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20:47:47

정대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인터넷 방송인(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정대철(유튜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대한민국 헌정회 로고.png대한민국헌정회
역대 회장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곽상훈
제2대
백낙준
제3-5대
윤치영
제6대
홍창섭
제7·8대
김주인
제9대
김원만
제9(보선)·10대
김향수
제11대
채문식
제12대
유치송
제13대
장경순
제14대
송방용
제15대
이철승
제16·17대
양정규
제17(보선)·18대
목요상
제19대
신경식
제20대
유용태
제21대
유경현
제22대
김일윤
제23대
정대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C96 16.6%, #003C96 33.2%, #5a1b87 33.2%, #5a1b87 49.8%, #5a1b87 49.8%, #5a1b87 66.4%, #006464 66.4%, #006464 83%); min-height: 31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권노갑 김원기 문희상 박병석
오충일 이용득 이해찬 임채정
정대철 정동영 정세균 추미애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대한민국 제9·10·13·14·16대 국회의원
정대철
鄭大哲 | Chung Dae-chul
파일:정대철 의원.jpg
출생 1944년 1월 4일[1] ([age(1944-01-04)]세)
경기도 경성부 중구 명치정[2]
본관 진주 정씨
만초(萬初)
현직 대한민국헌정회 회장
재단법인 김대중기념사업회 상임고문
상생과통일 포럼 상임고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08080><colcolor=#fff> 부모 아버지 정일형, 어머니 이태영
형제자매 1남 3녀 중 둘째
배우자 김덕신
자녀 장남 정호준, 차남 정세준, 1녀
친인척 손윗동서 조순승
학력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속국민학교 (졸업)
경기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3] / 석사[4])
미주리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석사)
미주리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박사)
건국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병역 육군 대위 전역 (군법무관)
종교 개신교 (감리회)
신체 175cm, 80kg, A형
소속 정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5]
의원 선수 5
의원 대수 9, 10, 13, 14, 16
경력 한양대학교 전임강사
한양대학교 조교수
제9대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중구 / 무소속)
제10대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중구 / 신민당)
신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신민당 외교국방특별위원회 위원장
민주화추진협의회 통일문제특별위원회 위원장
평화민주당 대변인
평화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제13대 국회의원 (서울 중구 / 평화민주당)
제13대 국회 전반기 문교공보위원회 위원장
국회 언론청문회 위원장
평화민주당 사회담당 총재특별보좌관
제14대 국회의원 (서울 중구 / 민주당)
민주당 최고위원
민주당 부총재
민주당 상임고문
민주당 조순 서울특별시장 후보 선거대책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
새정치국민회의 15대 대선 경선후보[6]
새정치국민회의 15대 대선 선거대책위원장
제11대 KBO 총재
제16대 국회의원 (서울 중구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수석최고위원
진주 정씨 전국종친회 회장
새천년민주당 16대 대선 선거대책위원장
새천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
초대 한국장기협회 총재
사단법인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 명예이사장
열린우리당 상임고문
세계소기업소상공인 17차 대회 대회장
미래창조대통합민주신당 창준위 상임위원장
대통합민주신당 상임고문
대통합민주신당 제17대 대통령 후보 총괄선거대책위원장
민주당 상임고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민주당 상임고문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국민의당 상임고문
민주평화당 상임고문
제5대 소강민관식육영재단 이사장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7]
}}}}}}}}}

1. 개요2. 생애
2.1. 정계 입문 전2.2. 정계 활동
3. 여담4. 선거 이력5. 소속 정당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정치인. 독립운동가 출신 정치인 정일형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변호사 이태영의 아들이다.

30대부터 부친을 따라 민주당계 정당의 정치인으로 살았으며, 어린 시절부터 인연이 닿았던 DJ[8] 선배이자 정치적 스승으로 모셨다.

