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2 12:19:59

중구(대전광역시)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ae4d>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동구(대전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중구
파일:서구(대전광역시) CI.svg
[[대전광역시청|
시청
]] 서구
파일:유성구 CI.svg
유성구
파일:대덕구 CI.svg
대덕구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518e>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518e> 은행선화동 은행동 선화동
목동 목동
중촌동 중촌동
대흥동
구청
대흥동
문창동 문창동
석교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석교동 옥계동 호동 }}}
대사동 대사동
부사동 부사동
용두동 용두동
오류동 오류동
태평1~2동 태평동
유천1~2동 유천동
문화1~2동 문화동
산성동 {{{#!wiki style="margin: -15.8px -11px"
}}}
}}}}}}}}} ||
대전광역시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중구
中區
Jung-gu
}}}
<colbgcolor=#00518e><colcolor=#fff> 구청 소재지 중앙로 100 (대흥동)
광역자치단체 대전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17[1]
면적 62.18㎢
인구 223,076명[2]
인구밀도 3,590.48명/㎢[3]
구청장
김제선 (초선)
구의회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5석[4]

5석[5]

1석[6]
시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석[7]
국회의원
박용갑 ( / 초선)
상징 <colbgcolor=#00518e><colcolor=#fff> 구화 국화
구목 소나무
구조 비둘기
지역번호 042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지역 특징4. 인구5. 경제6. 주요 시설 및 기업체
6.1. 관공서 및 정부유관기관6.2. 민간기업 및 금융기관6.3. 언론기관6.4. 대형 상업시설
7. 교육8. 의료기관9. 정치10. 하위 행정구역11.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대전광역시의 중남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동구와 함께 대전의 역사를 함께한 두 자치구 중 하나다. 대전의 상징 성심당 본점이 있는 곳이다. 서쪽은 유등천을 경계로 서구에, 동쪽은 대전천을 경계로 대덕구동구에, 남쪽은 금산군에 접해 있다.

이름과는 달리, 지리적으로는 '남구(南區)'라고 불러도 될 정도로 남쪽에 치우쳐 있다. 원래 대전의 지리적 중심이자 행정적 중심이었으나, 대전 시역의 확장으로 교외 지역인 대덕군 지역이 차례로 편입되자, 대전의 중앙이었던 중구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남쪽으로 치우쳐진 꼴이 되었기 때문이다.[8]

또한 대전광역시청둔산으로, 충청남도청내포로 이전해 간 뒤에는 중심지 기능까지 서구와 홍성•예산으로 넘어가면서 완전히 변방 지역이 되어 버렸다. 그래도 다른 중구들과 비교했을 때 인구는 가장 많고 면적도 제법 큰 편이다.그러다보니 다른 대도시의 중구와는 다르게 유일하게 다른 광역자치단체와 접해있다.[9][10]

2. 상징

파일:대전광역시 중구 효도령&효낭자.jpg 파일:중구 브랜드.png
마스코트 효도령&효낭자 정책비전
파일:attachment/c_20061115_565_924.jpg
대전 중구청[11]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1989-2007).svg
1989년부터 2007년까지 사용한 옛 로고

3. 지역 특징

대전광역시청이 있었던 은행동, 선화동, 대흥동 일대는 지금도 번화가가 있지만, 대전의 무게중심이 둔산으로 이동한 후에는 상권은 조금씩 쇠락하고 있고, 은행동의 으능정이 정도만 남았다. 그래도 서대전네거리 근처는 큰 공원, 도시철도, 철도역, 대형마트, 영화관, 번화가, 큰 도로, 대학병원들(충남대학교병원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등등 소위 중심가가 갖출 수 있는 것은 모두 갖춘 곳이다.

4. 인구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대전광역시 중구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77년 9월 1일 중부출장소 + 서부출장소 → 대전시 중구 설치
1980년 378,980명
1983년 2월 15일 충청남도 대덕군 유성읍 전역, 구즉면·탄동면·기성면·진잠면 각 일부
중구 편입 및 유성출장소 설치
1984년 9월 1일 대전시 중구 유성출장소 → 대전시 유성출장소(시 직할)로 승격
1985년 485,810명
1988년 1월 1일 유등천 서쪽 및 유성출장소 → 서구로 승격 분리
1989년 1월 1일 충청남도 대전시 중구 → 대전직할시 중구 승격
1990년 293,823명
1995년 266,071명
2000년 253,990명
2005년 255,962명
2010년 265,846명
2015년 256,186명
2020년 235,550명
2024년 1월 222,91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산성동 26,035명
태평2동 24,630명
문화1동 20,784명
목동 16,776명
석교동 14,836명
은행선화동 14,025명
중촌동 13,784명
유천2동 13,304명
대흥동 13,120명
태평1동 12,857명
문화2동 11,805명
오류동 10,333명
용두동 9,144명
부사동 6,455명
유천1동 5,918명
대사동 5,397명
문창동 4,303명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

