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d32a09> | }}} | |||||
[[틀:창원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2a09; font-size: 16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d32a09><colcolor=#fff> 급행좌석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BRT급행 | 3000 | 3001 | 3002 | 3003 |
3004 | 3005 | 3006 |
직행좌석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710 | 720 | 730 | 740 | 770 |
읍면노선 외 환승 인정 시간 25분 적용 |
창원버스 차량 |
[clearfix]
1. 노선 정보
창원시 직행좌석버스 770번 | |||||
| |||||
기점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퇴촌동(창원대학교종점) | 종점 | 경상남도 김해시 부곡동(장유고등학교) | ||
종점 행 | 첫차 | 05:45 | 기점 행 | 첫차 | 05:40 |
막차 | 22:44 | 막차 | 22:40 | ||
평일배차 | 17~21분 | 주말배차 | 28~34분 | ||
운수사명 | 대운교통 동양교통 창원버스 | 인가대수 | 10대[1][2] | ||
노선 | 창원대학교종점 - 창원대삼거리 - 사림동 - 까치아파트 - 운동장사거리 - 트리비앙아파트 - 창원시청(정우상가) - 상남시장(은아아파트) - 대동백화점 - 상남도서관(한림.우성아파트) - 여성회관창원관 - 성산구청 - 창원터널 - (← 능동삼거리 ← 한림리츠빌 ← 한림리츠빌 ← 능동삼거리 ←) - 장유도서관 - 갑오마을 - 대청초등학교 - 삼문마을 - 무계교 - 장유농협 - 대동1단지 - 장유초등학교 - (→ 코아상가 → 대동2단지 → 장유고등학교 → 장유석봉마을 →) 이후 역순 | ||||
밑줄친 구간은 S-BRT 경유 구간이다. |
2. 개요
대운교통 · 동양교통 · 창원버스에서 공동배차하여 운행하는 창원시의 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9.5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구 59번이 전신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구 98번(현 김해 98번)에 더 가깝다.
- 버스노선 대개편 전 창원-장유동 간 노선을 두고 창원시와 김해시가 신경전을 벌였던 바 있다. 원래 창원-장유 간은 97번, 98번이 창원시와 김해시의 공동배차로 운영되었지만 김해시에서 독단적으로 이들 노선을 김해 시내로 연장하자 창원시가 이에 반발해 기존 창원 순환버스인 58번과 59번을 장유로 연장하고 97, 98번에서 철수했다. 그러자 김해시는 창원시가 운행하던 58, 59번에 숟가락을 얹어서 97, 98번을 단독 운행하고 창원과 58, 59번을 공배하다가 창원시는 2005년 노선 전면 개편 때 기존 58번과 59번을 각각 171번과 170번으로 변경했는데 이후 김해시는 58번과 59번마저도 똑같이 김해 시내로 연장해 운행했다... 이후로는 노선 번호 변화 없이 해당 구간을 운행하는 58번, 59번, 97번, 98번은 현재도 김해시 노선으로 남아 운행 중이다.
- 창원터널 화물차 폭발 사고로 인해 2018년 5월 18일에 모든 차량이 좌석차량으로 교체되었고 입석금지가 시행되었다. 관련 게시물
- 10대로 증차되면서 출퇴근시간 탄력배차도 도입되었으나 여전히 일 운행횟수는 48회 그대로였고 탄력배차시간이 실제 출퇴근 패턴과 맞지 않아 민원이 계속해서 올라왔었다. 그래서인지 2018년 9월 3일부터 60회 운행으로 증회되어 운행하게 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23년 6월 10일 노선개편으로 노선번호가 770번으로 변경되고, 간선버스에서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4. 특징
- 모든 차량이 이 노선에만 배차되는 창원시에서 보기 드문 형태의 노선이며 창원시 시내버스 중 유일하게 입석금지를 시행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때문에 창원터널 전 정류장에 내릴 경우 이동 도중 만석 시 승차거부가 생기지 않도록 미리 자리를 양보해야 한다.[3]
- 전 차량이 좌석형 시내버스이며 전면유리에 좌석있음/좌석없음 표시가 있다.[4]
- 창원시 시내버스 노선 중 김해시 장유로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5] 창원과 장유를 오가는 노선들 중 배차간격이 가장 짧고 굴곡도 적기 때문에 그만큼 수요도 많다. 통학 수요가 많은 노선으로 주말과 방학기간 동안에는 감차한다. 구 창원시 지역과 장유를 잇는 노선 특성상 구 마산시 소속이었던 업체는 개편 이전과 개편 직후에는 참여했으나 현재는 참여하지 않는다.
