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전시회]]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전시회#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전시회#|]]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전시회]]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전시회#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전시회#|]]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음반 목록 ]
- ||<width=33.3%> ||<width=33.3%> || ||
<rowcolor=#000,#FFF> 1집
EXHIBITION
(1994.05.01)2집
EXHIBITION 2
(1996.04.01)3집
졸업
(1997.01.01)
<colbgcolor=#006400><colcolor=#fff> 전람회 EXHIBITION | |
| |
김동률 • 서동욱 | |
장르 | 발라드, 재즈 |
활동 기간 | 1993년 12월 11일 ~ 1997년 3월 |
데뷔 | 1993년 MBC 대학가요제 (데뷔일로부터 [dday(1993-12-11)]일, [age(1993-12-11)]주년) |
1. 개요
|
1집 활동 당시 |
|
2집 활동 당시 |
|
해체 이후 김동률 솔로 1집 활동 당시 |
1993년 MBC 대학가요제[1]에서 재즈 성향의 곡 <꿈속에서>로 대상과 특별상을 받으며 화려하게 데뷔하였다.[2] 당시 시상식 영상 전람회에서 김동률은 피아노를 맡았으며 서동욱은 베이스를 맡았다. 1집 《Exhibition》에서 재즈 스타일의 곡 〈기억의 습작〉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군 제대 후 발표한 2집 《Strangers…》의 〈이방인〉, 〈J's Bar에서〉, 〈유서〉, 〈취중진담〉 등의 곡으로 큰 사랑을 받았다. 특히 1996년 별들의 전쟁이라고 불리는 레전드 가수들의 컴백 경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음반은 꾸준히 팔려나갔다. 1997년 3월, 3집 《졸업》을 발표함과 동시에 해체하였고 서동욱은 컨설턴트가 될 때, 김동률은 "음악 빼고는 잘 할 수 있는 게 없다"며 솔로로 데뷔하였다.[3]
2. 멤버
멤버 | 생년월일 | 신체 | 포지션 |
김동률 | 1974년 3월 15일 | 177cm | 메인보컬, 피아노 |
서동욱 | 1974년 4월 1일 ~ 2024년 12월 18일 | 170cm | 서브보컬, 베이스 기타 |
3. 음반 목록
음반 | 제목 | 발매일 | 타이틀곡 및 후속곡 |
정규 1집 | EXHIBITION | 1994년 5월 | 기억의 습작 |
정규 2집 | EXHIBITION 2 | 1996년 4월 | 이방인 - 취중진담 |
정규 3집 | 졸업 | 1997년 1월 | 졸업 |
4. 기타
전람회는 3집 앨범을 마지막으로 해체했지만 서동욱은 이후 카니발 1집의 '그녀를 잡아요' 와, 김동률 솔로 1집의 '내 오랜 친구들' 과, 김동률 솔로 3집의 히든 트랙 '떠나보내다' 에서 오랜만에 목소리를 비추면서 김동률과 재회하였다.공교롭게도 멤버들 이름에 모두 동자가 들어가서, 신촌의 동동브라더스라는 별명도 있었다. 이 별명은 신해철이 처음 붙여주었고, 1996년 신해철의 <FM음악도시> 화요일[4] 게스트 당시 김동률, 서동욱이 언급하였다.
텔레비전보다는 라디오에 주로 출연하며 활동했기 때문에 라디오 에피소드가 좀 있는 편이다. 위에서 언급한 대로 2집 활동 당시 화요일 게스트 겹치기를 열심히 했던 적도 있고, 라디오 스페셜 방송도 꽤 많이 나왔었다. 김기덕의 <2시의 데이트> 여름 스페셜로 전람회 특집을 2시간으로 기획한 적이 있었는데, 서문여고 방송반 학생들이 구성하여 진행을 했던 지라 라디오 드라마도 있었고, 앙케이트도 있었고, 광고도 하고, 팬북처럼 여러 가지를 구성하기도 했는데, 잠깐 둘의 외모와 인기를 비교하는 일도 있었다. 당시 김동률의 전람회 내의 압도적 지분에 비해 서동욱도 꽤 인기가 많았는데, 그 이유는 역시 서동욱의 외모와 언변. 학생들도 직접적으로 보니 서동욱이 좋았는지 진행 중 살짝 서동욱의 멋짐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여 애매한 상황을 연출하였다.