2. 생애

2.1. 정계 입문 전

1944년 1월 4일 경기도 경성부 중구 명치정(現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에서 태어났다. 당시 정일형평양부 감옥에 수감되어 있었고, 이태영은 이불가게를 하면서 살림을 꾸렸다. 정대철의 고모가 치아로 탯줄을 끊어서 배꼽이 크다고 한다.

경기고등학교(58회)[9][10],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동 대학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당시 정일형의 집을 자주 방문하던 김대중과 친해졌다.

2.2. 정계 활동

아버지 정일형3.1 민주구국선언 사건에 연루되어 1977년 대법원 판결로 국회의원직을 상실하면서 그해 6월 치러진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 재보궐선거무소속으로 출마, 당선되었다. 1978년 신민당에 입당하여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같은 지역구에 출마, 민주공화당 민관식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조윤형의 자주구락부 계보에 속하였으며, 1979년 5월 신민당 전당대회 2차 투표에서 김영삼을 지지하였다.

1980년 5.17 내란 후 신군부로부터 정치규제를 당하고, 1982년 미국 미주리 대학교로 유학을 떠났다. 귀국하여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종찬, 신한민주당 이민우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당시 평화민주당 대변인을 지냈다. 그러나 대선 직후 야권이 패배한 주요 원인이 후보 단일화 실패에 있었음을 지적하는 ‘나의 소견’이라는 글을 발표해 파란[11]을 일으켰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평화민주당 정책위의장에 임명되었다가 다시 대한민국 국회 문화공보위원장에 선출되었다. 문화공보위원장으로서 5공 청문회를 통해 1980년의 언론통폐합 및 언론인 해직에 대한 진상 규명에 노력하였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거대 여당민주자유당이 창당되자 꼬마민주당과의 합당을 주장하였다. 1991년 광역의회선거 참패 후 노승환, 조윤형 등과 함께 김대중 총재의 2선 퇴진과 야권통합을 촉구하는 ‘정치발전연구회(약칭 정발연)’ 모임을 주도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같은 해 전당대회에서 민주당 최고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95년 김대중이 정계복귀하여 새정치국민회의를 창당하자 합류하였다. 그리고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신한국당 박성범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새정치국민회의 대통령 후보 선출 전당대회(경선)에 출마하기도 했다. 당시 김상현과 연합하여 "대통령은 정대철, 총재는 김상현"[12]으로 했다는 후일담이 있다. 1998년 KBO 총재에 취임하였으나 경비리 사건으로 구속 기소되면서 곧 사퇴하였다.[13]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같은 해 8월 전당대회에서 최고위원으로 다시 선출된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치러진 새천년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노무현을 지지하였고, 대선 본선에서는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다. 대선 승리 후 2003년 새천년민주당 대표최고위원에 선출되었다. 대표로서 분당을 막아보려 신구 양측을 조율하였으나, 오히려 동교동계에게 배신자로 내몰리면서 그해 말 열린우리당 분당 때 열린우리당에 합류하였다. 이후 굿모닝시티 게이트에 연루된 사실이 드러나 2005년 2월 대법원에서 징역 5년형이 확정되었다. 2005년 8월 광복절 특별사면을 받았으나, 이 사건을 계기로 친노계와는 관계가 소원해지게 된다.

그 후 지역구를 장남 정호준에게 물려주고 민주당, 민주통합당,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으로 있다가 2016년 1월 탈당, 안철수가 주도하는 국민의당 지지를 선언했다. 그런데 아들은 아버지를 비난하며 더불어민주당에 잔류했다가 공천탈락되면서 결국 국민의당으로 갔다.