- 이전에는 차돌리기로 인해 창원에서 가장 노후된 차량이 투입되는 노선 중 하나였으나, 2017년 이후로는 유로 6 신형 차량이 투입되어 운행했고, 창원터널 화물차 폭발 사고 이후엔 모든 차량이 좌석형 차량으로 교체되었으며 입석금지까지 실시 중이다.
- 최근 창원시에서 부착하는 노선도에 지선버스(초록색)로 표시되는 경우가 가끔 보이는데 엄연한 간선버스(파란색)이다. 다만 재도색을 하지 않고 초록색으로 다니는 차량이 있긴 했었다. 현재는 전 차량 좌석도색으로 재도색되었다.
- 창원대 방면 한정으로 능동삼거리, 한림리츠빌을 경유한다.
- 2023년 6월 10일 개편으로 평소 창원시내구간을 이용한 승객들이 버스요금 변경(일반요금에서 좌석요금으로 형간전환)으로 인해 승객수가 어느 정도 줄어들었다.[6] 또한 이때부터 국가유공자 무임승차가 불가해졌으며 장유-창원을 오가는 국가유공자 승객은 운임을 지불하고 이동하거나 진영으로 우회해야 한다.
- 간선버스 출신 노선이라 그런지 타 700번대 좌석버스와 달리 구 752번처럼 완행으로 운행한다. 다만 시청정문 정류장은 무정차 통과하는 것으로 보인다.
- 창원시 좌석버스들 중 유일한 시계외버스이기도 하다.
- 기점에서 종점까지의 소요시간은 60분이다.
- 간혹 창원터널쪽 정체로 인해 해당 노선에 버스들이 같이 오는경우가 있다.
- 2024년 7월 31일 10시쯤 현대 저상버스를 배차한 적이 있다. [7]
3006번에 차량이 자주 고장나서 이런 현상이 생긴거다.
5. 시간표
창원버스정보시스템5.1. 노선
창원시 직행좌석버스 770번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장유고등학교 630034 | ||||||||||
석봉마을[8] 630031 | ↓ | ← | ↑ | 대동2단지 630199 | |||||||
- | 코아상가 630025 | ||||||||||
이상 회차 구간 | |||||||||||
<colbgcolor=#ffffff,#191919> 장유초등학교 630023 | ↓ | ↑ | <colbgcolor=#ffffff,#191919> 장유초등학교 630024 | ||||||||
대동1단지 630027 | 대동1단지 630028 | ||||||||||
장유농협 630038 | ↓ | ↑ | 장유농협 630037 | ||||||||
무계교 630040 | 무계교 630198 | ||||||||||
신광교회 630186 | ↓ | ↑ | 쌍용예가 630044 | ||||||||
삼문마을 630186 | 삼문마을 630185 | ||||||||||
장유병원 630052 | ↓ | ↑ | 장유병원 630053 | ||||||||
대청고등학교 630056 | 대청고등학교 630057 | ||||||||||
갑오마을 630054 | ↓ | ↑ | 갑오마을 630055 | ||||||||
장유문화센터 630051 | 장유문화센터 630050 | ||||||||||
능동삼거리 630045 | ↓ | ↑ | - | ||||||||
능동중학교 630041 | - | ||||||||||
능동중학교 630042 | ↓ | ↑ | - | ||||||||
능동삼거리 630047 | - | ||||||||||
창원터널 | |||||||||||
- | ↓ | ↑ | 불모산주유소 218829 | ||||||||
삼정자내리마을 218827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창원1사업장 218832 | ||||||||||
창원경상대학병원 218823 | 한국지엠.창원경상대학병원 218830 | ||||||||||
성산구청 218821 | ↓ | ↑ | 성산구청 218828 | ||||||||
- | 남산아파트 218826 | ||||||||||
남산공원환승센터 218819 | ↓ | ↑ | 남산공원환승센터 218824 | ||||||||
남산중학교 420617 | 남산중학교 200301 | ||||||||||
