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친선고속철도]]{{{#!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징하철도/역 목록]]{{{#!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 징하철도 京哈铁路 Beijing-Harbin Railway | }}} | |
특급열차 | |||
노선 정보 | |||
분류 | 일반철도 | ||
기점 | 베이징역 | ||
종점 | 하얼빈역 | ||
역 수 | 89 | ||
개업일 | 1881년 11월 9일 | ||
소유자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
운영자 | 중국국가철로집단 | ||
사용차량 | CRH 제외한 모든 일반 열차 | ||
차량기지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241km | ||
궤간 | 1435mm | ||
선로구성 | 복선 | ||
사용전류 | 교류 25000V 50Hz 가공전차선 | ||
폐색방식 | 자동폐색, 차내신호폐색[1] | ||
보안장비 | LKJ[2], CTCS-0[3]] | ||
최고속도 | 160km/h |
1. 개요
징하철도는 수도 베이징과 동북부 헤이룽장성 성도 하얼빈을 연결하는 간선철도노선으로 1881년 11월 중국이 자력으로 건설한 탕쉬철도에 근원을 두고 있다. 총 영업거리는 1257 km로 노선상에는 17개 역이 위치하고 있다.이 노선은 철도계획인 8종8횡계획에 포함되는 중요 노선이다.
2. 역사
징하철도는 석탄수송을 목적으로 1881년 11월 중국이 자력으로 개통한 탕쉬철도(唐胥铁路)[4][5]가 모태로 龙(용)이라는 이름의 증기기관차도 투입했지만 열차 진동이 순치제 때인 1661년에 세워진 칭둥링(清东陵) 능원에 영향을 준다는 이유로[6] 증기기관차 대신에 마차가 투입되는 촌극이 벌어졌다.하지만 이홍장이 황실가족들을 시승에 초대하여 오해를 풀고 열차운행을 승인받으면서 마차만 다니던 이 노선에 다시 증기기관차가 다니게되었고 탕쉬선은 1888년에 서쪽으로 톈진까지 그리고 1893년에 동쪽으로 산하이관까지 연장되었다. 톈진까지 연장되었던 노선은 후에 현 베이징남역과 베이징역까지 연장되었다. 이후 수많은 연장공사를 거치며 현재의 베이징-하얼빈의 노선에 이르게 되었다.
3. 구간
3.1. 베이징 - 친황다오 구간[7]
3.2. 친황다오 - 선양베이 구간[8]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친선고속철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친선고속철도#|]][[친선고속철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 선양베이 - 하얼빈 구간[9]
4. 역 목록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징하철도/역 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징하철도/역 목록#|]][[징하철도/역 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궤도회로를 사용한 JTI-CZ2000형 차내신호[2] ATS와 유사한 ZTL을 철거하고 자체규격의 LKJ-2000형 열차운행모니터링 및 기록장치를 백업시스템으로 사용중이다. 탑재된 선로데이터와 기존 궤도회로를 이용한 신호정보를 바탕으로 속도제한정보를 현시한다. 지상자나 위성항법등을 통한 위치정보 보정없이 장비가 계산한 정보를 바탕으로 열차위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오차 발생 가능성이 높아 기관사의 정확한 수동 위치보정이 요구된다. 최근엔 베이더우 항법시스템이 탑재된 신형 LKJ-15 열차운행모니터링 및 기록장치가 개발, 배치되고 있다.
바이두백과[3] Chinese Train Control System. ETCS Level 0에 해당
Ning B ,Tang T ,Qiu K ,Gao C ,Wang Q . "CTCS-Chinese Train Control System" COMPUTERS IN RAILWAYS : 393-400.
바이두백과
중국 열차제어시스템(CTCS) 분류
The New Development of CTCS in the Intercity Railway
[[파일:CTCS, ETCS비교.webp][4] 탕산 - 쉬거좡철도, 길이가 약 9.7km 정도이며 지리상으로 쉬거좡역과 탕산난역(구 탕산역)구간이며 현재는 그 구간이 치롼철도(七滦铁路)로 지정되어 있다.[5] 중국에서 가장 먼저 건설된 철도는 영국인에 의해 상하이 인근에 놓인 우쑹철도(吴淞铁路)다.[6] 탕쉬철도가 다니는 지역과 칭룽링은 거리상으로 약 95km 떨어져있다.[7] 舊 징친철도[8] 舊 친선고속철도[9] 舊 하다철도
바이두백과[3] Chinese Train Control System. ETCS Level 0에 해당
Ning B ,Tang T ,Qiu K ,Gao C ,Wang Q . "CTCS-Chinese Train Control System" COMPUTERS IN RAILWAYS : 393-400.
바이두백과
중국 열차제어시스템(CTCS) 분류
The New Development of CTCS in the Intercity Railway
[[파일:CTCS, ETCS비교.webp][4] 탕산 - 쉬거좡철도, 길이가 약 9.7km 정도이며 지리상으로 쉬거좡역과 탕산난역(구 탕산역)구간이며 현재는 그 구간이 치롼철도(七滦铁路)로 지정되어 있다.[5] 중국에서 가장 먼저 건설된 철도는 영국인에 의해 상하이 인근에 놓인 우쑹철도(吴淞铁路)다.[6] 탕쉬철도가 다니는 지역과 칭룽링은 거리상으로 약 95km 떨어져있다.[7] 舊 징친철도[8] 舊 친선고속철도[9] 舊 하다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