이후 바른정당과의 합당에 반대하여 민주평화당 창당발기인에 이름을 올렸다. 민주평화당 내에서 정동영을 위시한 당권파와 박지원 등을 중심으로 한 비당권파간의 갈등이 심해지자 고문단 중재안을 내놓는 등 당내 화합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결국 2019년 9월 20일 권노갑 등과 함께 탈당했다.
파일:정대철 민주당 복당.jpg

2020년 4월 3일, 동교동계 인사들과 함께 더불어민주당 복당선언을 했으나 복당이 불허되었고, 10월경에도 복당설이 나돌았으나 "밖에서 도와 달라"며 거절당했다.# 2021년 3월 윤석열검찰총장이 총장직에서 사퇴하기 전 옛 민주당 유력 정치인들과 만나 조언을 받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물밑에서 윤석열 전 총장의 정계 진출을 지원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돌기도 했으나# 2022년 1월 13일, 이재명 대선 후보의 요청에 따라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했다. 권노갑 전 의원 등과 함께한 복당식 자리에서 “이재명 후보의 정권 재창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3년 전직 국회의원들의 모임인 대한민국헌정회 회장에 당선되었다. 헌정회 사상 처음으로 민주당 성향의 인물의 당선이라 한다.#. 보수측 인물들이 분열되면서 비교적 유리한 구도이긴 했지만 과반을 넘겨 당선된 것을 감안하면 마냥 구도 때문에 당선되었다고는 볼 수 없을 듯.

이후 헌정회장 취임을 이유로 헌정회 규정에 따라 헌정회장은 당적을 보유할 수 없도록 하는 원칙으로 인하여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였다.

3. 여담

  • KBO 총재를 지냈으나, 중간에 경성 비리 사건으로 중도 퇴진 했다. 후임으로 박용오 두산그룹 회장이 추대되는데 이 사람이 무려 7년 동안 KBO 총재를 지내게 된다.
  • 넓은 얼굴에 걸맞은 속 넓은 풍모가 있어, 두부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친구나 지인들이 짓궂게 놀려대도 속 좋게 받아들였다고 한다.
  • 5.16 군사정변후 외무장관으로 있던 아버지가 해임되면서 정대철의 가족들도 장충동 외무장관 공관에서 퇴거를 하게 되었는데 정대철은 우리집에서 왜 나가야 되냐며 버텼다. 3개월을 버틴 정대철은 제발로 공관을 나갔는데 어찌된 영문인지 그때까지도 군인들은 자신을 가만 놔뒀다고 한다. 후일 정대철이 처음 국회의원에 당선된 후 박정희를 만났는데 박정희는 “5·16 직후 외무부장관 공관에서 나가지 않고 버티던 그 학생이 맞소?” 라고 물으며 웃었다고 한다.[14]
  • 박정희 앞에서 유신의 부당함을 지적한 적 있다. 국회의원 당선 후 국방위에서 활동하여 이종찬, 민기식, 최경록 같은 기라성 같은 군 출신 의원들과 어울렸던 정대철은 하루는 이들과 박정희가 참석하는 청와대 술자리에 끼이게 되었다.[15] 이 자리에서 이종찬이 “여기 정대철 의원도 와 있지만, 야당에 정부를 비판할 자유는 줘야 한다”고 말하자 박정희는 정대철을 향해 유신을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었다. 참석자들이 당황한 가운데 박정희는 정대철의 옆자리에 앉아 다시 유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었고 이에 정대철은 “유신은 이 나라 자유민주주의를 위해서 잘못하고 있는 일”이라면서 그 부당함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박정희는 의외로 “야당 의원으로서 그렇게 말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할 말을 하는 그 기개를 존경합니다.” 라며 담담한 반응이었다고.

4.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rowcolor=#fff><rowbgcolor=#808080>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77 6월 재보궐선거
(국회의원)
서울 1[16]

[[무소속(정치)|
무소속
]]
21,265 (22.05%) 당선 (2위) 초선[17][18]
1978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로고타입(71-80).png
]]
105,983 (42.53%) 당선 (1위) 재선[19]
1985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70,859 (27.10%) 낙선 (3위)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38,228 (39.58%) 당선 (1위) 3선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46,810 (53.32%) 4선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27,825 (43.01%) 낙선 (2위)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9,414 (49.05%) 당선 (1위) 5선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정대철 1977.jpg 파일:정대철 1978.jpg
1977년 6월 재보궐 (서울 1)[20] 10대 총선 (서울 1)[21]
파일:정대철 1985.jpg 파일:정대철 1988.jpg
12대 총선 (서울 1)[22] 13대 총선 (서울 중구)
파일:정대철 1992.jpg 파일:정대철 1996.jpg
14대 총선 (서울 중구) 15대 총선 (서울 중구)
파일:정대철 2000.jpg
16대 총선 (서울 중구) }}}}}}}}}