KBS에서 가을 특집으로 시에 노래를 붙여 창작곡 공개 방송을 했던 적도 있으며, 당시 전람회는 시인 고은별의 <그리움은 영원할 수 없습니다>에 감성적인 음을 붙여 좋은 노래를 탄생시켰지만 이 노래는 그 이후로 한 번도 부른 적도 없거니와, 재발매를 한 적도 당연히 없어서 인터넷에서는 구할 수 없다. 참고로 이 방송에서 이동원의 <가을편지>도 함께 불렀다.
KBS 홍서범의 뮤직쇼에서 청취자들이 보내온 노랫말로 참여한 게스트 음악가들이 곡을 만들어 공개했던 코너가 있었다. 전람회는 한 청취자의 '그냥 이대로' 라는 가사에 곡을 붙여서 공개하였다. 당시 가사 중에 일부와 멜로디가 기억난다. '그냥 이대로 세상 저 끝으로 달려 갈 수는 없을까~'
PC통신 시절, 전람회의 팬클럽의 이름은 관람객이었다.[5]
2집의 본래 타이틀곡은 <이방인>이었으나 생각보다 반응이 오지를 않았고, 이후 후속곡도 딱히 1곡을 선택했다기 보다는 라디오에서 다양한 곡들이 들려졌다. <취중진담>은 후속곡 우선 순위에서 첫 번째가 아니었는데, 이후 이 곡이 살아남아 전설의 명곡이 된 것은 아이러니. 사실 후속곡으로는 <유서>가 좀 더 비중이 높았는데, 심지어는 이 곡이 EBS 청소년 드라마에서 BGM으로 쓰였을 정도. 하지만 <천공의 성 라퓨타>의 곡을 표절했다는 이야기가 터지고, SBS의 연예 프로그램에서 특집으로 표절 곡에 대한 비교를 해줄 때 이 곡도 참고 영상으로 나온 지라 방송가에서 반응이 좋지 않다는 것을 바로 캐치하고 그 이후로 방송에서 들려오는 일은 없었다.
이 그룹의 멤버였던 서동욱은 2024년 12월 18일 지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최영수 어둠 속에서 (1992년) | ▶ | <colbgcolor=#FFFFA1,#5D5E00> 전람회 꿈 속에서 (1993년) | ▶ | 이한철 껍질을 깨고 (1994년) |
역대 국내 발라드 베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아이유 내 손을 잡아 | 에일리 저녁 하늘 | 성시경 희재(熙渽) | 다비치 안녕이라고 말하지마 | 토이 여전히 아름다운지 |
태연 I(feat. 버벌진트) | 정키 홀로(feat. 김나영) | 윤하 기다리다 | 성시경 거리에서 | 브라운 아이즈 가지마 가지마 | |
M.C The Max 잠시만 안녕 | CHEEZE Madeleine Love | 아이유 금요일에 만나요(feat. 장이정) | 박효신 사랑한 후에 | 성시경 너의 모든 순간 | |
다비치 거북이 | M.C The Max One Love | SG워너비 Timeless | 아이유 잔소리 (with 2AM 슬옹) | 비스트 비가 오는 날엔 | |
성시경 두 사람 | 테이 사랑은...향기를 남기고 | 서인국 & 정은지 All For You | 린 ...사랑했잖아… | 이석훈 그대를 사랑하는 10가지 이유 | |
아이유 너의 의미(feat. 김창완) | 2NE1 You and I | 규현 광화문에서 | 하동균 그녀를 사랑해줘요 | 성시경 & 박효신 & 이석훈 & 서인국 & VIXX 크리스마스니까 | |
SG워너비 죄와 벌 | 박효신 추억은 사랑을 닮아 | 씨야 사랑의 인사 | 이승철 그런 사람 또 없습니다 | 포맨 못해(feat. 美) | |
