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2 00:12:41

조선임전보국단


[[일제강점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
일제강점기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31c31> 상징 국기(일장기) · 국가(기미가요)
통치기관 조선총독부(청사) · 용산 총독관저(관저)
언어 일본어 · 조선어
무단 통치
(1910년대)
조선 주둔 일본군 · 헌병경찰제도 · 토지 조사 사업 · 회사령 · 광업령 · 어업령 · 조선물산공진회
문화 통치
(1920년대 ~ 1930년대 초반)
보통경찰제도 · 비밀경찰제도 강화 · 밀정망 강화 · 치안유지법 · 산미증식계획 · 민의창달 · 조선사 왜곡
민족 말살 통치
(1930년대 중반 ~ 1945년)
2 경찰서 2 주재소 · 북선개척사업 · 농공병진 · 남면북양 · 자작농창정계획 · 농촌진흥운동 · 국가총동원법 · 교련 · 국민징용령 · 육군특별지원병제 · 학도 특별지원병 제도 · 조선인 징병제 · 조선전시증세령 · 조선임시보안령 · 내선일체 · 일선동조론 · 창씨개명 · 황국신민서사 암송 · 궁성요배 · 신사참배 · 정오묵도 · 가미다나 · 선감학원
기타 악법 조선 사상범 보호관찰령 ·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 · 개정치안유지법 · 군기보호법 · 보안법
독립운동 유형 외교 독립 운동 ·  무장 투쟁 운동 · 실력 양성 운동 · 민족 문화 수호 운동 · 사회 운동 · 종교 운동
주요 독립운동 신민회 105인 사건 · 3.1 운동 · 6.10 만세 운동 · 물산장려운동 · 광주학생항일운동 · 신간회 · 조선어학회 사건 · 일장기 말소사건
주요 사건 제암리 학살사건 · 관동대학살 · 간도참변 · 연해주 4월 참변 · 일본군 위안부
학설 식민지 수탈론 · 식민지 근대화론 · 식민지 근대성론 · 자본주의 맹아론 · 근대화 회의론 · 식민사관
단체 조선사편수회 · 조선식량영단 ·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 조선임전보국단
}}}}}}}}} ||
조선임전보국단
朝鮮臨戰保國團
파일:조선임전보국단.jpg
<colbgcolor=#b0313f><colcolor=#fff> 설립일 1941년 10월

1. 개요2. 성립3. 활동과 해체

1. 개요

단체 강령
① 황도정신 선양과 사상의 통일
② 전시체제의 국민생활 쇄신
③ 국민 모두의 노동보국
④ 국가우선의 원칙하에 저축, 생산, 공출 등에 협력
⑤ 국방사상의 보급

일제강점기인 1941년 10월 일본 제국의 침략 전쟁 지원을 목적으로 여러 친일 단체들이 통합되어 조직된 대규모 친일 단체.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과 함께 당시 가장 유명했던 친일 단체로 손꼽힌다.

2. 성립

중일전쟁 발발 이후, 이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1941년 8월 김동환이 중심이 되어 '임전대책협의회'이 조직되었고, 윤치호가 중심이 되어 '흥아보국단'이 조직되었다. 설립 취지와 목적이 같았던 두 단체는 국민총력조선연맹의 권고와 주선에 따라 창립 직후부터 통합 논의를 진행했다. 같은 해 9월 11일 경성호텔에서 흥아보국단의 윤치호, 임전대책협의회의 최린 등이 만나, 양측의 통합을 위한 연합위원회를 개최했다.

마침내 두 단체의 이름이 합쳐진 '조선임전보국단'으로 단체명이 결정되었고, 조선임전보국단준비위원회가 출범하면서 결성식을 앞두고 유세 활동이 이어졌다. 그렇게 10월 22일 부민관 대강당에서 발회식이 열리면서 조선임전보국단이 정식 출범하게 되었다. 당시 출범식은 일본인 요인과 윤치호, 최린 등 준비위원, 각도 발기인 대표 등 6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하게 베풀어졌다. 단체의 설립 목표는 황도 정신의 선양, 황민화 사상 통일, 전시 하의 국책 협력 등을 강령으로 내세우며 밝혔다. 그리고 2천 4백만 반도민 모두 일치결속하여 성전완수를 통해 황국의 흥융을 기할 것을 맹세하는 선서문이 낭독되기도 했다.

초대 구성원으로 단장은 최린, 부단장은 고원훈, 고문은 박중양·윤치호·이진호·한상룡, 전임이사는 이성환 등이 맡게 되었다.

1942년 1월 5일부터는 산하에 여성계 친일 인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를 두기도 했다.

3. 활동과 해체

조선 청년들을 대상으로 지원병을 독려한 것은 물론, 처녀들을 대상으로 정신대 참여를 독려했고, 신사참배 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하거나 반영운동을 전개하기도 했으며, 각종 강연이나 대회를 개최해서 조선인들에게 황국신민화 의식을 고취시키려는 활동 역시 마다하지 않았다. 그 밖에도 전쟁을 지원하기 위해 봉사 활동을 벌이거나 기고문을 여러 차례 써서 발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해온 것으로 알려진다.

1941년 12월 14일 미영타도대강연회를, 같은 달 27일 결전부인대회를 개최하는 등 전국적으로 황민의식을 고취하는 군수 자재 헌납 운동을 전개하기도 했으며, 1942년 2월 조선임전보국단 부인대를 주최로 근로보국운동을 통해 군복수리작업을 벌이기도 했다.

1942년 11월 국민총력조선연맹이 조직을 전면적으로 개편 강화할 때 흡수되면서 발족 1년 만에 해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