===# 행정동별 인구 #===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은행선화동 인구 추이[12]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은행동, 선화동(법정동) → 은행동, 선화동(행정동)
1966년 33,821명(은행동 8,230명 + 선화동 25,591명)
1968년 9월 1일 선화동 → 선화1동, 선화2동 분동
1970년 7월 1일 선화2동 → 선화2동, 선화3동 분동
1970년 37,536명(은행동 8,760명 + 선화1동 13,015명 + 선화2동 6,539명 + 선화3동 9,222명)
1975년 36,114명(은행동 7,046명 + 선화1동 13,042명 + 선화2동 6,905명 + 선화3동 9,121명)
1980년 35,080명(은행동 6,163명 + 선화1동 11,359명 + 선화2동 7,293명 + 선화3동 10,265명)
1985년 33,659명(은행동 5,864명 + 선화1동 10,642명 + 선화2동 6,943명 + 선화3동 10,210명)
1990년 25,161명(은행동 3,953명 + 선화1동 6,731명 + 선화2동 5,361명 + 선화3동 9,116명)
1995년 17,105명(은행동 2,241명 + 선화1동 4,798명 + 선화2동 3,387명 + 선화3동 6,679명)
1998년 1월 1일 선화1동 + 선화2동 + 선화3동 → 선화동 합동
1998년 11월 23일 은행동 + 선화동 → 은행선화동 합동
2000년 13,787명
2005년 14,534명
2010년 16,037명
2015년 17,593명
2020년 16,161명
2023년 9월 14,16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목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목동(법정동) → 목동(행정동)
1966년 10,275명
1970년 10,258명
1975년 12,199명
1980년 12,784명
1985년 12,088명
1990년 11,472명
1995년 8,896명
2000년 7,181명
2005년 14,025명
2010년 14,149명
2015년 16,210명
2020년 14,737명
2023년 9월 16,7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중촌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중촌동(법정동) → 중촌동(행정동)(?)
1966년 -명[W]
1970년 5,318명
1975년 7,364명
1980년 7,754명
1985년 8,055명
1990년 17,215명
1995년 18,208명
2000년 19,522명
2005년 17,980명
2010년 17,232명
2015년 15,232명
2020년 13,385명
2023년 9월 13,82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대흥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대흥동 → 대흥1동, 대흥2동, 대흥3동 분리
1966년 27,426명(대흥1동 4,959명 + 대흥2동 11,816명 + 대흥3동 10,651명)
1970년 29,765명(대흥1동 4,796명 + 대흥2동 12,538명 + 대흥3동 12,431명)
1975년 29,120명(대흥1동 5,373명 + 대흥2동 12,607명 + 대흥3동 11,140명)
1980년 27,548명(대흥1동 4,615명 + 대흥2동 12,352명 + 대흥3동 10,581명)
1985년 26,798명(대흥1동 4,172명 + 대흥2동 12,548명 + 대흥3동 10,078명)
1990년 20,706명(대흥1동 1,931명 + 대흥2동 9,561명 + 대흥3동 9,214명)
1995년 14,434명(대흥1동 1,068명 + 대흥2동 5,603명 + 대흥3동 7,763명)
1998년 1월 1일 대흥1동 + 대흥2동 + 대흥3동 → 대흥동 합동
2000년 11,582명
2005년 10,941명
2010년 11,324명
2015년 14,035명
2020년 14,132명
2023년 9월 13,21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문창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문창동(법정동) → 문창동(행정동)
1966년 15,325명
1970년 7월 1일 문창동 → 문창1동, 문창2동 분동
1970년 18,663명(문창1동 9,249명 + 문창2동 9,414명)
1975년 18,351명(문창1동 9,798명 + 문창2동 8,553명)
1980년 17,606명(문창1동 8,826명 + 문창2동 8,780명)
1985년 15,976명(문창1동 7,848명 + 문창2동 8,128명)
1990년 13,878명(문창1동 6,616명 + 문창2동 7,262명)
1995년 9,971명(문창1동 4,751명 + 문창2동 5,220명)
1998년 1월 1일 문창1동 + 문창2동 → 문창동 합동
2000년 7,943명
2005년 6,375명
2010년 5,876명
2015년 5,208명
2020년 4,766명
2023년 9월 4,35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석교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석교동 + 호동 + 옥계동 → 석교동 신설
1966년 4,427명
1970년 6,816명
1975년 12,612명
1980년 20,625명
1985년 25,888명
1990년 28,313명
1995년 26,594명
2000년 24,168명
2005년 21,308명
2010년 19,962명
2015년 17,765명
2020년 15,910명
2023년 9월 14,94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대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대사동(법정동) → 대사동(행정동)
1966년 9,797명
1970년 13,081명
1975년 15,216명
1980년 15,700명
1985년 15,375명
1990년 13,148명
1995년 9,758명
2000년 7,941명
2005년 7,437명
2010년 7,208명
2015년 6,287명
2020년 5,470명
2023년 9월 5,43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부사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부사동(법정동) → 부사동(행정동)
1966년 7,363명
1970년 10,253명
1975년 14,129명
1980년 17,401명
1985년 18,319명
1990년 15,586명
1995년 11,721명
2000년 9,948명
2005년 8,238명
2010년 7,862명
2015년 7,464명
2020년 6,780명
2023년 9월 6,48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용두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용두동(법정동) → 용두동(행정동)
1966년 14,148명
1970년 7월 1일 용두동 → 용두1동, 용두2동 분동
1970년 17,811명(용두1동 9,591명 + 용두2동 8,220명)
1975년 21,790명(용두1동 11,045명 + 용두2동 10,745명)
1980년 22,690명(용두1동 10,838명 + 용두2동 11,852명)
1985년 22,374명(용두1동 10,894명 + 용두2동 11,480명)
1990년 19,277명(용두1동 8,652명 + 용두2동 10,625명)
1995년 13,636명(용두1동 5,344명 + 용두2동 8,292명)
1998년 11월 23일 용두1동 + 용두2동 → 용두동 합동
2000년 11,520명
2005년 10,176명
2010년 11,404명
2015년 10,527명
2020년 9,679명
2023년 9월 9,18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오류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오류동(법정동) → 오류동(행정동)
1966년 10,282명
1970년 4,564명
1975년 6,721명
1980년 8,718명
1985년 8,387명
1990년 15,923명
1995년 13,098명
2000년 11,927명
2005년 10,888명
2010년 10,814명
2015년 10,308명
2020년 10,431명
2023년 9월 10,39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태평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태평동(법정동) → 태평동(행정동)
1966년 -명[W]
1970년 9,213명
1975년 13,702명
1980년 20,313명
1983년 10월 1일 태평동 → 태평1동, 태평2동 분동
1985년 17,877명
1990년 14,920명
1995년 10,644명
2000년 15,993명
2005년 13,908명
2010년 16,114명
2015년 14,968명
2020년 13,607명
2023년 9월 12,86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태평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10월 1일 태평동 → 태평1동, 태평2동 분동
1985년 15,233명
1990년 18,679명
1995년 17,039명
2000년 19,665명
2005년 32,054명
2010년 31,269명
2015년 29,076명
2020년 26,297명
2023년 9월 24,66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유천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유천동(법정동) → 유천동(행정동)
1966년 4,626명
1970년 6,990명
1975년 10,743명
1980년 30,132명
1982년 9월 1일 유천동 → 유천1동, 유천2동 분동
1985년 16,076명
1990년 13,940명
1995년 10,417명
2000년 8,271명
2005년 7,536명
2010년 8,070명
2015년 6,820명
2020년 6,673명
2023년 9월 5,96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유천2동 인구 추이
(1985년~현재)
1983년 10월 1일 유천동 → 유천1동, 유천2동 분동
1985년 16,144명
1990년 14,719명
1995년 19,191명
2000년 18,161명
2005년 16,969명
2010년 16,036명
2015년 14,726명
2020년 13,898명
2023년 9월 13,3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문화1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문화동(법정동) → 문화동(행정동)
1966년 7,007명
1970년 12,635명
1975년 19,015명
1980년 26,483명
1985년 29,751명
1985년 11월 1일 문화동 → 문화1동, 문화2동 분동
1990년 15,345명
1995년 14,817명
2000년 16,464명
2005년 16,064명
2010년 24,435명
2015년 24,606명
2020년 22,851명
2023년 9월 20,85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문화2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5년 11월 1일 문화동 → 문화1동, 문화2동 분동
1990년 11,009명
1995년 19,730명
2000년 19,193명
2005년 17,843명
2010년 16,676명
2015년 14,666명
2020년 12,906명
2023년 9월 11,88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산성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63년 1월 1일 행정동제 실시
산성동 + 사정동 + 안영동 + 복수동 → 산성동 신설
1966년 5,355명
1970년 7,723명
1975년 13,203명
1980년 20,352명
1985년 24,032명
1985년 11월 1일 산성동산성동, 복수동 분동
1988년 1월 1일 대전시 서구 신설
복수동 일부[15]산성동 환원
1989년 1월 1일 대덕군 산내면 → 대전직할시 편입 및 폐지
산내면 → 산서동, 산내동 분리
1990년 24,532명(산성동 22,829명 + 산서동 1,703명)
1995년 30,812명(산성동 29,524명 + 산서동 1,288명)
1998년 11월 23일 산성동 + 산서동 → 산성동 합동
2000년 30,724명
2005년 29,686명
2010년 31,378명
2015년 30,426명
2020년 27,867명
2023년 9월 26,11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25만 명