5.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77 - 1978 정계 입문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로고타입(71-80).png
]]
1978 - 1980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80 - 1985 정당 해산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85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85 탈당[23]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 - 1987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87 탈당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87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87 탈당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1987 - 1991 창당


[[신민주연합당|
파일:신민주연합당 로고타입.svg
]]
1991 당명 변경


파일:민주당(1991년) 로고타입.svg
1991 - 1995 합당[24]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95 탈당[25]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995 - 2000 창당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 - 2003 합당[26]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03 탈당[27]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3 - 2007 창당
정계 은퇴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7 - 2008 합당[28]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 합당[29]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 - 2011 당명 변경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1 - 2013 합당[30]


[[민주당(2013년)|
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3 - 2014 당명 변경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2014 - 2015 합당[3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5 - 2016 당명 변경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6 탈당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6 - 2018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8 탈당[32]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18 - 2019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19 - 2020 탈당


[[대안신당|
파일:대안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20 창당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 합당[33]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20 - 2022 탈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2 - 2023 복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2023- 탈당[34]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정대철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총재 및 대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총재와 지명직대표최고위원 병행
<rowcolor=#00aa7b> 초대 총재
김대중
권한대행
한광옥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rowcolor=#00aa7b> 제1·2대 대표
서영훈
제3대 대표
김중권
제4대 대표
한광옥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선출직대표최고위원
<rowcolor=#00aa7b> 제5대
한화갑
제6대
정대철
제7대
박상천
제8대
조순형
비대위
한화갑
대표
<rowcolor=#00aa7b> 제9·10대
한화갑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부터 4대까지의 대표최고위원은 총재가 임명하는 지명직 대표최고위원이다. 5대부터 8대까지의 대표최고위원은 선출직 대표최고위원이며 그후 대표로 바뀌었다.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9A44> 기호 정당 이름 비고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svg 새정치국민회의 정대철 낙선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svg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당선
}}}}}}}}}}}}

파일:평화민주당 심볼.svg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정책위원회 의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30487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04870,#8ca8cc> 초대
정대철
제2·3대
조세형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문교공보위원장
제12대 후반기
이영일
제13대 전반기
정대철
위원회 분리
이민섭[35]
김원기[36]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제1선거구)
제9대
장기영[A]
정일형[B]
제9대
오제도
정대철
제10대
정대철
민관식
제9대
오제도
정대철
제10대
정대철
민관식
제11대
이종찬
김판술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중구)
선거구 개편
이종찬[C]
이민우[C]
제13-14대
정대철
제15대
박성범
제15대
박성범
제16대
정대철
제17대
박성범

{{{#!wiki style="margin:0px;margin-top:-10px;margin-bottom:-10px;padding: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한국야구위원회
역대 총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제1·2대
서종철
제3·4대
이웅희
제5대
이상훈
제6대
오명
제7대
권영해
제8대
김기춘
제9·10대
홍재형
제11대
정대철
제12-14대
박용오
제15·16대
신상우
제17·18대
유영구
제19-21대
구본능
제22대
정운찬
제23대
정지택
제24·25대
허구연
역대 KBO 사무총장 }}}}}}}}}

