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bgcolor=#BD0029><nopad> 소재(↓) | <bgcolor=#BD0029><nopad> 용도(→) | 어소 | |||
<colbgcolor=#FFEFA7,#8D0038> | (없음) | |||||
(없음) | }}}}}}}}}}}} |
[[일본 황실| 일본 황실 ]]관련 문서 · 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DCA600,#8C003B><colcolor=#FFF> 신위 | 천황 (역대 천황 · 틀 · 계보) · 황후 (틀) · 황태후 · 태황태후 · 상황 (틀) · 상황후 · 섭정 (틀) · 황사 [황태자 · 황태손] · 황사비 \황태자비 · 황태손비] · 친왕 · 친왕비 · 내친왕 · 왕 · 왕비 · 여왕 |
칭호 | 어칭호 · 미야고(궁호) | |
분가 | 미야케(궁가) (틀) · 구황족 (틀 · 가계도 · 계보 上 · 中 · 下) · 세습친왕가 (틀) | |
가계도 | 천황 계보 · 황실 가계도 · 구황족 계보 \上 · 中 · 下] · 구황족 가계도 · 내정 가계도 · 아키시노노미야 가계도 · 미카사노미야 가계도 · 다카마도노미야 가계도 · 지묘인통과 다이카쿠지통 | |
상징 | 십육엽팔중표국 · 니시키노미하타 | |
거주 | 일본의 어소 (틀) \[황거 · 교토 어소] · 일본의 이궁 (틀) | |
능묘 | 모즈·후루이치 고분군 · 쓰키노와능 · 후카쿠사 북릉 · 후시미모모야마능 · 무사시 능묘지 | |
신화 | 신대 (역대 신 틀) \[아마테라스 · 지신오대 · 히무카 삼대] · 아라히토가미 · 이세 신궁 · 천양무궁의 신칙 | |
의식 · 행사 | 즉위의 예 · 대상제 · 가가쿠 · 일반참하 · 황기 2600년 봉축곡 | |
보물 | 삼종신기 (틀) · 정창원 | |
축일 | 기원절 · 천황탄생일 | |
기년법 | 연호 (틀) · 황기 | |
제도 | 황실전범 \구 황실전범] · 황적이탈 (틀) | |
조직 | 궁내청 (역대 장관 틀) · 내대신부 (역대 내대신 틀) · 추밀원 (역대 의장 틀) · 황궁경찰본부 \[황궁호위관] · 황실회의 (의원 틀) | |
역사 | 결사팔대 · 남북조정윤론 · 다이카쿠지통 (계보) · 만세일계 · 북조 천황 (틀) · 인세이 · 지묘인통 (계보) · 추존 천황 (틀) | |
교육 | 가쿠슈인 \[가쿠슈인대학] | |
문제 | 여성 천황 · 후계자 대책 | }}}}}}}}}}}} |
1. 개요
어소([ruby(御所, ruby=ごしょ)])는 일본에서 천황이나 황족 등이 거주하는 장소를 가리키는 호칭이다. 즉, 황궁을 뜻하는 단어이다.2. 호칭
황거(皇居)란 황제가 거주하는 장소를 이르는 말로, 일본에서 황거라는 명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보편화되었다. 그 때문에 현재 천황이 머무르는 장소를 황거라고 호칭하고 있는 것. 어소(御所)는 천황이 거주하는 장소로 각종 공식행사와 정무를 보는 궁전과 궁내청사 등이 황거에 있다.교토 어소는 금리(禁裏), 내리(內裏) 등으로 불렸다 교토에서 도쿄로 천도한 뒤 현재의 교토 어소라는 명칭으로 바뀌었다. 영어명은〈Kyoto Imperial Palace〉. 역사가 긴 곳이라서 헤이안 시대의 양식을 간직한 정전 자신전(紫宸殿)과 일상생활을 하였던 어상어전(御常御殿) 등이 보존되어 있다.
동아시아에서 궁궐을 뜻하는 호칭이 매우 많았듯 일본에서도 천황이 머무르는 장소에 대한 호칭이 많았다. 어소(御所)도 그 중 하나. 내리(內裏), 어소(御所), 대내(大內), 구중(九重), 궁중(宮中), 금중(禁中), 금리(禁裏), 황궁(皇宮), 황성(皇城,) 궁성(宮城)처럼 동아시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던 호칭도 있고 대내산(大內山), 백부(百敷), 자지정(紫之庭), 봉동(蓬が洞), 대궁(大宮), 운지상(雲之上), 운거(雲居) 등 일본 고유의 명칭도 있다.