5. 경제

과거에는 중구가 원도심이었고 대전시청과 충남도청이 위치해 잘 나갔지만, 둔산신도시, 노은지구 개발 등 서구와 유성구 위주로 점차 대전이 확장하기 시작했고 둔산신도시대전광역시청이 이전하는 등 비롯한 주요 중구 소재 주요 관공서들이 둔산 등 신도심으로 이전했고 이외에도 대덕연구단지 조성으로 기업체, 공공기관들이 이동하며 쇠락하기 시작하였다. 마지막까지 자리를 지키던 충청남도청이 홍성군에 위치한 내포신도시로 이전하며 예전보다 영광이 덜한 편이다.

그래도 시청에서 손만 놓고 보는 것이 아닌지 대전도시공사, 대전신용보증재단, 대전테크노파크 등 굵직한 시청 산하 기관들과 지방병무청이나 출입국관리소, 준법지원센터 같은 일부 관공서가 원도심에 아직까지 자리잡고 있지만 경제적인 격차는 계속 벌어지고 있는게 현실이다.

격차 이유로는 서구와 유성구는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대전청사, 대전광역시청, 각종 대학교 캠퍼스 등으로 대기업은 물론 중소 기업들과 백화점이 많아 기업 및 상권이 활발하지만 중구는 은행동 으능정이이나 중앙로 지하상가를 보듯 소상공인 위주 사업에다가 코스트코와 같이 소비업이 많은 구조이다. 오죽하면 중구 경제는 성심당과 코스트코 대전점이 책임지고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시측에서도 대전 원도심을 살리기 위해 0시축제를 기획하는 등 어떻게든 살리려고는 노력은 하고 있지만 여전히 예전 영광을 찾지 못하고 있다.

6. 주요 시설 및 기업체

6.1. 관공서 및 정부유관기관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518e>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_White.svg
대전광역시 중구
소재 관공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svg 중구청 | 파일:지방의회 휘장.svg 중구의회 | 파일:보건소 CI.svg 중구보건소
파일:정부상징.svg 대전충남지방병무청 파일:정부상징.svg 대전세무서 파일:정부상징.svg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파일:정부상징.svg 대전출입국·외국인사무소
파일:정부상징.svg 대전준법지원센터 파일:정부상징.svg 위치추적대전관제센터 파일:정부상징.svg 대전보호관찰심사위원회 파일:정부상징.svg 국립환경과학원 중부권대기오염연구소
파일:우정사업본부 상징.svg 서대전우체국 파일:대한민국경찰참수리.svg 대전중부경찰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중부사업소 파일:대전광역시교육청 심볼.svg 대전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파일:대전광역시교육청 심볼.svg 대전교육연수원 분원 파일:중앙선거관리위원회 CI.svg 중구선거관리위원회
}}}}}}}}} ||

6.2. 민간기업 및 금융기관

대전 중구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서대전우체국 (10)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2)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5)
시중은행
신한은행 (1) 우리은행 (2)
SC제일은행 (1) 하나은행 (7)
국민은행 (2)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서대전농협 (10) 동대전농협 (3) 대전원예농협 (4) 대전축산농협 (1)
대전충남우유농협 (1)
새마을금고
서대전새마을금고 (2) 태평새마을금고 (2) 대전중부새마을금고 (3) 대전남부새마을금고 (2)
남대전새마을금고 (3) 대홍새마을금고 (2) 원대전새마을금고 (4) 대전건축사회새마을금고 (1)
충무새마을금고 (2) 대전개인택시새마을금고 (2)
신용협동조합
유천신용협동조합 (3) 충절로신용협동조합 (1) 목동신용협동조합 (3) 중도신용협동조합 (2)
문창신용협동조합 (1) 남대전신용협동조합 (1) 대사신용협동조합 (1) 선화신용협동조합 (1)
대전교작원신용협동조합 (1) KT대전충남신용협동조합 (2)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OK저축은행 (1)

6.3. 언론기관

6.4. 대형 상업시설

7. 교육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_White.svg 대전광역시 중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대전글꽃초등학교 대전대문초등학교 대전대신초등학교
대전대흥초등학교 대전동문초등학교 대전목동초등학교
대전목양초등학교 대전문성초등학교 대전문창초등학교
대전문화초등학교 대전버드내초등학교 대전보성초등학교
대전보운초등학교 대전산성초등학교 대전석교초등학교
대전선화초등학교 대전성모초등학교 대전신평초등학교
대전오류초등학교 대전옥계초등학교 대전원평초등학교
대전유평초등학교 대전중앙초등학교 대전중촌초등학교
대전태평초등학교 산서초등학교 서대전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_White.svg 대전광역시 중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대전글꽃중학교 대전대문중학교 대전대성중학교 대전동산중학교 대전문화여자중학교
대전신일중학교 대전여자중학교 대전중앙중학교 대전중학교 <colbgcolor=#fff,#2d2f34> 대전태평중학교
동명중학교 청란여자중학교 충남여자중학교 호수돈여자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중구(대전광역시) CI_White.svg 대전광역시 중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남대전고등학교 대전고등학교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대전대성고등학교 대전동산고등학교
<colbgcolor=#ffcbcb,#340000> 대전성모여자고등학교 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 <colbgcolor=#ffcbcb,#340000>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중앙고등학교 <colbgcolor=#fff,#2d2f34> 대전한빛고등학교
청란여자고등학교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충남여자고등학교 호수돈여자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구도심이다보니 학교 수 대비 학생 수가 부족하며, 특히 서대전네거리쪽이 아닌 부사동 쪽은 상황이 심각하다. 10~20대 학생/청년층의 인구가 갈수록 줄어드는 상황. 당장 학교만 봐도 청란여자중학교는 1~3학년을 모두 합쳐도 147명에 불과한 관계로 폐교대상에 들어가는 학교이며 전체 학생수가 170명에 불과한 중구 신일여자중학교도 똑같이 학생부족으로 폐교 대상 학교에 들어간다.[23] 심지어 사립 동명중학교[24]는 학년당 인원이 아닌 1~3학년 전교생을 모두 합친 숫자가 118명이다. 만약 이 학교들이 공립이라면 여중인 청란여중/신일여중과 남중인 동명중을 폐교하고 남녀공학 중학교를 하나 개교하면 인원 문제는 깔끔하게 해결되겠지만 문제는 세 중학교가 모두 사립이다. 게다가 2017년 기준으로 부사동과 인근 동네는 앞으로도 학생이 줄어들면 줄어들지 늘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반짝 인원이 늘어날 가능성은 있을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초, 중학교는 학교를 유지하기가 어려울 가능성도 있다.