여성회관창원관 200304 | ↓ | ↑ | 여성회관창원관 200303 | ||||||||
피오르빌아파트 200403 | 더샵센트럴파크1단지 200404 | ||||||||||
남양초등학교 200401 | ↓ | ↑ | 더샵센트럴파크2단지 200402 | ||||||||
한림아파트 214220 | 상남도서관 214219 | ||||||||||
사파삼익아파트 214217 | ↓ | ↑ | 토월성원아파트 214218 | ||||||||
대동백화점 214215 | 대동백화점 214216 | ||||||||||
시민생활체육관 114229 | ↓ | ↑ | 시민생활체육관 214214 | ||||||||
은아아파트 114227 | 은아아파트 214212 | ||||||||||
창원시청 117301 | ↓ | ↑ | - | ||||||||
정우상가 114225 | 창원시청 214210 | ||||||||||
중앙고등학교 114223 | ↓ | ↑ | 중앙고등학교 214208 | ||||||||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114221 |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214206 | ||||||||||
- | ↓ | ↑ | 만남의광장.노블파크아파트 214204 | ||||||||
노블파크아파트 114219 | 창원종합운동장 214202 | ||||||||||
운동장사거리.노블파크 119902 | ↓ | ↑ | 운동장사거리.노블파크 119905 | ||||||||
럭키상가 119904 | 럭키상가 119907 | ||||||||||
까치아파트 119906 | ↓ | ↑ | 까치아파트 119909 | ||||||||
대동그린코아 119116 | 봉곡상가입구 119115 | ||||||||||
장애인복지회관입구 119118 | ↓ | ↑ | 장애인복지회관입구 119117 | ||||||||
사림동 119120 | 사림동 119119 | ||||||||||
창원의집입구 119122 | ↓ | ↑ | 창원의집입구 119121 | ||||||||
창원대삼거리 107511 | 창원대삼거리 107512 | ||||||||||
우영프라자 120502 | ↓ | ↑ | 우영프라자 120501 | ||||||||
창원대학교입구 120504 | 창원대학교입구 120503 | ||||||||||
창원대학교종점 120505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월산로 | |
장유석봉마을 ▼ | ▲ 장유고등학교 | |
능동로 | 장유로 | |
▲ 코아상가 | ||
능동로 | ||
▼ | ▲ 대청고등학교 | |
내덕로 | ||
대동1단지 ▼ | ▲ | |
금관대로599번길 | ||
장유농협 ▼ | ▲ 대동1단지 | |
장유로301번길 | ||
무계교 ▼ | ▲ 장유농협 | |
장유로 | ||
쌍용예가 ▼ | ▲ 무계교 | |
장유로334번길 | ||
▼ | ▲ 삼문마을 | |
삼문로 | ||
대청초등학교 ▼ | ▲ | |
반룡로 | ||
갑오마을 ▼ | ▲ 대청고등학교 | |
대청로 | ||
▼ | ▲ 대청1교 | |
금관대로 | ||
삼정자내리마을 ▼ | ▲ | |
창원대로 | ||
남산중학교 ▼ | ▲ 남산버스정류소 | |
가양로 | ||
피오르빌아파트 ▼ | ▲ 여성회관창원관 | |
가음로 | ||
한림아파트 ▼ | ▲ 더샵센트럴파크 2단지 | |
원이대로 | ||
운동장사거리 ▼ | ▲ 창원종합운동장 | |
충혼로 | ||
대동그린코아 ▼ | ▲ 까치아파트 | |
창이대로 | ||
창원대삼거리 ▼ | ▲ 창원의집 입구 | |
사림로 | ||
우영프라자 ▼ | ▲ 창원대삼거리 | |
퇴촌로 | ||
창원대학교종점 ▼ | ▲ 창원대학교입구 | |
창원대학로 |
6. 둘러보기
장유신도시 경유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직행좌석 | |
