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압록강과 두만강을 따라가는 중국 철도 노선의 통칭이다. 경로는 다롄역-단둥역-퉁화역-창바이산역-투먼베이역-무단장역-쑤이펀허역이며, 총 길이는 1520km이다. 구간별로 단다도시간철도, 선단철도, 펑상철도, 퉁관철도, 메이지철도, 야다철도, 훈바이철도, 바이허철도, 허룽철도, 차오카이철도, 창투철도, 투자철도, 빈쑤이철도로 부른다.2. 단다도시간철도
다롄-단둥 구간단다도시간철도 참고
3. 선단철도
단둥-펑황청 구간선단철도 참고
4. 펑상철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 | 펑상철도 凤上铁路 Fenghuangcheng-Shanghekou Railway | }}} | |
노선 정보 | ||||
기점 | 펑황청역 | |||
종점 | 상허커우역 | |||
역 수 | 17 | |||
개업일 | 1943년 5월 | |||
소유자 | 중국 정부 | |||
운영자 | 중국철도선양그룹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54㎞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전구간 단선 | |||
사용전류 | 비전화 |
압록강을 넘어 평북선과 연결된다. 여객열차는 창뎬역에서 종착하므로 압록강을 넘어 평북선으로 가는 여객열차는 없다.
km | 역명 | 분기선 | 소재지 |
0 | 펑황청 凤凰城 | 선단철도 | 펑청시 |
14 | 아이허 叆河 | ||
18 | 관자 官家 | ||
31 | 다푸 大堡 | ||
42 | 스청 石城 | ||
48 | 톄포쓰 铁佛寺 | ||
54 | 볜거우 边沟 | ||
59 | 퉁자 佟家 | ||
66 | 먀오양 庙阳 | ||
70 | 톈차오 天桥 | ||
82 | 관수이 灌水 | 퉁관철도 | 콴뎬 만족 자치현 |
94 | 룽좌거우 龙爪沟 | ||
111 | 콴뎬 宽甸 | ||
123 | 탄뎬 坦甸 | ||
134 | 융뎬 永甸 | ||
143 | 창뎬 长甸 | ||
154 | 상허커우 上河口 |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상허커우 철교 /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 |||
청수 | 평북선 | 평안북도 삭주군 |
5. 퉁관철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 | 퉁관철도 通灌铁路 Tonghua-Guanshui Railway | }}} | |
노선 정보 | ||||
기점 | 관수이역 | |||
종점 | 퉁화역 | |||
역 수 | 10 | |||
개업일 | 2012년 9월 26일 | |||
소유자 | 중국 정부 | |||
운영자 | 중국철도선양그룹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79.54㎞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전구간 단선 | |||
사용전류 | 비전화 | |||
폐색방식 | 반자동폐색 |
랴오닝성과 지린성 사이 오녀산성 일대를 지난다.
km | 역명 | 분기선 | 소재지 |
0 | 관수이 灌水 | 펑상철도 | 랴오닝성 단둥시 콴뎬현 |
22 | 톈차오거우 天桥沟 | ||
44 | 야허 雅河 | ||
57 | 花博山 | 번환철도 | 랴오닝성 번시시 환런현 |
66 | 다야허 大雅河 | ||
88 | 우뉘산[1] 五女山 | ||
98 | 환룽후 桓龙湖 | ||
117 | 구청쯔 古城子 | ||
133 | 다취안위안 大泉源 | 지린성 퉁화시 퉁화현 | |
159 | 퉁화셴 通化县 | ||
180 | 퉁화 通化 | 메이지철도 | 지린성 퉁화시 |
6. 메이지철도
퉁화-야위안 구간메이지철도 참고
7. 야다철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 | 야다철도 鸭大铁路 Yayuan-Dalizi Railway | }}} | |
노선 정보 | ||||
기점 | 야위안역 | |||
종점 | 다리쯔역 | |||
역 수 | 8 | |||
개업일 | 1940년 7월 10일 | |||
소유자 | 중국 정부 | |||
운영자 | 중국철도선양그룹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14㎞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전구간 단선 | |||
사용전류 | 비전화 | |||
폐색방식 | 반자동폐색 |
여객열차의 종점인 린장역에서 압록강을 건너면 중강진이지만, 중강진에는 철도가 없다.
km | 역명 | 분기선 | 소재지 |
0 | 야위안 鸭园 | 메이지철도 | 퉁화시 |
8.8 | 구위안 菇园 | ||
16.9 | 다오칭 道清 | 바이산시 | |
24.7 | 라오잉 老营 | ||
37.6 | 바이산시 白山市 | 훈바이철도 | |
46.6 | 스런 石人 | ||
61.6 | 야오린 遥林 | ||
100.0 | 린장 临江 | ||
114.4 | 다리쯔 大栗子 |
8. 훈바이철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 | 훈바이철도 浑白铁路 Hunjiang-Changbaishan Railway | }}} | |
노선 정보 | ||||
기점 | 바이산시역 | |||
종점 | 창바이산역 | |||
역 수 | 21 | |||
개업일 | 1974년 9월 | |||
소유자 | 중국 정부 | |||
운영자 | 중국철도선양그룹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217.1㎞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전구간 단선 | |||
사용전류 | 비전화 | |||
표정속도 | 70km/h |
백두산 북서쪽 기슭을 지나는 철도이다.