심지어 고등학교인 청란여고-남대전고도안신도시로 이전하려고 했었다. 학생이 적어도 너무 적어서 정원을 채우기 힘들다는 이유였는데 공립도 아닌 사립재단에 땅도 안 팔리는 등 돈이 없어서 포기하였다고 한다.

그 외 문화동에 있는 대문중학교도 상황이 자못 심각한데 대문중학교는 부사동 일대보다는 그나마 상황이 낫다는 문화동에 소재해 있고 주위에 주택가 및 빌라, 아파트 단지[25]와 상가들이 제법 들어서 있기는 하지만 문화동, 산성동 일대에 거주하는 초등학생과 학부모들이 대문중학교를 기피하고[26] 동산중학교/문화여자중학교를 지망하는 경향이 큰 데다가 신계중학교[27], 글꽃중학교[28]가 2006년, 2007년에 나란히 개교하여 이쪽으로도 학생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2000년대 중반만 해도 1,000명이 넘었던 학생 수가 급격히 줄어 현재는 전체 학생수 100명대에 학년당 2학급 정도의 소규모 학교로 쇠락하여 폐교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29] 막장재단이 막장으로 운영하는 사립도 아닌 제대로 돌아가는 공립학교임에도 왜 이렇게까지 수준이 떨어졌는지 의문. 대전광역시 교육계에서 대표적인 실패사례 및 연구사례로 유명하다.

참고로 문화여자중학교 역시 대문중학교보다는 좋은지 몰라도 상당히 수준 떨어지는 학교로 문제가 많다. 문화여중 역시 상당한 문제를 가진 학교로 악명높지만 울며 겨자 먹기로 많은 학생들이 다니고 있다.

8. 의료기관

대전/세종/충남권 최대의 종합병원이자 상급종합병원충남대학교병원(1,303병상)의 입지가 확고하다. 충남대학교 의과대학도 붙어 있으며, 재활센터의 규모가 전국에서 손꼽힌다. 뒤를 이어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658병상)과 대전선병원(395병상)이 있어 의료서비스 면에서는 지역 내에서 압도적으로 편리하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구(대전광역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하위 행정구역

10.1. 은행선화동

관할 법정동은 선화동·은행동이다. 은행동은 처음부터 대전군 대전면에 속했으며 선화동은 1917년 외남면에서 대전면으로 편입되었다. 1998년 은행동과 선화동이 통합되어 은행선화동이 되었다. 인구는 13,955명.[P]

과거 대전의 중심이며 법원·검찰청과 대전MBC가 있었지만 각기 서구와 유성구로 이사가 버렸고, 충청남도청도 2012년 홍성군·예산군으로 이전하면서 선화동의 상권은 대거 몰락해 버렸으며 으능정이도 예전보다는 사정이 좋지 않다. 대전광역시가 원도심활성화 정책의 대표작으로 소개하는 스카이로드가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또 선화동 모텔촌으로 유명했었고, 특이한 건 그 모텔촌 안에 성당이 있다는 것이다. 현재는 모텔촌 대부분은 주상복합으로 재개발 중으로 오는 2024~25년이 지역 부흥의 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 외 선화 센트럴뷰 아파트(662세대), 대전세무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남지원, 대전테크노파크, 대전평생교육진흥원, 대전 최대의 관광지인 성심당 본점이 있으며, 추후 구 충청남도청을 리모델링해 국립현대미술관 대전관이 건립될 예정이다. 학교는 선화초, 중앙초, 호수돈여중, 대전여상고, 호수돈여고가 있다.

10.2. 목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1914년 이후 대전군 외남면에 속했으나 1932년에 대전읍에 편입되었다. 인구는 16,783명.[P]

서울의 목동처럼 목양마을아파트(1,500세대), 목동 더샵 리슈빌(993세대), 금호한사랑아파트(975세대), 목동 올리브힐(804세대), 대전목동 더샵(693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많다. 원래 목동초등학교 옆의 아파트단지는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한국전쟁 전후로 세워졌던 달동네였고 이 동네에서부터 더 동쪽까지 경제 수준이 비슷비슷했으며, 목양초등학교를 기점으로 한 서쪽과 충남여고를 기점으로 한 동쪽 간의 빈부격차가 꽤 있다. 현 목양마을아파트 자리에는 과거에 목원대학교가 있었다. 여튼 아파트단지가 많다 보니 학교가 많아서 11학군에 속하는 목동초, 목양초, 대전대성중, 충남여중, 대전대성고, 충남여고가 있으며,[32] 11개(간선 2+지선 9)의 버스가 정차한다. 종합병원인 대전선병원이 아파트단지 근처에 있어서 살기에 좋은 동네.

을지대학교 대전캠퍼스가 있지만[33] 원래 을지대학병원이었던 부지이기에 캠퍼스라고 하기에 민망할 수준.. 2018년 혹은 2019년이면 을지대학교 대전캠퍼스는 경기도 의정부시로 옮겨가면서 폐쇄된다는 카더라가 있었으나... 현 의대의 일부 학과만 잔류하고 임상병리학과, 간호학과는 이전한다고 한다. 다만 의대의 경우 본과 3,4학년은 추후 의정부에서 수업한다는 이야기도 있다. 의정부을지대병원 개원이 2021년으로 연기되면서 그 시점에 맞춰서 이전하였다.

괜찮은 학군과 지속적인 개발로 인해 유성구나 관저동과 유사한 신도시 표심이 나타나기 때문에 민주당세가 매우 강력해서 중구 내 다른곳과는 전혀 다른 정치적 성향을 보인다. 20대 대선에서도 다른 곳은 평균 10%, 상대적으로 보수세가 약한 곳도 윤석열 후보가 넉넉하게 승리한 반면에 목동만 이재명 후보가 9%가 넘는 격차로 승리했다.