좌석 | 58[A] 59[A] 97[A][B] | |
98[A][B] 770[A][B]창원 | ||
일반 | 13[B] 15[B] 21[A] | |
21-1[A][B] | ||
44[A][B] | ||
[A] 김해관광유통단지 미경유 [B] 율하지구 미경유 |
창원시 - 김해시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color=#fff,#191919> 좌석 | 770창원 |
일반 | 35창원 45창원 | |
마을 | 3창원 |
창원대학교 경유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창원대학교 종점(120505), 창원대동문(108920), 창원중앙역[종점](108913) | ||||
좌석 | 3005[정문] | ||||
간선 | 150[중앙역] | 156[정문] | |||
지선 | 214 | ||||
창원대학교 종점(120505), 창원대학교입구(120503, 120504) | |||||
<colcolor=#fff> 좌석 | 3006[정문] | 770[정문] | |||
간선 | 100 | 101 | |||
110 | 111 | ||||
122 | 152[정문] | ||||
김해 | 58[정문] | 59[정문] | |||
97[정문] | 98[정문] | ||||
창원대학교입구(120503, 120504) | |||||
좌석 | 730 | ||||
창원대동문(108920), 창원중앙역[종점](108913) | |||||
지선 | 215 | 220[중앙역] | |||
221[중앙역] | 222[중앙역] | ||||
[정문] 창원대학교종점에서 정차 후 출발 / [중앙역] 창원중앙역에서 정차 후 출발 | }}}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84e0f><tablebgcolor=#e84e0f> 남산시외버스정류소 경유 버스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남산버스정류소(218824) | |
좌석 | ||
간선 | ||
지선 | ||
김해좌석 | ||
남산공원환승센터(218819) | ||
좌석 | ||
간선 | ||
지선 | ||
김해좌석 | }}}}}}}}} |
[1] 대운교통 4대, 동양교통 4대, 창원버스 2대[2] 토요일 / 공휴일 7대 운행[3] 당연히 김해 58, 59, 97, 98번과 같이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닌 시내도로에서는 입석 운행이 가능하다.[4] 앞서 서술했듯이 입석금지를 시행하기 때문이다.[5] 참고로 이 노선 이외 김해시로 가는 창원시 시내버스는 진영으로 가는 노선뿐이다. 그마저도 창원 버스 3은 대산면에서 출발하고 나머지 노선들은 자여마을, 무점마을을 경유하는 걸 보면 진영읍 주민 수요보다는 동읍, 대산면 외곽 마을에서 진영읍으로 가는 창원 시민 수요를 염두에 둔 듯하다.[6] 170번 시절에도 입석금지로 인해 좌석버스로 운행했고 형간전환 이후에도 통과하는 정류소가 더 생기지도 않았다. 즉 사실상 색놀이로 300원 인상된 거나 다름없다. 김해시 시내버스는 1500원이어서 변경 전에는 요금이 별 차이가 없었는데 인상되고 나서 요금차이가 크게 벌어지게 되었다. 770번의 메리트는 자주 오고, 창원시에서 환승 횟수가 한 번 더 주어진다는 것이다. 소요시간의 경우 창원대 방향 한정 능동삼거리 경유로 인해 창원→장유는 770번이 앞서고, 장유→창원은 97, 98번이 앞선다.[7] 해당차량은 창원버스 소속에 저상 예비차량 이다. 이 때 좌석 예비차량이 이 노선에 운행하고 있어서 어쩔수 없이 투입이 되었다.[8] 장유고등학교 정류소는 편도 1차선 도로라 버스를 세워둘 수가 없어 휴식 시에는 이 정류소 앞에 버스를 세운다. 안내방송도 이 정류소에서 끊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