3. 어소의 종류
- 현재 어소
- 과거 어소였으나 용도가 바뀌었거나 사라진 건물.
- 거주 대상이 공석인 이유로 현재 마련되어 있지 않은 어소.
4. 역사
궁(宮)은 신분이 높은 사람의 주거의 의미로 출발하여 황실의 처소라는 의미로 압축되었다.고대에는 천황의 처소를 궁이라 불렀다. 《고사기》와 《일본서기》에는 4세기~6세기에 걸쳐 궁전의 다수가 나라 분지 동남쪽 대지에 조영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당시에는 천황이 바뀌면 궁궐을 새로 지었기에 천황 1명당 궁궐도 1개씩 존재하였다.
4.1. 아스카 시대 이전
기록상 이 시기 궁전들은 다음과 같다.- 무방강원궁([ruby(畝傍橿原宮, ruby=うねびのかしはらのみや)]/기원전 660년 ~ 기원전 585년)
- 갈성고구궁([ruby(葛城高丘宮, ruby=かつらぎたかおかのみや)])/기원전 581년 ~ 기원전 549년)
- 편염부공궁([ruby(片塩浮孔宮, ruby=かたしおのうきあなのみや)])/기원전 549년 ~ 기원전 511년)
- 경곡협궁([ruby(軽曲峡宮, ruby=かるのまがりおのみや)])/기원전 510년 ~ 기원전 476년)
- 액상지심궁([ruby(掖上池心宮, ruby=わきのかみのいけごころのみや)]/기원전 475년 ~ 기원전 393년)
- 실추진도궁([ruby(室秋津島宮, ruby=むろのあきつしまのみや)]/기원전 392년 ~ 기원전 291년)
- 흑전노호궁([ruby(黒田廬戸宮, ruby=くろだのいほとのみや)]/기원전 290년 ~ 기원전 215년)
- 경경원궁([ruby(軽境原宮, ruby=かるのさかいはらのみや)]/기원전 214년 ~ 기원전 158년)
- 춘일솔천궁([ruby(春日率川宮, ruby=かすがのいざかわのみや)]/기원전 157년 ~ 기원전 98년)
- 기성서리궁([ruby(磯城瑞籬宮, ruby=しきのみずがきのみや)]/기원전 97년 ~ 기원전 30년)
- 전향주성궁([ruby(纒向珠城宮, ruby=まきむくたまきのみや)]/기원전 29년 ~ 70년)
- 전향일대궁([ruby(纒向日代宮, ruby=まきむくひしろのみや)]/71년 ~ 130년)
- 지하고혈수궁([ruby(志賀高穴穂宮, ruby=たかあなほのみや)]/131년 ~ 191년)
- 혈문풍포궁([ruby(穴門豊浦宮, ruby=あなとのとよらのみや)]/192년 ~ 198년)
- 강일궁([ruby(橿日宮, ruby=かしいのみや)]/198년 ~ 203년)
- 반여치앵궁([ruby(磐余稚桜宮, ruby=いわれわかさくらのみや)]/203년 ~ ?, 400년 ~ 405년)
- 경도풍명궁([ruby(軽島豊明宮, ruby=かるしまのとよあきらのみや)]/? ~ ?)[1]
- 난파대우궁([ruby(難波大隅宮, ruby=なにわのおおすみのみや)]/? ~ 310년)
- 난파고진궁([ruby(難波高津宮, ruby=なにわたかつのみや)]/310년 ~ 399년)
- 단비시리궁([ruby(丹比柴籬宮, ruby=たじひのしばかきのみや)]/406년 ~ ?년)
- 원비조궁([ruby(遠飛鳥宮, ruby=とほつあすかのみや)]/406년 ~ 453년)
- 석상혈수궁([ruby(石上穴穂宮, ruby=いそのかみのあなほのみや)]/454년 ~ 456년)
- 박뢰조창궁([ruby(泊瀬朝倉宮, ruby=はせあさくらのみや)]/456년 ~ 479년)
- 반여옹률궁([ruby(磐余甕栗宮, ruby=いわれのみかくりのみや)]/480년 ~ 484년)
- 근비조팔조궁([ruby(近飛鳥八釣宮, ruby=ちかつあすかのやつりのみや)]/485년 ~ 487년)