km | 역명 | 분기선 | 소재지 | |
0 | 바이산시 白山市 | 야다철도 | 바이산시 | |
10 | 짜쯔 咋子 | |||
13 | 바바오 八宝 | |||
16 | 장위안 江源 | |||
27 | 타이양차 太阳岔 | |||
36 | 다둥 大东 | |||
47 | 완거우 湾沟 | |||
61 | 시촨 西川 | |||
74 | 쑹수전 松树镇 | |||
80 | 융훙 永红 | |||
93 | 둥취안 氡泉 | |||
99 | 셴런차오 仙人桥 | 바이산시 | 푸쑹현 | |
111 | 황니웨이쯔 黄泥崴子 | |||
112 | 주바오강 珠宝岗 | |||
121 | 샤오산 小山 | |||
127 | 쑹장허[2] 松江河 | 선바이고속철도(예정) 위쑹철도 | ||
류마오거우 柳毛沟 | ||||
141 | 반스허 板石河 | |||
151 | 취안양 泉阳 | |||
168 | 잉비산 影壁山 | |||
176 | 라쯔허 砬子河 | |||
187 | 루수이허 露水河 | |||
193 | 얼차 二岔 | |||
206 | 火炬沟 | |||
217 | 창바이산 长白山 | 둔바이고속철도 선바이고속철도(예정) 바이허철도 | 옌볜 조선족 자치주 | 안투현 |
9. 바이허철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 | 바이허철도 白和铁路 Baihe-Helong Railway | }}} | |
노선 정보 | ||||
기점 | 허룽역 | |||
종점 | 창바이산역 | |||
역 수 | 6 | |||
개업일 | 1974년 9월 | |||
소유자 | 중국 정부 | |||
운영자 | 중국철도선양그룹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03㎞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전구간 단선 | |||
사용전류 | 비전화 |
대홍단군 북쪽에서 두만강을 따라간다.
전구간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소재
km | 역명 | 분기선 | 소재지 |
0 | 허룽 和龙 화룡 | 허룽철도 허핑철도 | 허룽시 |
17 | 스리핑[3] 十里坪 십리평 | ||
37 | 전터우펑 枕头峰 침두봉 | ||
57 | 황거우시 荒沟西 황구서 | 안투현 | |
83 | 쑹장전 松江镇 송강진 | ||
103 | 창바이산 长白山 | 둔바이고속철도 선바이고속철도(예정) 훈바이철도 |
10. 허룽철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 | 허룽철도 和龙铁路 Helong-Longjing Railway | }}} | |
노선 정보 | ||||
기점 | 룽징역 | |||
종점 | 허룽역 | |||
역 수 | 9 | |||
개업일 | 1940년 7월 | |||
소유자 | 중국 정부 | |||
운영자 | 중국철도선양그룹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52.4㎞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전구간 단선 | |||
사용전류 | 비전화 | |||
촤고속도 | 60km/h | |||
폐색방식 | 반자동폐색 |
회령시 북서쪽에서 두만강을 따라간다.
전구간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소재
km | 역명 | 분기선 | 소재지 |
0 | 룽징 龙井 룡정 | 차오카이철도 | 룽징시 |
10 | 둥청 东城 동성 | 허룽시 | |
밍신 明新 | |||
20 | 룽수이핑 龙水坪 룡수평 | ||
훙치 红旗 | |||
31 | 바자쯔 八家子 팔가자 | ||
하이란허 海兰河 | |||
41 | 관디 官地 관지 | ||
52.4 | 허룽 和龙 화룡 | 바이허철도 허핑철도 |
11. 차오카이철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 | 차오카이철도 朝开铁路 Chaoyangchuan-Kaishantun Railway | }}} | |
노선 정보 | ||||
기점 | 차오양촨역 | |||
종점 | 룽징역 | |||
역 수 | 2 | |||
개업일 | 1934년 3월 | |||
소유자 | 중국 정부 | |||
운영자 | 중국철도선양그룹 | |||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60㎞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전구간 단선 | |||
사용전류 | 비전화 |
종점인 카이산툰역에서 두만강을 건너면 삼봉역이지만, 철도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
전구간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소재
km | 역명 | 분기선 | 소재지 |
0 | 차오양촨 朝阳川 조양천 | 창투철도 | 옌지시 |
10 | 三峰洞 | 룽징시 | |
19 | 룽징 龙井 룡정 | 허룽철도 | |
29 | 东盛涌 | ||
41 | 八道河 | ||
58 | 开山屯 | ||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두만강 /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 |||
60.6 | 삼봉 | 함북선 | 함경북도 온성군 (이북5도 기준 종성군) |
12. 창투철도
차오양촨-투먼베이 구간창투철도 참고
13. 투자철도
투먼베이-무단장 구간투자철도 참고
14. 빈쑤이철도
무단장-쑤이펀허 구간빈쑤이철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