10.3. 중촌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대전군 외남면에 속했으며 1935년 읍에서 승격하는 대전부에 편입되었다. 인구는 13,777명.[P]

대전 구도심에서 둔산방향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있으며, 대전천유등천이 딱 만나는 지점이다. 현대아파트(974세대), 주공3단지(964세대), 금호아파트(876세대) 등 아파트단지가 많고 둔산으로 넘어가는 육교 밑에 지역 케이블 SO CMB 본사가 자리잡고 있다. 중촌동 현대아파트 단지는 1984년에 대정동(1983년 대덕군 진잠면에서 대전시 중구로 편입된 지역)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대전 형무소/교도소가 있던 곳이다. 3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남쪽에는 망루가, 서쪽에는 우물터가 사적지로서 보존되어 있으며 평화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현대아파트단지와 목동네거리 사이에는 '목동·중촌동 맞춤패션특화거리'가 있다. 이곳은 골목골목마다 직물과 맞춤옷 전문점들이 빼곡히 들어차 있으며 1970년대부터 형성이 되어 전국적으로도 유명한 곳이다. 학교는 중촌초, 대전중앙중, 대전중앙고가 있으며 대전중앙고는 전국적인 배구 명문고이다.

10.4. 대흥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대전군 외남면에 속했으며 1917년에 대전면으로 편입되었다. 인구는 13,113명.[P]

은행동, 선화동과 함께 구도심의 중심이며, 대전의 옛 모습을 비교적 많이 간직하고 있다. 시청이 둔산으로 이전된 후 그 자리는 중구청이 쓰고 있다. 시립도서관 쪽은 대전의 오랜 지역유지와 높으신 분들이 사는 동네인지 부잣집들이 많이 보인다.

주요 시설로 대전센트럴자이 1~2단지(1,152세대), 중구청역, 대전광역시노인복지관, 대전평생학습관, 테미공원,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이 있다. 중구청역 3번 출구는 교보빌딩과 연결되어 있는데, 건물 지하에 있던 교보문고 대전점은 장사가 잘 되지 않아서 2007년 천안시로 옮겨버렸다(…)[36]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8개 병원 중 가장 작지만, 유성구로 이전하면서 증축할 움직임이 있다. 다만 부지만 매입하고 아직 공사는 시작하지 않은 듯..

학교는 대흥초, 성모초, 대전중, 대전여중, 대전고, 대전성모여고가 있다. 대전성모초등학교가톨릭 수녀회예수수도회(옛 동정성모회)에서 전 세계에 설립, 운영하고 있는 St. MARY School 중 하나로 1966년에 학교법인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성모초등학교의 거리가 통학생들의 주거지와 먼 까닭에 등하교 스쿨버스가 10대가 넘어가는데, 그렇다고 재학생 수가 많다고 하면 또 아니다. 일단 사립초등학교라서 굉장히 비싼 학비를 받는다.[37] 교복 착용이 의무이며[38], 방과 후 학내 악기 레슨이 이루어지는 등, 등록금 외에 부차적으로 드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그리고 입학시험을 봐서, 수학 기준에 미달된다고 판단된 학생들은 죄다 탈락시킨다. 또한 공동체 활동이 타 공립학교에 비해 월등히 많아, 학생이 많으면 담임 선생님이 아이들 관리를 할 수가 없어진다. 원래 한 학년에 30명 정도의 인원인 3개 반밖에 존재하지 않았으나 몇 년 전 신관 건물[39]이 새로 지어지면서 반이 1개씩 늘어 한 학년당 4개 반이 되었다. 그래도 일반 공립초등학교보다 전교생이 현저히 적은 것은 사실이다.

같은 건물을 사용하고 있으나 문을 설치하여 구역을 철저히 구분[40]하고 있는 대전성모여자고등학교는 같은 재단의 학교이다. (본래 성모여중도 있었으나 폐교되었다.) 성모여고는 비평준화 시절에는 보통은 갔지만 평준화 이후 옆 동네 호수돈여자고등학교와 같이 하위권 고등학교로 추락해버렸다. 사실 대전의 경우 대전둔산여자고등학교, 충남여자고등학교를 제외하면 이상하게 여학교들이 유난히 힘을 못 쓰고 있다. 성모여고는 교복 치마가 이상할 정도로 길기로 유명했지만, 학부모들의 꾸준한 건의로 인해 교복이 개편되었고 현재는 옛날의 특색이 사라졌다. 선화동에 있는 중앙여중은 학생 감소로 2012년 폐교하였다.

야구와 농구로 유명한 대전고등학교도 이 곳에 있다. 원래 대전고등학교둔산신도시로 이전하려 했고, 대전고등학교 동문들도 찬성하였다. 하지만 지역에서 막아서 무산되었고 철거 후 재건축하였다. [41]

10.5. 문창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대전군 외남면에 속했고 1932년에 대전읍으로 편입되었다. 인구는 4,313명.[P]

문창시장과 일반 주택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문창동 인근에는 모텔여관 등 숙박업소들이 많다. 숙박료가 대전에서 가장 싼 지역이다. 이유는 신도심(둔산동)이 생기기 이전에는 주변에 도청 및 시청이 있어 많은 유동인구, 인근에 많은 유흥업소, 보문산 등으로 숙박업이 잘되었으나, 현재 숙박업소는 많고 사람은 없어 가격이 상당히 저렴하다보니 업주들이 달방을 많이 내놓는다. 2017년 10월 기준 25만 정도면 저렴한 여관 달방을 구할 수 있고, 35만 원 정도면 모텔 달방을 구 할 수 있다. 대전역에서 택시로 5분 거리이므로, 대전에 배낭여행 온 사람들은 문창동 모텔촌을 이용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거의 주택가가 많은 지역이라 그런지 주민들이 고령층이 많다.

10.6. 석교동

관할 법정동은 석교동·옥계동·호동이다. 석교동은 대전군 외남면에 속했으나 언제 대전부에 편입되었는지는 알려진 것이 없다. 옥계동과 호동 또한 외남면에 속했으나 1940년에 산내면으로 넘어갔고 1963년 대전시에 편입되었다. 인구는 14,826명.[P]

석교동과 옥계동은 대전천과 관련된 지명이며, 그 사이에 낀 호동은 보문산 자락으로 올라가는 산골 동네인 '범골'에서 유래하였다. 현 중구와 동구의 경계지역이며, 대전직할시가 출범하기 전에는 대덕군 산내면과 맞닿아 있었다. 옛부터 이곳에는 고성 남씨 집안이 터를 잡고 살았으며, 조선시대에 남분봉 선생이 후학을 가르치던 봉소루(鳳巢樓)가 잘 보존되어 남아있다. 아직도 남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는 편이다.

석교동은 구도심의 변두리에 위치한 주거지역이며 고층 아파트가 전혀 없이 주택과 저층 연립주택으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건너편의 가오동은 80년대부터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던 반면에 석교동은 아직까지 70년대에 지어진 시영주택들이 많이 남아있을 정도로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남쪽의 보문산으로 인한 고도제한이 발목을 잡은 게 컸다고 하지만 해제된 후에도 별로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그나마 1971년에 대전에서 최초로 지어진 1개동 4층 규모의 제일아파트가 있기는 하지만 워낙 노후된데다 2020년까지만 해도 수돗물 공급이 안되어 지하수를 끌어다 쓸 정도로 상당히 열악한 시설을 자랑했다. 이렇게 묵은 동네로 세월이 흐르다 보니 젊은 층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현재는 주민 연령층이 상당히 높다.[44] 학교는 석교초, 옥계초, 동명중이 있다.

