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곡가 미셸 코레트(1707~1795)의 아다지오[1] |
프랑스의 비올 연주자 샤를 돌레(1735~1755)의 소나타 |
1. 개요
비올족의 하나.1700년경 프랑스의 부녀자들은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것이 사회 통념상 용인되지 않은 것에 분개해 당시로서도 사라져 가고 있던 비올족 악기들을 캐내 바이올린과 같은 음역으로 개조하였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것이 파르드쉬 드 비올이다. 다른 비올족 악기들과 같이 바이올린족 악기에 밀려 1770년대 즈음에 그 역할이 대폭 축소되었다.
튜닝에 따라 6현, 또는 G3 현을 빼고 나머지 5현만을 달아 놓은 것도 있다. 비올족에서 가장 높은 음을 내지만 정작 비올 콘소트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바이올린보다 울림통이 더 두꺼운 편이다.
한때 미국 고음악 학회에서는 이 악기를 바이올린 대용으로 썼다.
2. 퀸톤
트레블 퀸톤 튜닝. 가끔씩 파르드쉬 드 비올도 이렇게 튜닝한다.
테너 퀸톤 튜닝. 거의 쓰지 않는다 .
여담으로, 퀸톤이라는 현악기가 있는데, 이것은 단순한 5현 바이올린이 아니다. 울림통은 더블베이스와 같이 생겼고, 튜닝은 테너 CGDGC, 소프라노 GDADG이다. 이 악기의 사용법에 대한 논란이 인 적이 있었는데, 울림통 접합 방식이 바이올린과 같고, 두께도 바이올린에 가까워 어깨에 바쳐 연결하는 것으로 확정지어졌다. 아마 프랑스 쪽에서 파르드쉬 드 비올이 만들어지자 부녀자들의 음악에 대한 욕망을 알아차린 독일-오스트리아의 현악기 장인들이 파르드쉬 드 비올을 모델로 만들어낸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추측은 추측일 뿐, 이제는 거의 사라진 악기이며, 연주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