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00:44:28

투자철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주요 간선 남북 주간선(5종)징하철도 - 징광철도, 징주철도, 징후철도, 자오류철도, 바오청철도 - 청쿤철도
동서 주간선(3횡)징바오철도 - 바오란철도, 룽하이철도 - 란신철도, 후쿤철도
하얼빈그룹징하철도, 핑치철도, 빈베이철도, 쑤이자철도, 빈저우철도, 빈쑤이철도
선양그룹징하철도, 핑치철도, 징퉁철도, 진산철도, 보하이 철도 페리, 바이아철도, 창바이철도, 창투철도, 선지철도, 선단철도, 선다철도, 선산철도
베이징그룹징퉁철도, 징하철도, 징후철도, 징광철도, 징주철도, 진산철도, 징바오철도, 탕바오철도, 스타이철도, 한지철도, 스더철도, 진바철도
타이위안그룹징바오철도, 스타이철도, 타이중철도, 퉁푸철도, 타이자오철도
후허하오터그룹징바오철도, 탕바오철도, 바오시철도, 바오란철도, 지얼철도, 지퉁철도
정저우그룹징광철도, 징주철도, 룽하이철도, 신스철도, 타이자오철도, 자오류철도, 닝시철도
우한그룹징광철도, 징주철도, 자오류철도, 닝시철도, 우주철도, 샹위철도, 뤄푸철도, 멍바오철도, 한단철도
시안그룹룽하이철도, 바오시철도, 퉁푸철도, 타이중철도, 닝시철도, 샹위철도, 바오청철도, 시캉철도
지난그룹징후철도, 징주철도, 한지철도, 신스철도, 보하이 철도 페리, 란옌철도, 자오지철도
상하이그룹징후철도, 징주철도, 룽하이철도, 후쿤철도, 닝시철도, 푸자철도, 칭푸철도, 푸화이철도, 화이난철도, 항융철도, 쉬안항철도, 닝치철도
난창그룹징주철도, 후쿤철도, 우주철도, 지헝철도, 펑푸철도, 잉샤철도
광저우그룹징광철도, 징주철도, 후쿤철도, 자오류철도, 지헝철도, 이잔철도, 샹구이철도, 위화이철도, 광선철도, 광마오철도, 스창철도
난닝그룹자오류철도, 이잔철도, 샹구이철도, 난쿤철도, 첸구이철도, 리잔철도
청두그룹후쿤철도, 바오청철도, 청쿤철도, 샹위철도, 란위철도, 첸구이철도, 위화이철도, 청위철도, 네이류철도, 청야철도, 촨첸철도
쿤밍그룹후쿤철도, 청쿤철도, 난쿤철도, 쿤위허철도, 쿤추다철도, 다리철도, 리샹철도, 다루이철도, 위모철도
란저우그룹룽하이철도, 란신철도, 바오란철도, 란칭철도, 란위철도, 둔거철도, 간우철도, 둔황철도
우루무치그룹란신철도, 난장철도, 거쿠철도, 쿠이아철도, 징이훠철도, 카허철도, 허뤄철도
칭짱그룹칭짱철도, 란칭철도, 둔황철도, 거쿠철도, 라르철도, 라린철도
기타 하얼빈그룹투자철도, 라빈철도, 퉁랑철도, 푸시철도, 이자철도, 야린철도, 차오우철도, 치베이철도, 베이헤이철도, 난우철도, 허강철도, 보치철도, 자푸철도, 푸첸철도, 샹하철도, 첸푸철도, 린둥철도, 청지철도, 보린철도, 이민철도, 훠룽거우철도, 웨이야철도, 유바오철도
선양그룹투자철도, 라빈철도, 퉁랑철도, 진청철도, 이아철도, 쑹타오철도, 타오수철도, 지수철도, 쓰메이철도, 랴오창철도, 차오카이철도, 허룽철도, 바이허철도, 훈바이철도, 야다철도, 메이지철도, 퉁관철도, 번환철도, 펑상철도, 랴오시철도, 잉커우철도, 카이위안철도, 거우하이철도, 신이철도, 다정철도, 퉁훠철도, 간쿤철도, 예츠철도, 티우철도, 하이좡철도, 웨이타철도
베이징그룹진철철도, 징위안철도, 한장철도, 청룽철도, 징청철도, 화이판철도, 타이시철도, 탕차오철도, 진지철도, 양다철도
타이위안그룹징위안철도, 허우웨철도, 한위안철도, 닝커철도, 신허철도, 제시철도, 타이싱철도
후허하오터그룹린하철도, 후준어철도, 바오바이철도, 신상철도, 시둬철도, 다펑철도, 시얼철도
정저우그룹신웨철도
우한그룹이완철도, 마우철도, 샤오리철도, 창징철도, 야이철도
시안그룹허우시철도, 시핑철도, 바오중철도, 톈핑철도, 황한허우철도, 간중철도, 셴퉁철도, 양안철도
지난그룹자오신철도, 룽옌철도, 하이칭철도, 더다철도, 쯔둥철도, 신타이철도, 짜오린철도, 타오웨이철도
상하이그룹자오신철도, 퉁주철도, 완간철도, 취닝철도, 신창철도, 쑤화이철도, 수이벙철도, 푸류철도, 허주철도, 안칭철도, 루퉁철도, 닝퉁철도, 진첸철도, 진산철도, 하이양철도, 진타이철도
난창그룹취닝철도, 완간철도, 퉁주철도, 간사오철도, 장룽철도, 와이난철도, 간룽철도, 젠화철도, 칭관철도, 싱취안철도
광저우그룹간사오철도, 장룽철도, 위룽철도, 핑난철도, 난사강철도, 잔하이철도, 웨하이철도, 하이난 서부순환철도
난닝그룹마위철도, 위톄철도, 허마오철도, 톈징철도
청두그룹이완철도, 수이훙철도, 다완철도, 광다철도, 다청철도, 청두 서부순환철도, 룽황철도, 싱뤄철도, 후융철도, 충칭 동부순환철도
쿤밍그룹수이훙철도, 웨이훙철도, 판시철도, 쿤스철도, 쿤허철도, 쿤양철도, 광다철도, 다린철도
란저우그룹시핑철도, 바오중철도, 톈핑철도, 주어철도, 핑루철도, 훙후이철도
우루무치그룹린하철도, 우장철도, 아푸준철도, 커타철도, 보저우지선철도, 쿠어철도, 아아철도, 투무수커철도
칭짱그룹차카철도
}}}}}}}}} ||