- 석상광고궁([ruby(石上広高宮, ruby=いそのかみのひろたかのみや)]/488년 ~ 498년)
- 박뢰열성궁([ruby(泊瀬列城宮, ruby=はつせのなみきのみや)]/498년 ~ 507년)
- 장엽궁([ruby(樟葉宮, ruby=くすはのみや)]/507년 ~ 511년)
- 통성궁([ruby(筒城宮, ruby=つつきのみや)]/511년 ~ 518년)
- 제국궁([ruby(弟国宮, ruby=おとくにのみや)]/518년 ~ 526년)
- 반여옥수궁([ruby(磐余玉穂宮, ruby=いわれのたまほのみや)]/526년 ~ 534년)
- 구금교궁([ruby(勾金橋宮, ruby=まがりのかなはしのみや)]/534년 ~ 536년)
- 회외려입야궁([ruby(檜隈廬入野宮, ruby=ひのくまのいおりののみや)]/536년 ~ 540년)
4.2. 아스카 시대
592년 스이코 천황이 즉위한 풍포궁([ruby(豊浦宮, ruby=とゆらのみや)])에서 694년 지토 덴노가 후지와라쿄로 천도하기까지 약 100년간, 나라의 남쪽 대지 아스카에 다수의 궁전이 조영되어 아스카쿄라고 불리었다. 당시 시대 명칭은 이 지명을 따서 아스카 시대라 한다.이 시기 궁전들은 다음과 같다. 볼드체는 아스카에 위치하였던 어소이다.
- 기성도금자궁([ruby(磯城島金刺宮, ruby=しきしまのかなさしのみや)]/540년 ~ 572년)
- 백제대정궁([ruby(百済大井宮, ruby=くだらのおおいのみや)]/572년 ~ 575년)
- 역어전행옥궁([ruby(訳語田幸玉宮, ruby=おさださきたまのみや)]/575년 ~ 585년)
- 반여지변쌍규궁([ruby(磐余池辺双槻宮, ruby=いわれのいけのべのなみつきのみや)]/585년 ~ 587년)
- 창제궁([ruby(倉梯宮, ruby=くらはしのみや)]/587년 ~ 592년)
- 풍포궁([ruby(豊浦宮, ruby=とゆらのみや)]/592년 ~ 603년)
- 소간전궁([ruby(小墾田宮, ruby=おはりだのみや)]/603년 ~ 630년)
- 비조강본궁([ruby(飛鳥岡本宮, ruby=あすかのおかもとのみや)])/630년 ~ 636년)
- 전중궁([ruby(田中宮, ruby=たなかのみや)])/636년 ~ 640년)
- 백제궁([ruby(百済宮, ruby=くだらのみや)])/640년 ~ 643년)
- 비조판개궁([ruby(飛鳥板蓋宮, ruby=あすかのいたぶきのみや)]/643년 ~ 645년, 654년 ~ 655년)
- 난파장병풍기궁([ruby(難波長柄豊碕宮, ruby=なにわのながらのとよさきのみや)]/645년 ~ 653년)
- 비조천원궁([ruby(飛鳥川原宮, ruby=あすかのかわらのみや)]/655년 ~ 656년)
- 후비조강본궁([ruby(後飛鳥岡本宮, ruby=のちのあすかのおかもとのみや)]/656년 ~ 661년)
- 조창귤광정궁([ruby(朝倉橘広庭宮, ruby=あさくらのたちばなのひろにわのみや)]/661년)
- 근강대진궁([ruby(近江大津宮, ruby=おうみのおおつのみや)]/668년 ~ 672년)
- 비조정어원궁([ruby(飛鳥浄御原宮, ruby=あすかのきよみはらのみや)]/672년 ~ 694년)
이들 궁은 지면에 구멍을 파 기둥의 뿌리를 고정시킨 굴입주 건물들이다. 이들 건물 중 7세기 이후의 건물에서는 남향을 정면에 둔 중심 건물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참고로, 이들 중 비조강본궁(飛鳥岡本宮) 비조판개궁(飛鳥板蓋宮), 비조정어원궁(飛鳥浄御原宮)은 이름만 다른 같은 궁궐이다.
