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22:16:42

차랑고

인도유럽의 현악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1.75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word-break:keep-all;"
<colbgcolor=#e2dcd6,#6c5244> 찰현악기 바이올린
바이올린 비올리노 피콜로 · 바로크 바이올린 · 오현 바이올린 · 피들 · 콘트라 · 슈트로비올 · 로트피올 · 하링펠러 · 알렉산더 바이올린 · 일렉트릭 바이올린
비올라 알토 바이올린 · 비올라 폼포자 · 비올라 프로폰다
첼로 베이스 바이올린 · 바리톤 바이올린 · 첼로 다 스팔라 · 첼로네 · 일렉트릭 첼로 · 아르페지오네
더블베이스 콘트라베이스 · 옥토베이스
비올
비올 비올라 다 감바 · 바리톤 · 디비전 비올 · 리라 비올 · 파르드쉬 드 비올 · 비올라 다모레 · 비올로네 · 리로네 · 비웰라 데 아르코
파생 비엘 · 리라 다 브라치오
리라/레밥
리라 비잔티움식 리라 · 크레테식 리라 · 칼라브리아식 리라 · 가둘카 · 리예리차 · 포셰트 · 구덕
레밥 레밥 · 레벡 · 라베카 · 카마이차 · 카만체 · 가이착
휠 피들
드렐라이어 · 돈스코이 릴레이 · 덜시거디 · 드레옐리레 · 렐리아 · 니네라 · 비올라노 비르투오소 · 휠 하프 · 비올라 오르가니스타 · 하모니코드 · 보겐클라피어
기타 찰현악기
요우힉코 · 크루즈 · 니켈하르파 · 탈하르파 · 구슬레 · 사랑기 · 사린다 · 야이바하르
발현​악기 지터계
지터 칸텔레 · 코라
류트
류트 우드 · 라바브 · 시타르 · 테오르보 · 만돌린 · 발랄라이카 · 반두라 · 우쿨렐레 · 차랑고 · 밴조 · 아이리시 부주키
사즈 사즈 · 부주키
기타 기타 · 클래식 · 어쿠스틱 · 일렉트릭 · 베이스 · 일렉트릭 베이스 · 바리톤
하프
하프 하프
이외 티체스트 베이스 · 하프시코드
타현​악기
덜시머 덜시머 · 침발롬
피아노 클라비코드 · 피아노 · 그랜드 · 업라이트
이외 베림바우 · 하르페지
}}}}}}}}}

1. 개요2. 들어보기


파일:차랑고.jpg
(이미지 출처는 위키미디어 커먼즈)

1. 개요

차랑고(Charango)는 남아메리카의 전통 현악기이다. 지역별로 여러 이름이 또 있는데, 아르헨티나에서는 물리타(Mulita) 또는 타투(tatu), 볼리비아페루에서는 키르킨추(Kirkinchu)나 키르키(kirki)라고 한다. 볼리비아에서는 또 킨켈라(Quinquela)라고도 부른다. 안데스의 전통 음악들과 누에바 칸시온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악기이다.

전통적으로는 아르마딜로의 껍질로 울림통을 만들었지만, 지금은 목재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간혹 아르마딜로의 껍질로 울림통을 만들 경우 자연사한 아르마딜로의 껍질을 쓰는 경우가 많다.

콘키스타도르의 아메리카 정복 이후, 그들이 가져왔던 유럽의 비우엘라[1]만돌린 등의 기타형 현악기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단 형태상으로는 비우엘라와 가장 연관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지금의 모양으로 굳어진 것은 18세기 경.

12현 기타가 6쌍의 현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차랑고는 5쌍 10현을 사용한다. G4/G4 - C5/C5 - E5/E4 - A4/A4 - E5/E5로 튜닝한다. 세 번째 현의 튜닝만 한 옥타브 차이가 난다.

칠레아우구스토 피노체트 군사 정권은 차랑고의 사용을 금지했었다. 당시 '민중의 음악'을 발굴하고자 했던 누에바 칸시온 음악가들은 차랑고와 같은 전통악기를 적극 활용하였고 또 살바도르 아옌데 사회주의 정권의 적극적인 지지자들이었다. 피노체트는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후 좌익 세력을 말소하는 정책의 일환으로 누에바 칸시온을 없애버리고자 했던 것.

2. 들어보기


누에바 칸시온 밴드인 야푸(Illapu)의 연주곡 <차랑고 연습곡(Estudio para charango)>. 1972년 발매된 데뷔 앨범 <안데스의 음악(Música Andina)>에 실린 트랙이다.


[1] Vihuela. 15~16세기에 이베리아이탈리아에서 쓰인 6현의 현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