}}} ||
파일:구 서울특별시 휘장(백색).svg 서울특별시 제9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오제도
정대철
강상욱
송원영
민병기
정운갑
고흥문
정래혁
서대문 마포·용산 영등포 갑
김재광
오유방
김원만
노승환
김수한
정희섭
박한상
강병규
* 종로·중 정일형 사퇴 (1977.3.22.)
* 종로·중 장기영 사망 (1977.4.11.)
}}}
전국구 · 서울 · 부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구 서울특별시 휘장(백색).svg 서울특별시 제10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정대철
민관식
송원영
이인근
김제만
양일동
조세형
정래혁
서대문 마포·용산 영등포
고흥문
홍성우
김재광
오유방
박경원
노승환
박한상
강병규
관악 강서
김수한
정희섭
정운갑
이태섭
남재희
김영배
* 성동 양일동 사망 (1980.4.1.)
* 동대문 송원영 사퇴 (1980.8.27.)
* 도봉 고흥문 사퇴 (1980.8.27.)
* 관악 김수한 사퇴 (1980.8.27.)
}}}
전국구 · 서울 · 부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구 서울특별시 휘장(백색).svg 서울특별시 제13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종로 성동 갑 성동 을
이종찬 정대철 서정화 강금식 조세형
성동 병 중랑 갑 중랑 을
박용만 최훈 김영구 이상수 김덕규
성북 갑 성북 을 도봉 갑 도봉 을 노원 갑
이철 조윤형 신오철 이철용 백남치
노원 을 은평 갑 은평 을 서대문 갑 서대문 을
김용채 김재광 오유방 강성모 임춘원
마포 갑 마포 을 양천 갑 양천 을 강서 갑
노승환 강신옥 양성우 김영배 공석
강서 을 구로 갑 구로 을 영등포 갑 영등포 을
남재희 김기배 유기수 장석화 나웅배
동작 갑 동작 을 관악 갑 관악 을 서초 갑
서청원 박실 한광옥 이해찬 박찬종
서초 을 강남 갑 강남 을 송파 갑 송파 을
김덕룡 황병태 이태섭 김우석 김종완
강동 갑 강동 을
김동규 김중위
* 강서 갑 이원배 의원직 상실 (1992.2.28.)
* 영등포 을 김명섭 의원직 상실 (1989.5.26.)
}}}
}}}}}}