4.3. 나라 시대
중국 당나라의 율령제를 들여와 그 형식으로 도읍을 조영하였고, 천황은 도읍 중 내리(內裏)에 터를 잡아 궁으로 삼았다. 694년에 조성된 등원궁([ruby(藤原宮, ruby=ふじわらのみや)])은 본격적인 중국식 궁성의 시작이었으며, 이후 710년에 나라로 천도하면서 국정을 총괄하는 평성궁 조당원([ruby(平城宮, ruby=へいぜいきゅう)] [ruby(朝堂院, ruby=ちょうどういん)])을 비롯하여 중앙 관아는 내리에 함께 두었고, 이들을 아울러 궁성(宮城)이라고 불렀다. 또한 이 시기부터 궁궐이 고정되기 시작한다. 이 시대 이름은 나라에서 이름을 따와 나라 시대라 한다.이 시기 궁전들은 다음과 같다.
- 등원궁([ruby(藤原宮, ruby=ふじわらのみや)]/694년 ~ 710년) 단, 이 시기는 나라 시대로 포함시키지 않는 경우도 많다.
- 평성궁([ruby(平城宮, ruby=へいぜいきゅう)]/710년 ~ 740년, 745년 ~ 784년)
- 공인궁([ruby(恭仁宮, ruby=くにきゅう)]/740년 ~ 744년)
- 자향락궁([ruby(紫香楽宮, ruby=しがらきのみや)]/745년)
- 보량궁([ruby(保良宮, ruby=ほらのみや)]/761년 ~ 764년)
- 유의궁([ruby(由義宮, ruby=ゆげぐう)]/769년 ~ 770년)
- 장강궁([ruby(長岡宮, ruby=ながおかのみや)]/784년 ~ 794년)
4.4. 헤이안 시대~에도 시대
794년 간무 천황은 나가오카쿄에서 헤이안쿄로 천도한다.960년 궁이 소실되었고, 궁이 재건될 때까지 냉천원(冷泉院)을 임시 궁으로 삼았다.
976년 다시금 궁이 소실되어 후지와라노 가네미치의 저택 굴하전(堀河殿)을 임시 궁으로 삼았다.
헤이안쿄의 궁은 자주 소실되었기 때문에 중신과 외척 등의 저택을 임시 궁으로 삼는 일이 많았다. 그래서 헤이안 말기부터는 궁과 임시 궁을 별도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227년 궁성이 소실되자 궁을 재건하지 않고 중신의 처소를 임시 궁으로 삼아 전전하였다.
남북조 시대인 1331년 북조의 코곤 천황의 북어문 동동원전(北御門 東洞院殿)에서 즉위식을 갖고 궁으로 삼았다. 이후 궁은 북어문내리(北御門內裏)라고 불리었고 이 장소가 현재의 교토 어소이다.
이 시기 궁궐은 다음과 같다. 사실상 특수한 시기를 제외하면 전부 교토 어소가 어소로 작용하였다.
이하 남조. 공식적으로는 남조가 정통이었으며, 이 시기에도 정궁은 교토 어소였다.