브라운 아이드 소울 정말 사랑했을까 | 허각 & 지아 I Need You | M.C The Max 그대가 분다 | 아이유 나의 옛날이야기 | SG워너비 살다가 | |
나윤권 나였으면 | 성시경 넌 감동이었어 | 다비치 두사랑(feat. Mad Clown) | 백아연 이럴거면 그러지말지 | HIGH4 & 아이유 봄 사랑 벚꽃 말고 | |
싸이 낙원 (feat. 이재훈) | 김동률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 | 어쿠스틱 콜라보 너무 보고싶어 | 빅마마 체념 | 김범수 슬픔활용법 | |
아이유 Rain Drop | 이소라 바람이 분다 | M.C The Max 행복하지 말아요 | 이적 걱정말아요 그대 | SG워너비 라라라 | |
로꼬 & 유주 우연히 봄 | 하동균 & 이정 기다릴게 | VIBE 그남자 그여자(feat. 장혜진) | 아이유 무릎 | 이선희 그 중에 그대를 만나 | |
임창정 소주 한 잔 | 케이윌 Love Blossom (러브블러썸) | 린 시간을 거슬러 | 백지영 사랑 안해 | 노을 전부 너였다 | |
한동근 이 소설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 다비치 미워도 사랑하니까 | 거미 날 그만 잊어요 | 윤하 오늘 헤어졌어요 | 어쿠스틱 콜라보 묘해, 너와 | |
노을 그리워 그리워 | 김범수 끝사랑 | 김연우 이별택시 | 지아 술 한잔 해요 | 김동률 감사 | |
임창정 또 다시 사랑 | 8eight 심장이 없어 | 오혁 소녀 | 아이유 푸르던 | M.C The Max 바라보기 | |
포스트맨 신촌을 못가 | 길구봉구 바람이 불었으면 좋겠어 | 더 네임 그녀를 찾아주세요 | 성시경 그대네요 (Duet With 아이유) | 김범수 보고 싶다 | |
박정현 꿈에 | 박효신 좋은사람 | 팀 사랑합니다... | 전람회 취중진담 | 아이유 나만 몰랐던 이야기 | |
쿨 아로하 | 정키 잊혀지다(feat. 양다일) | M.C The Max 그 남잔 말야 | 윤종신 오르막길(feat. 정인) | 임창정 날 닮은 너 | |
케이윌 끊었던 담배 | 백지영 잊지말아요 | 백지영 멜로디 (feat. 마이티마우스) | 이기찬 미인(美人) | 왁스 화장을 고치고 | |
같이 보기: 역대 국내 음악 베스트 | 역대 국내 댄스 베스트 | 역대 국내 발라드 베스트 | 역대 국내 록발라드 베스트 | 역대 국내 록/얼터너티브 베스트 | |||||
출처 : # |
[1] 두 사람이 93학번이니 무려 1학년 때였다.[2] 이 때 다른 참가 팀들이 전람회의 리허설을 보며 '올해 대상 받기는 글렀구나.'라고 했다는 건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3] 서동욱은 2001년까지 김동률의 앨범에 참여하였다.[4] 정확히는 KBS 이주노의 <FM인기가요>에서 2부 게스트 진행 이후, 바로 MBC로 넘어와서 <FM음악도시> 새벽 2부 게스트 진행을 하였기에 수요일로 보는게 더 맞지만, 같은 날의 진행에 의의를 두기 위해서 그랬던 것인지는 몰라도 당시에는 뭉뚱그려 화요일로 명칭했다.[5] #[6] 김동률이 이적과 1997년에 결성했던 프로젝트 그룹.[7] 전람회 2집 제작에 부분 참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