파일:구 서울특별시 휘장(백색).svg 서울특별시 제14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종로 성동 갑 성동 을
이종찬 정대철 서정화 이세기 조세형
성동 병 중랑 갑 중랑 을
강수림 노승우 김영구 이순재 김덕규
성북 갑 성북 을 도봉 갑 도봉 을 도봉 병
이철 신계륜 유인태 김원길 조순형
노원 갑 노원 을 은평 갑 은평 을 서대문 갑
백남치 임채정 손세일 이원형 김상현
마포 을 양천 갑 양천 을
임춘원 박명환 박주천 박범진 김영배
강서 갑 강서 을 구로 갑 구로 을 구로 병
박계동 최두환 김기배 이경재 김병오
영등포 갑 동작 을 관악 갑
장석화 나웅배 서청원 박실 한광옥
관악 을 서초 갑 서초 을 강남 갑 강남 을
공석 공석 김덕룡 김동길 홍사덕
송파 갑 송파 을 강동 갑 강동 을
조순환 김종완 공석 김중위
* 관악 을 이해찬 사퇴 (1995.6.30.)
* 서초 갑 박찬종 사퇴 (1995.6.9.)
* 강동 갑 이부영 의원직 상실 (1995.11.11.)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제16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종로 용산 성동 광진 갑
박진 정대철 설송웅 임종석 김영춘
광진 을 [[동대문구 갑|
동대문 갑
]]
중랑 갑 중랑 을
추미애 김희선 홍준표 이상수 김덕규
성북 갑 성북 을 강북 갑 강북 을 도봉 갑
유재건 신계륜 김원길 조순형 김근태
도봉 을 노원 갑 노원 을 은평 갑 은평 을
설훈 함승희 임채정 강인섭 이재오
마포 갑 마포 을 양천 갑
이성헌 장재식 박명환 박주천 원희룡
양천 을 강서 갑 강서 을 [[영등포구 갑|
영등포 갑
]]
[[영등포구 을|
영등포 을
]]
오경훈 신기남 김성호 김명섭 권영세
구로 갑 구로 을 금천 동작 갑 동작 을
김기배 이승철 이우재 서청원 유용태
관악 갑 관악 을 서초 갑 서초 을 강남 갑
이훈평 이해찬 박원홍 김덕룡 최병렬
강남 을 송파 갑 송파 을 강동 갑 강동 을
오세훈 맹형규 김성순 이부영 심재권
* 종로 정인봉 의원직 상실 (2002.6.27.)
* 동대문 을 김영구 의원직 상실 (2001.6.8.)
* 양천 을 김영배 사퇴 (2003.3.28.)
* 영등포 을 김민석 사퇴 (2002.5.27)
* 구로 을 장영신 의원직 상실 (2001.7.16.)
* 금천 장성민 의원직 상실 (2002.1.3.)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dc352a><tablebgcolor=#dc352a>
파일:신민당 1967년 당기.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dc352a><tablebgcolor=#dc352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정대철 송원영 정운갑 고흥문 김재광
김원만 노승환 김수한 박한상 김상진
김영삼 정해영 이기택 김은하 유치송
이택돈 천명기 박영록 엄영달 이민우
이용희 이충환 한건수 한영수 유제연
이철승 김현기 최성석 양해준 진의종
박병효 김윤덕 고재청 이중재 황호동
이진연 신도환 박해충 김창환 박용만
채문식 황낙주 정헌주 최형우 이상신
박일 신상우 문부식 김동영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dc352a><tablebgcolor=#dc352a>
파일:신민당 1967년 당기.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dc352a><tablebgcolor=#dc352a>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정대철 김제만 조세형 김재광 노승환
박한상 정운갑 김영배 김상진 이기택
김승목 김은하 유용근 김형광 오세응
유치송 오홍석 천명기 김준섭 박영록
엄영달 이민우 이용희 이충환 정재원
유한열 박찬 조중연 한건수 한영수
김원기 이필선 임종기 박병효 허경만
김윤덕 고재청 이진연 한병채 신도환
조규창 박권흠 김현규 김종기 황병우
박용만 채문식 황낙주 이상민 김동욱
이상신 박일 신상우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d82634><tablebgcolor=#d82634>
파일:민주당(1991년) 흰색 심볼.pn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d82634><tablebgcolor=#d8263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정대철 강금식 조세형 최훈 이상수
김덕규 이철 양성우 김영배 장석화
박실 한광옥 이해찬 김종완 노무현
김정길 이기택 신기하 정상용 조홍규
허탁 김현 오탄 채영석 이협
김원기 조찬형 김태식 홍영기 정균환
이희천 최락도 권노갑 김충조 허경만
이재근 신순범 홍기훈 조순승 박상천
류준상 이영권 김영진 김봉호 류인학
박석무 이수인 박영숙 이동근 최봉구
김영도 이경재 김주호 이교성 허만기
김대중 문동환 최영근 조승형 정기영
김인곤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9A44><tablebgcolor=#009A44>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009A44><tablebgcolor=#009A44>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이종찬 정대철 조세형 김덕규 신계륜
김원길 조순형 임채정 손세일 이원형
김상현 김영배 최두환 이경재 김병오
장석화 박실 한광옥 하근수 신기하
정상용 임복진 박광태 이길재 조홍규
이윤수 문희상 이석현 안동선 장영달
채영석 이협 김태식 정균환 이희천
강철선 최재승 권노갑 김충조 김장곤
신순범 김명규 조순승 박상천 이영권
김영진 김봉호 유인학 김인곤 한화갑
박정수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D918><tablebgcolor=#FFD918>
파일:열린우리당 1차 로고.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FD918><tablebgcolor=#FFD918>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봉균 김근태 김덕규 김덕배 김명섭
김부겸 김성호 김영춘 김원기 김원웅
김태홍 김택기 김희선 남궁석 문석호
박병석 박승국 배기선 설송웅 송석찬
송영길 신계륜 신기남 안영근 유시민
유재건 이강래 이부영 이상수 이우재
이원성 이종걸 이창복 이해찬 이호웅
임종석 임채정 정대철 정동영 정동채
정세균 장영달 정장선 조성준 천용택
천정배 최용규 홍재형 }}}
}}}}}}