- 요시노 행궁([ruby(吉野行宮, ruby=よしのあんぐう)]/1336년~ 1338월, 1368년 ~ 1369년, 1373년 ~ 1379년, 1385년 ~ 1392년)
- 아노 행궁([ruby(賀名生行宮, ruby=あのうあんぐう)]/1348년 ~ 1352년, 1352년 ~ 1354년)
- 아마노 행궁([ruby(天野行宮, ruby=あまのあんぐう)]/1354년 ~ 1359년, 1369년 ~ 1373년)
- 간신지 행궁([ruby(観心寺行宮, ruby=かんしんじあんぐう)]/1359년 ~ 1360년)
- 스미요시 행궁([ruby(住吉行宮, ruby=すみよしあんぐう)]/1360년 ~ 1368년)
- 에이잔 행궁([ruby(栄山行宮, ruby=えいざんあんぐう)]/1379년 ~ 1385년)
4.5. 메이지 유신 이후
1868년 에도를 도쿄로 개명한 메이지 천황은 도쿄로 행행하여 에도 성 니노마루에 입성하였고, 에도 성을 도케이 성(東京城)으로 개명하였다. 그리고 에도 성을 도쿄의 임시 궁으로 삼은 후 교토로 환궁하였다. 1869년 다시금 도쿄로 행행하였고 도케이 성을 황성으로 개명했다. 1873년(메이지 6년) 에도 성 니시노마루의 화재로 소실되자 잠깐 아카사카 이궁을 임시 황거로 삼았다.1877년 메이지 천황의 지시로 교토 어소는 사라지지 않고 보존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1879년(메이지 12년) 니시노마루에 새로운 궁전의 조영을 결정하였다. 1888년(메이지 21년) 메이지 궁전(明治宮殿)이 완공되어 이후 황성은 궁성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메이지 궁전은 구루마요세[2], 히로마[3], 정전, 동서류(대기실), 풍명전, 천조의 간 등, 응접·정무의 공간과 천황의 처소에 해당하는 안쪽 궁전까지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1945년(쇼와 20년) 5월 공습에 의해 메이지 궁전은 소실되었고 쇼와 천황과 고준 황후 부부는 후키아게 정원 내의 문고(文庫)를 임시 거처로 삼았고 궁내청사 3층을 임시 궁전으로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이후인 1948년(쇼와 23년) 궁성(宮城)의 명칭이 폐지되고 황거(皇居)로 불리게 되었다. 현재의 황거라는 명칭은 이때 확립된 것이다.
태평양 전쟁이 끝난 후 잠시 동안 소실되었던 궁전의 재건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이유에 관해서는 히로히토의 측근 이리에 스케마사는 그의 저서에서 다음과 같이 회고하고 있다.《폐하는 전쟁 종료 후, “국민이 전쟁의 재난으로 주거할 집도 없이 보내고 있는 이 시기에 새로운 궁전을 조영해서는 안다.”라고 국민 생활 향상을 최우선시하여 소실된 궁전 등의 재건을 기다려달라》라는 취지였다고 적고 있다.
1955년 들어서 전후 재건이 일단락되자 궁전 재건의 움직임에 활기가 띠기 시작했고, 1959년(쇼와 34년) 황거조영심의회의 회신을 토대로 1960년(쇼와 35년)부터 새로운 궁전 조영이 시작되었다. 신 궁전은 메이지 궁전과 같이 천황의 처소와 연결시키지 않고 어소와 궁전을 따로 조영하였다.
1961년(쇼와 39년) 우선 쇼와 천황과 고준 황후 부부의 처소로서 황거 안의 후키아게 지구의 후키아게 어소가 완성되었다. 신 궁전은 메이지 궁전 터에 1964년(쇼와 39년) 착공하여, 1968년(쇼와 43년) 10월 완공되었다. 1969년(쇼와 44년) 4월부터 사용되었다.
더불어 후키아게 어소는 쇼와 천황 사후 고준 황후의 처소로 사용되어 후키아게오미야 어소로 불리었다.
아키히토 천황과 미치코 황후 부부는 황위를 계승한 후 잠시 동안 아카사카 어소에서 머물면서 황거의 궁전을 왕래했지만, 황거 안 후키아게 지구의 한 귀퉁이에 새로운 어소를 건립하여 1993년(헤이세이 5년) 12월부터 사용하고 있다.
도쿄의 황거는 에도 시대 말기까지 에도 막부 쇼군의 거성인 에도 성 터에 있다. 궁전은 에도 성 안 니시노마루에 건립되었고, 천황의 실생활 거주지인 어소는 후키아게라고 불리는 에도 성의 부수정원 부분에 세워졌다. 옛 에도 성의 니시노마루와 후키아게 정원은 도칸 해자라는 해자에 의해 떨어져 있다.
황거는 에도 성의 혼마루, 니노마루, 산노마루 및 니시노마루 구역에 들어선 것이고, 그 외 기타노마루와 황거 외원 부분은 엄밀히 말해서 황거 구역에 포함되지 않는다. 더불어 에도 성의 내측해자는 황거의 외측에 있고, 후키아게 정원을 포함한 황거 전체를 둘러싸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