10.7. 대사동

大寺洞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대전군 외남면에 속했으며 1932년에 대전읍으로 편입되었다. 인구는 5,384명.[P]

서대전네거리 남동쪽의 동네. 보문산을 끼고 있어서 면적이 상당히 넓으며, 큰 산인 보문산을 끼고 있어서인지 과 암자가 상당히 많고 보문산대공원도 있다. 부사동으로 넘어가는 고개에는 유럽풍의 집들과 후줄근한 집들이 나란히 있어 위화감을 느끼게 한다. 충청권 최대의 병원인 충남대학교병원이 있다. 학교는 대신초, 남대전고[46]가 있다.

파일:external/www.daejonilbo.com/20150901010000388000101.jpg
이 동네에 옛 충남도 관사촌(도지사 공관)이 있는데, 충남도청이 내포신도시로 이전하면서 비게 되었다. 그리고 2015년 9월 5일 83년 만에 일반인에게 공개되었다. 이후로는 파티나 플리마켓 등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10.8. 부사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대전군 외남면에 속했고 1932년에 대전읍으로 편입되었다. 인구는 6,434명.[P]

오래 된 일반주거단지가 주를 이루며, 충무체육관과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 파크가 있다. 한화 이글스가 홈구장으로 쓰고 있다. 그 외에는 빌라와 주택 중심의 주거지역.

학교는 문창초, 보운초, 대전신일중, 청란여중, 대전신일여고, 청란여고가 있으며 중/고등학교들은 엄청난 오르막으로 유명하다. 청란여고는 갈수록 줄어드는 부사동의 학생 수와 10년 이상 계속 대전광역시 최하위권을 유지하는 학력 및 인지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도안신도시로 이전하려 했으나 현재 청란여고가 위치한 땅을 사려는 사람이 아무도 없어서 부사동에 남는다고 한다. 청란여자중학교 역시 학생수가 심각하게 부족하여 폐교 대상 학교에 들어간다고 한다. 부사동과 인근 동네에 학생들이 없긴 없는 듯. 신일중은 원래 신일여중이었으나 2023년 공학으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신일여고는 '여자고등학교'라 불리지만 인문계(일반계)가 아닌 특성화고(전문계)이다.[48]

10.9. 용두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대전군 유천면에 속했으며 1932년에 대전읍으로 편입되었다. 인구는 9,135명.[P]

서대전네거리 북동쪽의 동네로 계룡로를 따라 길게 늘어서 있는 동네이다. 미르마을아파트(1,135세대)을 제외하면 아파트단지는 별로 없다. 지하철역으로 오룡역이 있는데, 오류동과 용두동에 걸쳐 있어 각 앞글자를 딴 것이다. 학교는 서대전초가 있다.

현재는 용두동 일대가 재개발에 들어갔다.

10.10. 오류동

행정동과 법정동이 일치한다. 대덕군 유천면에 속했으며 1940년에 대전부로 편입되었다. 인구는 10,348명.[P]

서대전네거리 북서쪽의 동네. 서대전역코스트코 대전점이 있다. 삼성아파트(2,526세대)의 경우 과거 인천 야구팬들에게 악명높았던 청보 핀토스의 모기업 풍한방직 공장 부지였다가 1986년 아파트가 건설되었다.[51] 다만 대덕구 석봉동의 일부[52]도 풍한방직터라고 불리는데, 별개의 공장이었던 듯 하다. 학교는 삼성아파트단지 옆에 오류초가 있다.

오류동과 용두동 일대에는 국민카드, 삼성카드, 메리츠, 신한라이프 등 여러업체의 콜센터가 집중되어 있다. 삼성아파트와 서대전네거리역 사이에는 오류동 음식특화거리가 형성되어 있다.

10.11. 태평1동, 태평2동

관할 법정동은 태평동이다. 대덕군 유천면에 속했으며 1940년 대전부에 편입되었다. 유등천을 낀 동네로, 태평오거리 동쪽이 1동, 서쪽이 2동이라고 보면 된다.
  • 태평1동: 인구는 12,840명.[P] 호남선 서편에 있다. 태평시장을 중심으로 그 주변은 빌라와 주택 위주이며, 동 경계로 벽산태평아파트(1,214세대), 쌍용예가아파트(965세대), 유등마을 쌍용아파트(964세대) 등의 아파트단지들이 있다. 학교는 유평초, 대전태평중이 있다.
  • 태평2동: 인구는 24,573명.[P] 삼부아파트1~5차, 버드내아파트1~2단지(4,103세대), 파라곤아파트(1,040세대)가 있다. 대전에서 최초로 조성된 대규모 아파트 밀집단지이다. 대전의 동부이촌동. 둔산신도심 개발 전 대전 고급 거주지의 위상이었다. 삼부아파트의 경우 초창기에 건설된 1단지는 재개발 하겠다는 말도 가끔 나오는데 실제로는 가능성이 없는 듯. 2018년 6월 현재도 재개발 논의는 없다고 한다.
    여기도 문화동, 오류동처럼 공장이적지다. 버드내아파트가 지어지기 전에 한국조폐공사 메인 공장이 있었던 곳이며 옥천으로 이전한 후 아파트를 지었다. 아파트 분양 당시 '돈 만들던 곳이라서 富의 기운이 있는 곳'이라고 했었다. 그래서 2010년 즈음 단지 내에 조폐공원이 조성되었다.[55] 학교는 버드내초, 신평초, 태평초가 있다.

10.12. 유천1동, 유천2동

관할 법정동은 유천동이다. 대덕군 유천면에 속했으며 1940년에 대전부로 편입되었다. 계백로1583번길-1584번길의 좁은 골목을 기준으로 서쪽이 1동, 동쪽이 2동이다.
  • 유천1동: 인구는 5,932명.[P] 유등천을 끼고 있으며, 계백로를 따라 유등교를 건너면 서구 도마동, 정림동, 가수원동, 관저동, 유성구 원내동을 거쳐 계룡시, 논산시 방면으로 갈 수 있다. 유등교 남쪽에는 호남이나 충남 서해안 지역으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는 대전서남부터미널이 있다. 관저동, 진잠, 계룡시 방면[57]으로 가는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도 서부터미널을 기점으로 하는 노선이 많다. 다만 오래되어 시설이 좋지 않으며, 주변에는 유흥업소가 몰려 있다. 한때는 수백 개의 유흥업소들이 밀집한 사창가였지만 클린대전 시행 이후로 망했고, 지금은 나이트클럽과 노래방이 많다.
  • 유천2동: 인구는 13,278명.[P] 철도와 인접해 있는 이점 때문에 과거 충남방적을 비롯한 방적공장 부지로 사용됐으나, 80년대 말 이전한 이후 현대아파트1~2단지(1,760세대)가 들어서며 고층 아파트 지역으로 개발되었다. 이는 맞닿은 태평아파트를 통해 태평동 아파트 단지군과 연담되어 버드내아파트와 삼부아파트까지 이어진다. 다만 계백로 이남은 주택과 원룸 위주이다. 현대아파트 뒷길로는 역사 증/개축 이후 새로 건설된 서대전역 뒷문 서쪽 출구가 위치한다. 학교는 원평초가 있다.

