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20:22:40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전라남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전투표일 : 2018년 6월 8일(금) ~ 2018년 6월 9일(토) 오전 6시 ~ 오후 6시
투표일 : 2018년 6월 13일(수) 오전 6시 ~ 오후 6시
광역자치단체장
(후보군 · 경선)
광역의회의원
(선거구)
교육감
(후보군)
기초자치단체장
(후보군 · 경선)
기초의회의원
(선거구)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공약여론조사이야깃거리
진행지역별 · 정당별 · 출마 선언
결과지역별 · 정당별 · 당선인 통계
민선 7기 지방자치단체장 목록 }}}}}}}}}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광양 나주 목포 순천 여수
정현복 강인규 김종식 허석 권오봉
강진 고흥 곡성 구례 담양
이승옥 송귀근 유근기 김순호 최형식
무안 보성 신안 영광 영암
김산 김철우 박우량 김준성 전동평
완도 장성 장흥 진도 함평
신우철 유두석 정종순 이동진 이상익
해남 화순
명현관 구충곤
* 함평군수 이윤행 당선무효 (2019.5.30.)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1. 종합 결과

전라남도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민주평화당 무소속
14석 3석 5석

1.1. 목포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목포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목포시 CI_White.svg 목포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종식(金鍾植) 56,284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7.75% 당선
4 박홍률(朴洪律) 55,992 2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47.50% 낙선
5 박명기(朴明基) 4,849 3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4.11% 낙선
6 김성남(金成南) 745 4위


[[한반도미래연합|
파일:한미연_흰색.png
]]
0.63% 낙선
선거인 수 186,864 투표율
64.20%
투표 수 119,959
무효표 수 2,089

1.2. 여수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여수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여수시 CI_White.svg 여수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권세도(權勢徒) 69,074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5.72% 낙선
2 심정우(沈廷祐) 3,140 3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7% 낙선
6 권오봉(權五俸) 78,834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2.19% 당선
선거인 수 235,359 투표율
65.25%
투표 수 153,564
무효표 수 2,516

1.3. 순천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순천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순천시 CI_White.svg 순천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허석(許錫) 88,719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2.65% 당선
6 이창용(李昌庸) 13,86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79% 낙선
7 손훈모(孫熏模) 39,015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7.55% 낙선
선거인 수 225,673 투표율
63.96%
투표 수 144,340
무효표 수 2,737

1.4. 나주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나주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주시 CI_White.svg 나주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강인규(姜仁圭) 43,017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2.37% 당선
4 김대동(金大棟) 16,420 2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27.62% 낙선
선거인 수 93,513 투표율
65.68%
투표 수 61,424
무효표 수 1,987

1.5. 광양시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양시장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광양시 CI_White.svg 광양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재무(金在武) 33,756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1.02% 낙선
3 김현옥(金現玉) 3,009 3위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3.65% 낙선
6 정현복(鄭鉉福) 44,565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4.15% 당선
7 이옥재(李玉宰) 955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6% 낙선
선거인 수 122,154 투표율
68.55%
투표 수 83,741
무효표 수 1,456
광양시장 선거는 참으로 복잡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재무는 폭력전과가 있고, 정현복은 비리 의혹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거기다가 바른미래당 후보는 인지도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광양시장 후보는 혼돈속에서 진행되었고, 결국에는 54.15%의 득표율로 정현복이 당선되었다.

정현복 광양시장은 민주당 복당했지만 얼마 후 민주당에서 제명되었다.

1.6. 담양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담양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담양군 구 휘장.png 담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최형식(崔亨植) 13,455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6.55% 당선
3 강승환(姜承煥) 1,064 5위


[[바른미래당|
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
3.68% 낙선
6 신동호(申東虎) 1,435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96% 낙선
7 김현석(金炫錫) 1,105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82% 낙선
8 전정철(全貞喆) 11,841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0.97% 낙선
선거인 수 41,703 투표율
71.33%
투표 수 29,746
무효표 수 846

1.7. 장성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성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장성군 CI_White.svg 장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윤시석(尹時錫) 12,775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4.06% 낙선
6 유두석(兪斗錫) 16,217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5.93% 당선
선거인 수 39,603 투표율
75.13%
투표 수 29,755
무효표 수 763

1.8. 곡성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곡성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곡성군 CI_White.svg 곡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유근기(柳根起) 10,102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0.32% 당선
4 조상래(趙象來) 6,310 2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31.43% 낙선
5 박웅두(朴雄斗) 1,120 4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5.57% 낙선
6 강대광(姜大光) 2,54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2.66% 낙선
선거인 수 26,739 투표율
77.51%
투표 수 20,725
무효표 수 650

1.9. 구례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구례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구례군 CI_White.svg 구례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순호(金舜鎬) 7,462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9.73% 당선
4 박인환(朴忍桓) 5,460 3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29.07% 낙선
6 전경태(全京泰) 5,85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1.19% 낙선
선거인 수 23,743 투표율
81.52%
투표 수 19,355
무효표 수 555

1.10. 고흥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흥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고흥군 CI_White.svg 고흥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공영민(孔永敏) 21,826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7.37% 낙선
4 송귀근(宋貴根) 24,248 1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52.62% 당선
선거인 수 59,446 투표율
80.68%
투표 수 47,961
무효표 수 1,887

1.11. 보성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보성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보성군 CI_White.svg 보성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철우(金鐵于) 14,346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0.89% 당선
6 변재면(卞在勉) 695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46% 낙선
7 박남일(朴男一) 1,08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83% 낙선
8 하승완(河昇完) 12,06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2.81% 낙선
선거인 수 38,546 투표율
75.52%
투표 수 29,111
무효표 수 921
읍면별로 1위 후보가 차이가 있었다. 특히 보성읍에서는 하승완 후보가 김철우 후보를 제치고 1위를 했으나 벌교읍에서 김철우 후보가 더 큰 표차로 1위를 했다.

