘리는
시기별 人놀이도 존재하는데, 설날에는 '이거 이으면 세뱃돈 많이 받는다 1人', 추석엔 '이거 이으면 용돈 많이 받는다 1人', 시험기간엔 '이거 이으면 시험점수 100점 맞는다 1人', 아니면 그냥 '마우스 뒤집어서 메이드 인 차이나 나오면 이어라 1人', '지금 뭐 먹고 있는 사람 이어라 1人', '왼손으로 턱 괴고 오른손으로 스크롤 내리는 사람 이어라 1人' 등등.
웹툰에 대한 감상평과 아무 관계 없는 뻘글로 도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등수놀이처럼 보는사람의 짜증만 불러일으킨다. 유치해 보이지만 초딩이 아니더라도 괜히 따라해보는 사람이 은근히 많으므로 이 놀이로 해당 웹툰의 팬 연령대를 추정하긴 힘들다.
야갤 등 일부 갤러리에선 선수 이름 등을 이용한 변형된 형태로 즐기기도 한다. '일도스키', '이도스키', '삼도스키', '사도스키'처럼.
베댓이라는 새 시스템이 생기면서 이런거 없어졌다.
퍼피레드 에서는 2008년 경 까지 남녀 캐릭터가 모든 의상을 벗고
한자 人과 한글 자음 ㅅ의 형태가 비슷하여 1ㅅ, 2ㅅ 이런 식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7. 주술행위
일본에서 유래한 것으로, 손바닥에 '人'자를 세 번쓰고 입으로 삼키는 시늉을 하면 긴장감이 완화된다는 일종의 주술행위. 이런 행위가 손바닥의 노궁이라는 혈을 자극하여 심신에 안정감을 주게 한다는 설명이 있다.[10]이미 일본만의 미신이라고 하기도 무엇할정도로 일본 밖으로도 널리 퍼진 듯 하다. 네이버 등에서도 긴장푸는 법으로 이 방법을 알려주는 경우도 종종있으며, 영화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에도 설경구가 전도연에게 "人을 손바닥에 다섯 번 써서 삼키면 긴장이 가라앉는다던데..."라고 말하는 장면이 있다.
크레용 신짱(짱구는 못말려)에도 노하라 미사에(봉미선)가 운전면허 시험을 볼 때에도 이 행위가 등장한다. 하필 시험 당일에 비까지 와 잔뜩 긴장한 짱구 엄마가 '이럴 때엔 손바닥에 人을 세 번 써서 삼키면 된다.'라고 생각해 손바닥에 人을 쓰려다가 짱구가 하필 조랑말 노래를 하는 바람에 人대신 馬를 손바닥에 쓰고 그만 삼켜버려 더욱 당황하는 장면이 있다. 잔뜩 긴장한 상황에서 성나고 급하게 달리는 이미지인 말을 써서 삼켰으니, 더욱 긴장할 수밖에. 다행히도 면허는 무사히 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