10.13. 문화1동, 문화2동

관할 법정동은 문화동이다. 대덕군 유천면에 속했고 1940년에 대전부로 편입되었다. 1985년에 분동되었다.서대전네거리 남서쪽의 동네이다. 남쪽은 일찍이 주거지역으로 개발되었는데 북쪽 계백로쪽은 바로 윗동네인 오류동에 서대전역이 위치하고 있고 대전 남북축인 계룡로와 동서축인 계백로가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는 이점에도 개발이 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1980년대만해도 이곳 문화동 센트럴파크 아파트단지 자리에 제5보급창과 육군병참학교 등 군부대가 있었기 때문인데, 같은 동네인데도 보문산쪽과 서대전역쪽 남북횡단이 거의 불가능했다. 그래서 당시 서대전네거리가 아니라 서대전삼거리였다. 그리고 문화동뿐만 아니라 서대전역 주변이 철도교통의 편리함 때문에 대규모 공장들이 많았고, 그런 이유로 주거지로의 개발은 늦어졌다. 같은 시대의 영등포역 주변을 생각하면 된다. 1980년대는 육군병참학교가 경남으로 이전하고 서대전삼거리가 서대전네거리로 변하면서 전성기가 시작됐다.

이 때부터 바로 앞에 서대전역이 있고 교통의 요충지라는 이점으로 기독교연합봉사회관(대전CBS), 대전일보[61], 대전중구문화원[62], 농협중앙회 충남지역본부[63], 한국통신 충남본부[64] 중앙장로교회가 들어와 순식간에 대전 제1부도심이 되었다. 지금은 대전 강남하면 둔산동을 떠올리지만 1980~90년대는 이곳 서대전네거리 였다. 공장 이전부지에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쇼핑센터가 생긴 것도 영등포역 주변과 같다. 또한 서대전네거리 공터는 서대전공원으로 개발되었다.

특히 1996년에는 백화점 세이가 생기고 장사가 잘돼서 2001년에는 바로 옆 공터에 2배로 확장했고 그 자리에 CGV 대전이 생겨 새로운 헬게이트를 만들어 냈다. 제5보급창도 같은 해에 이전하고 현재 그 자리는 아파트단지로 개발되었다. 또한 동시에 까르푸(현 홈플러스 문화점)도 그에 맞춰 세이백화점 옆에 생겼다. 또한 2006년에 개통한 대전 도시철도 1호선서대전네거리역이 이곳 서대전네거리에 있다. 다만 2023년 5월부로 세이백화점이 문을 닫았고, 차후 재건축을 통해 주상복합이 들어설 예정이다.

관내 학교는 1동에 글꽃초, 동문초, 대전글꽃중, 대전동산중, 대전문화여중, 대전국제통상고, 대전동산고, 2동에 대문초, 문화초, 보성초, 대전대문중, 충남기계공고가 있다. 중학교 중에서는 보통 글꽃중을 가장 많이 선호하며 동산=문화>대문 순으로 지망하는데, 남녀공학인 글꽃중과 대문중의 학생 수가 천지차이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글꽃중은 한 학년에 10학급 이상 넘어가는 과밀 학급이 된 사이에 대문중은 2007년을 기점으로 학생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한 학년에 고작 2학급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을 정도로 학생 수가 급감하는 사태가 벌어지게 된 것. 자세한 내용은 위의 교육 문단으로. 그 외 서대전네거리에서 보문산 방향으로 올라가면 대전에서 제일 큰 한밭도서관이 있다.

10.14. 산성동

관할 법정동은 구완동·금동·목달동·무수동·사정동·산성동·안영동·어남동·정생동·침산동이다. 이 중에서 사정동·산성동·안영동은 대덕군 유천면, 나머지는 산내면에 속했다. 산성동은 1940년에 대전부에 편입되었고, 사정동·안영동[65]은 1963년에 대전시로 편입되었다. (이때 유천면이 대전시로 완전히 편입되어 사라졌다.) 이후 1989년 대전직할시가 출범하면서 대덕군이 폐지되자 산내면의 일부가 편입되어 산서동(山西洞)이 설치되었다가, 1998년 산서동이 폐지되고 산성동에 통합되었다.[66] 인구는 26,003명[P]으로 중구에서 가장 많다.

안영동에는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안영IC가 있고, 하나로마트(구 농협하나로클럽) 대전점(농협대전유통)이 있어 도매든 소매든 물건 사러 오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인근 산중턱에 대전한빛고등학교가 있고, 안영IC가 시 외곽으로 향하는 거의 유일한 통로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인지[68] 저녁이면 산성네거리부터 나들목까지는 평일 휴일을 가리지 않고 엄청나게 막힌다. 금산군 복수면이나 동구 산내동 지역으로 가는 길목(다시 말해 635번 지방도와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가 지나가는 지역)은 전원마을 풍경을 보기에 더없이 좋은 지역이라 드라이브하기에 좋다.

법정동이 거시기한(…) 사정동에는 동물원과 식물원, 놀이공원이 모인 대전 오월드가 있다. 안영동 및 침산동에는 뿌리공원이 있는데, 그 이름대로 여러 가문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성씨별 조형물이 있다. 한국효문화진흥원 및 효문화마을이 공원 건너편에 있으며, 관리원 건물 뒤쪽으로 올라가면 대전둘레산길 12구간으로 진입할 수 있다. 침산동 안쪽으로는 그냥 시골이다.

학교는 문성초, 산서초, 산성초, 대전한빛고가 있다.