1.12. 화순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화순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화순군 CI_White.svg 화순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구충곤(具忠坤) 26,148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0.31% 당선
4 임호경(林鎬炅) 11,039 2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29.68% 낙선
선거인 수 54,543 투표율
70.34%
투표 수 38,366
무효표 수 1,179

1.13. 장흥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흥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장흥군 CI_White.svg 장흥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박병동(朴昞東) 10,533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0.91% 낙선
6 조재환(曺載煥) 3,83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87% 낙선
7 정종순(丁鍾淳) 11,382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4.21% 당선
선거인 수 34,777 투표율
76.59%
투표 수 26,635
무효표 수 890
장흥군은 혼전지대로 꼽힌데다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도 34.43%의 득표율로 무소속이 당선되었다. 실제 여론조사도 무소속이 우세했으며 실제로도 무소속 후보가 3.3%의 차이로 당선되었다. #

다만 정종순 전 군수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낙선했다.

1.14. 강진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진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승옥(李承沃) 11,390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9.02% 당선
4 곽영체(郭永棣) 10,546 2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45.38% 낙선
6 장경록(張硬錄) 1,29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59% 낙선
선거인 수 31,919 투표율
74.89%
투표 수 23,905
무효표 수 670

1.15. 완도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완도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완도군 CI(2003-2024/White).svg 완도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신우철(申宇徹) 23,604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1.40% 당선
4 박삼재(朴三材) 9,451 2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28.59% 낙선
선거인 수 44,758 투표율
77.25%
투표 수 34,574
무효표 수 1,519

1.16. 해남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남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해남군 CI_White.svg 해남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길운(李吉雲) 16,221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7.78% 낙선
4 명현관(明炫官) 23,608 1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54.99% 당선
6 이정우(李定佑) 3,098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21% 낙선
선거인 수 62,461 투표율
71.16%
투표 수 44,450
무효표 수 1,523
해남은 완도군, 진도군, 목포시와 함께 국민의당 지지율이 높았던 지역이다. 이후 민주평화당 지지율도 높은 편이었는데, 목포시에서 표가 갈라지면서 0.25% 차이로 김종식이 이겼다면 여기는 17.21%의 차이로 명현관이 가뿐히 이겼던 지역이다.

명현관은 이후 민주평화당의 후신인 민생당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있다가 더불어민주당에 복당했다.

1.17. 진도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진도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진도군 CI_White.svg 진도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동진(李東鎭) 7,210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4.89% 당선
4 장일(張逸) 5,961 3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28.84% 낙선
6 김희수(金希洙) 6,293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0.45% 낙선
7 이양래(李良來) 1,200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80% 낙선
선거인 수 27,441 투표율
78.02%
투표 수 21,410
무효표 수 746

1.18. 영암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암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영암군 CI_White.svg 영암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전동평(田東平) 15,717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1.40% 당선
4 박소영(朴蘇英) 10,620 2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34.73% 낙선
6 박성호(朴成鎬) 2,035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6.65% 낙선
7 김철호(金徹鎬) 2,202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7.20% 낙선
선거인 수 46,588 투표율
67.77%
투표 수 31,573
무효표 수 999

1.19. 무안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안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무안군 CI_White.svg 무안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산(金山) 21,177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7.50% 당선
4 김호산(金虎山) 6,830 3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15.32% 낙선
6 김재훈(金載勳) 801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79% 낙선
7 안기선(安起鮮) 2,026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54% 낙선
8 정영덕(丁英德) 12,526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8.09% 낙선
9 임창진(林昶鎭) 1,220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73% 낙선
선거인 수 66,517 투표율
69.29%
투표 수 46,089
무효표 수 1,509

1.20. 영광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광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영광군 CI(2002-2021).svg 영광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준성(金準成) 27,015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85.02% 당선
4 김연관(金連官) 4,758 2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14.97% 낙선
선거인 수 46,689 투표율
70.58%
투표 수 32,953
무효표 수 1,180

1.21. 함평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함평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함평군 CI_White.svg 함평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성모(金性模) 8,352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8.58% 낙선
4 이윤행(李允行) 10,066 1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46.49% 당선
6 노두근(魯斗根) 3,23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92% 낙선
선거인 수 30,165 투표율
74.28%
투표 수 22,406
무효표 수 758
원래는 함평군 특성상 광주광역시가 바로 옆인데다가 전라남도 서부권이라는 버프까지 받아서 더불어민주당 우세가 예상되었고, 실제로도 여론조사에서 10%p 정도 앞서는 것으로 드러났지만 뒤처졌던 이윤행이 당선되었다. 다만 이윤행이 허위사실 유포죄로 고소당했고, 결국 군수직에서 짤림으로써 민선 7기 기초자치단체장 중 가장 먼저 짤리는 굴욕을 맛보게 되었다. 결국 재보궐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가져갔다.

1.22. 신안군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안군수 문서
번 문단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신안군 CI_White.svg 신안군수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천경배(千京培) 4,129 3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4.44% 낙선
4 정연선(鄭連先) 3,766 4위


[[민주평화당|
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13.17% 낙선
6 고길호(高吉鎬) 8,171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8.58% 낙선
7 박우량(朴禹良) 8,782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0.72% 당선
8 임흥빈(任興彬) 3,737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3.07% 낙선
선거인 수 38,023 투표율
79.29%
투표 수 30,150
무효표 수 1,565

2. 둘러보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svg
부산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
파일:경기도 휘장(2005-2021).svg
경기
파일:강원도 휘장.svg
강원
파일:충청북도 휘장(1998-2023).svg
충북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남
파일:전라북도 휘장.svg
전북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남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북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