파일:중국국가철로그룹 로고.pn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30> 파일:China_Railways.svg투자철도
图佳铁路
Tumen-Jiamusi Railway
}}}
노선 정보
기점 투먼역
종점 자무쓰역
역 수 47
개업일 1935년 7월 1일
소유자 파일:chinagov.png
중국 정부
운영자 파일:중국국가철로그룹 로고.png
중국국가철로집단
노선 제원
노선연장 580.7㎞
궤간 1435㎜
선로구성 단선
무단장-린커우 복선
사용전류 비전철화
폐색방식 반자동폐색

1. 개요2. 역사3. 운행형태4. 역 목록5. 지선
5.1. 보치철도

[clearfix]

1. 개요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투먼역헤이룽장성 자무쓰시를 잇는 철도이다.

2. 역사

1927년 중국에서 이 노선을 구상하였으나, 자금난 문제로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1927년 10월 남만주철도주식회사장쭤린의 교섭으로 맺어진 만몽신오로협약(滿蒙新五路協約)를 통해 일본이 철로부설권을 획득하여 실행에 옮긴다. 원래는 연길-하이린 구간으로 부설하려고 하였으나, 1933년 8월 20일 노선이 도문-자무쓰로 수정되었다.
일본은 만주를 점령하면서 만주의 석탄과 목재를 자무쓰에서 도문, 조선의 나진, 청진을 거쳐 일본으로 운반하려고 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일본은 투자철도의 건설을 시작한다.

3. 운행형태

여객열차는 둥징청-무단장, 무단장-자무쓰, 무단장-지시 구간을 운행한다. 무단장-자무쓰 구간을 다니는 열차는 자무쓰역을 넘어 허강역까지 운행한다. 투먼-둥징청 구간은 여객열차가 운영하지 않는다.

4. 역 목록

km 역명 분기선 소재지
남양역 함북선 함경북도 온성군[1]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투먼 철로통상구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
0.0 투먼
图们
도문
투훈철도 지린성 연변조선족자치주
5.3 투먼베이
图们北
도문북
창훈고속철도
창투철도
16.0 스셴
石岘
석현
54.6 왕칭
汪清
왕청
싱닝철도
67.1 다싱거우
大兴沟
대흥구
80.3 먀오링
庙岭
묘령
92.0 톈차오링
天桥岭
천교령
115.9 춘양
春阳
춘양
136.0 라오쑹링
老松岭
로송령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146.6 루다오[2]
鹿道
록도
157.5 더우거우쯔
斗沟子
168.1 마롄허
马莲河
179.5 둥징청
东京城
193.3 스터우
石头
206.2 란강
兰岗
217.5 닝안
宁安
227.0 원춘
温春
241.2 하이랑
海浪
242.8 카루툰
卡路屯
249.2 무단장
牡丹江
하무고속철도
빈쑤이철도
251.6 푸장전
富江镇
256.9 바다거우
八达沟
261.4 화린
桦林
272.9 자이허
柴河
294.2 주자거우
朱家沟
317.6 바오린
宝林
329.2 추산
楚山
339.3 샹양
向阳
359.2 린커우
林口
린미철도
368.6 구청전
古城镇
376.1 산허
山河
387.7 아허
亚河
400.6 칭산
青山
410.2 얼룽춘
二龙村
417.7 후산
虎山
425.6 포링
佛岭
치타이허시
437.8 퉁톈툰
通天屯
445.4 보리
勃利
보치철도
456.7 다시
大西
465.8 싱춘
杏树
476.0 워컨
倭肯
504.8 화난
桦南
화양철도 자무쓰시
526.9 멍자강
孟家岗
547.3 선자뎬
申家店
568.8 창파툰
长发屯
574.9 둥자무쓰
东佳木斯
무자고속철도
자푸철도
580.7 자무쓰
佳木斯
하자철도
쑤이자철도

5. 지선

5.1. 보치철도

보리역치타이허역을 잇는 길이 36.1km의 철도이다. 보리탄광의 개발을 위해 1958년 11월 20일에 완공되었다.
[1] 이북5도 기준 종성군[2] 선양그룹하얼빈그룹의 경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