[1] 음력 1943년 12월 9일[2]서울특별시 중구 명동[3] 국제법 전공[4] 석사 학위 논문: 國際聯合 總會決議의 效力 (1969)[5] 헌정회법에 따라 헌정회장은 당적보유가 불가능하여 자동 탈당 되었다.[6] 최종 2위[7] 복당 이후[8] 학창시절부터 허물없이 지내다보니 가능했던 일이라고 한다. DJ가 젊은 정대철에게 인간적인 조언을 많이 해주기도 했는데, "음주는 가급적 절제하라"는 충고 외엔 다 따랐다는 소회를 밝힌 적도 있다. 정대철 본인이 워낙 술을 잘 마시기도 했지만, 술까지 마시지 않으면 뭔가 인간적인 느낌이 없지 않겠느냐는 해명했었다.[9] 동기동창으로는 민관식국회부의장의 아들, 김준기 동부그룹 창업주, 임창렬 경기도지사, 신명호 아시아개발은행 부총재, 최인기 농림수산부 장관, 이헌재 재정경제부 장관, 이재정 성공회대 총장등이 있다.[10] 원래 이회창의 경제참모였던 이헌재를 대선 직후 김대중에게 추천한 사람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후 이헌재김대중 정부-노무현 정부에서 줄곧 중용된다.[11] 이때부터 김대중과 틀어지기 시작했다. 김영삼 진영에서 젊을때부터 따르던 김대중의 진영으로 다시 들어갔으나, 김대중-김영삼의 야권 단일화를 추진하며 이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던 동교동계 주류와 대립했었기 때문이었다.[12] 김대중을 자기 부친의 후배 겸 동지이자, 자신의 대선배로 모시던 사람이다.[13] 그러나 이는 훗날 대법원에서 무죄 취지 파기환송된다.[14] 정대철은 어릴 적 아버지와 친했던 최경록이 2군 사령관으로 있을때 2군 사령부로 놀러간 자리에서 부사령관이던 박정희를 처음 만났다고 한다. 정대철은 부모님 간의 대화를 통해 그 전부터 박정희에 대해 알고 있었는데 부모님들에 따르면 박정희는 여순사건에 연루되어 군복을 벗은 전력이 있지만, 깨끗하고 유능한 장군이라는 평가였다.[15] 정대철을 제외한 의원들이 박정희의 군선배라 박정희는 이들을 각하라고 불렀고 의원들도 박정희를 각하라고 불러서 참석자들 모두가 서로를 각하라고 부르는 진풍경이 벌어졌다고.[16] 종로구·중구[17] 전임자 정일형 의원직 상실 및 전임자 장기영 작고. 당시 국회는 중대선거구제였는데, 우연히도 서울 1선거구 의원 2명이 동시에 공석이 되었다. 정대철과 함께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사람은 무소속 오제도 후보이다.[18] 1978년 신민당 입당[19] 민주공화당 민관식 후보와 동반 당선[20] 종로구·중구.[21] 종로구·중구.[22] 종로구·중구.[23] 신한민주당 입당을 위한 탈당[24] 민주당과 신설 합당[25] 새정치국민회의 창당을 위한 탈당[26]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27]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28]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29] 민주당과 신설 합당[30]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31]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32] 국민의당-바른정당 합당 반대[33]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과 신설 합당[34] 대한민국헌정회장 취임으로 인한 탈당[35] 제13대 국회 후반기 문화공보위원회 위원장 이다.[36] 제13대 국회 후반기 교육체육청소년위원회 위원장 이다.[A] 임기 중 작고[B] 국회의원 자격정지[C] 종로구·중구의 제12대 국회의원[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