11.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중구(대전)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26개 법정동, 17개 행정동[2] 2024년 3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2023년 12월 기준.[4] 중구 가선거구 (은행선화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 김석환
중구 나선거구 (목동, 중촌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1동, 태평2동) : 김옥향, 이정수
중구 다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 안형진
비례대표 : 오한숙
[5] 중구 가선거구 (은행선화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 유은희, 육상래
중구 나선거구 (목동, 중촌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1동, 태평2동) : 유수열
중구 다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 오은규
비례대표 : 김선옥
[6] 중구 다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 윤양수[7] 중구 제1선거구 (은행선화동, 대흥동, 문창동, 석교동, 대사동, 부사동) : 박주화 (초선)
중구 제2선거구 (목동, 중촌동, 용두동, 오류동, 태평1동, 태평2동) : 김선광 (초선)
중구 제3선거구 (유천1동, 유천2동, 문화1동, 문화2동, 산성동) : 민경배 (초선)
[8] 이렇다보니 현재 대전의 중심부는 서구에 있다. 대전광역시청이 있는 둔산신도시가 현재 대전의 정중앙이다.[9] 이렇게 된 이유는 대전 원도심 지역의 남쪽이 해발 500m 가량의 산들이 솟아있어서 그런 것이다. 면적이 좁은 분지에서 도시가 성장했기 때문에 도시가 남쪽으로 성장하지 못 하고, 서쪽과 북쪽 위주로 개발이 되어서 타 지자체와 접할 수밖에 없었던 사정이 있었다.[10] 만약 금산군이 대전광역시로 편입된다면 해당 타이틀은 깨지게 된다.[11] 참고로 현 청사는 1999년 11월까지 대전광역시청사로 사용된 건물이다. 1959년에 완공되었으며, 대전 중구청이 2002년에 현 청사로 이전했다.[12] 1966년 통계에 선화1동/선화2동으로 나뉘어져 있으나, 대전광역시 행정구역 변천사 및 은행선화동 행정복지센터의 소개에 따르면 1968년 9월 1일 분동이 맞는 것으로 보여, 통계상 오류인 듯 보임.[W] 자료 누락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1970년부터 시작됨.(기존의 동구 대동-자양동의 관계와 달리, 분동에 관한 자료가 미비하고, 통계청 인구총조사에도 등장하지 않았음.)[W] [15] 사정동, 안영동[16]대신증권 대전지점 사옥[17]한화생명 대전사옥[18]삼성생명 대전선화빌딩[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한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한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2]충청은행 본사[23] 이대로는 학교운영도 어려울 정도라 2017년 들어서 예술계열 특성화중학교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이 있다.[24] 참고로 배우 권상우와 성악가 박상돈의 모교이기도 하다.[25] 문화주공 1,2,3단지와 삼성푸른아파트.[26] 이렇게 된 원인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긴 하나 같은 통학권에 속하는 동산중, 글꽃중, 신계중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을 자랑했다는 것이 중론이다.[27] 단 신계중학교는 서구 복수동 소재여서 문화동보다는 대부분 복수동, 산성동, 사정동 일대에서 많이 가는 편이다. 특히 복수동 살면 대부분 신계초/신계중으로 간다고 봐도 좋다.[28] 특히 여기는 문화동 학생들에게 인기가 매우 높다. 사실상 이 학교의 개교로 인해 대문중학교의 학생 수가 급감하게 되었다고 봐도 된다.[29] 더 충격적인 것은 2017년 기준 1학년 학급이 고작 1반밖에 운영을 못하는 초유의 사태까지 이르렀을 정도로 신입생 수가 처참해졌다. 그래도 2018년 입학생부터는 다시 2학급으로 간신히 운영되기는 했으나, 2021년 입학생 수가 30명 아래로 떨어지면서 또 1학급 운영을 면치 못하게 되었다.[P]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P] [32] 대성고와 대성중, 충남여고와 충남여중이 붙어있다. 육교 하나 사이를 두고 남학교와 여학교가 서로 맞대고 있는 풍경.[33] 원래는 을지의과대학병원이었으나 둔산으로 이전한 후 자체 캠퍼스로 대체되었다.[P] [P] [36] 애초에 장사가 잘 될 수가 없었다. 교보문고가 입점할 당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당시 대전 1위였던 문경서적과 막상막하인 계룡서적, 규모는 좀 밀리지만 헌책방 시절부터 시작해 인지도가 높은 데다 교과서 전문 판매코너가 따로 있어 학생들이 많이 찾던 대훈서적이 서로 으르렁거리며 경쟁중이었는데 장사가 될 리가. 그러나 2009년 충남대 1학관에 다시 교보문고가 들어섰으나 2015년 철수했다. 이듬해 7월 둔산동 명동플라자 3층에 대전점이 다시 생겼다.[37] 이 때문에 사립초등학교에는 부잣집 자녀들이 주로 다닌다.[38] 간혹 사복을 입는 사립초등학교도 있긴 하다.[39] 모 방송에서 한국의 호그와트로 소개된 그 건물이다.[40] 화재 대피 훈련의 경우가 아니면 두 학교가 건물 내 공간을 공유하는 일이 거의 없다.[41] 참고로 청란여자고등학교 및 남대전고등학교도 도안신도시로 이전하겠다고 이전 신청을 했다고 하는데, 어떠한 이유인지 교육청에서 거부했다고 한다. 들리는 소문으로는 사립고라 재정이 부족해서라고...[P] [P] [44] 중구가 대전의 중심지였던 시절에는 베드타운 역할을 했기 때문에 석교동에도 젊은 사람들이 매우 많았다. 그들의 자녀들이 다니던 석교초등학교는 학생이 너무 몰리는 통에 옥계초등학교가 개교하여 분산을 하기 전까지 반 학생이 많아서 교실이 미어터지다 못해 오전·오후반까지 운영을 할 정도로 포화상태였다. 그러던 것이 지금은 나누었던 학교를 다시 합쳐야 할지 고민할 정도로 학생 수가 줄었다.[P] [46] 교사는 대사동, 운동장은 부사동에 해당되며 통학로는 부사동 쪽으로 연결된다.[P] [48] 동구의 대성여고 또한 특성화계이면서 인문계처럼 여고라는 교명을 쓰고 있는데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관계로 교명을 바꿨다고 한다. 이래서 어린 학생들이나 나이 많은 사람들은 인문계 여고로 착각하는 경우도 흔히 보인다.[P] [P] [51] 정문 앞의 버스정류장은 '서대전네거리역 4번출구'로 해놨다. 출구에서 300m이상 있어서 너무 멀고 서대전네거리역보다 삼성아파트의 역사가 더 긴데도 말이다...[52] 현재 금강엑슬루타워 자리[P] [P] [55] 조폐공원이라고 해봤자 단지 내에 조폐 관련 조각상이 몇 개 있는 것뿐이다.[P] [57] 충남 논산시 벌곡면, 충남 금산군 진산면 일대로 가는 시내버스도 존재한다.[P] [P] [P] [61] 지금은 갈마동으로 이전[62] 대흥동으로 이전[63] 내포신도시로 이전[64] 지금은 서구 둔산동으로 이전, 지금은 KT 문화빌딩으로 KT계열사 오피스로 활용중.[65] 1988년 서구 분리 당시에는 서구에 속했다가, 이듬해 대전직할시 출범 이후 중구로 환원.[66] 이 외에 산내면이었던 곳은 지금의 동구 산내동(구도동·낭월동·대성동·대별동·삼괴동·상소동·소호동·이사동·장척동·하소동)이다.[P] [68] 보성네거리-오월드 방향 길이나 서구 복수동으로도 돌 수 있지만 그쪽은 유동량이 별로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