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11:51:39

창원 버스 3001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d32a09>
파일:창원시 CI_White.svg
}}}
[[틀:창원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32a09; font-size: 16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d32a09><colcolor=#fff> 급행좌석 {{{#!wiki style="margin: -16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BRT급행
3000 3001 3002 3003
3004 3005 3006
}}} ||
직행좌석 {{{#!wiki style="margin: -16px -11px" 710 720 730 740 770
}}} ||
읍면노선 외 환승 인정 시간 25분 적용
}}}}}}}}} ||

파일:동양_1033_3001.jp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5. 시간표6. 연계 철도역

1. 개요

동양교통에서 운행하는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4.6km다.

2. 노선 정보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300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창원3001.png
기점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대방동(대방동종점) 종점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무동리(STX칸1차아파트후문)
종점행 첫차 06:00 기점행 첫차 06:00
막차 23:00 막차 23:00
배차간격 평일 31~46분 주말/공휴일 57~75분
운수사명 동양교통 인가대수 4대[1]
노선 대방동종점 - 남산초등학교 - 남양초등학교(더샵센트럴파크2단지) - 상남도서관(한림.우성아파트) - 대동백화점 - 상남시장(은아아파트) - 창원시청(정우상가) - 트리비앙아파트.한국폴리텍대학 - 창원문성고등학교 - 시티7 - 농업기술센터 - 창원공업고등학교 - 창원종합버스터미널 - 동서식품 - 중방마을회관 - 감계중학교(푸르지오아파트) - 감계휴먼빌 - 감계입구 - 동전 - 무동입구 - STX칸2차아파트 - 휴먼빌1.2단지 - STX칸1차아파트후문
밑줄친 구간은 S-BRT 경유 구간이다.

3. 역사

  • 2023년 6월 10일에 창원시 시내버스 노선 전면개편으로 신설되었다.
  • 2023년 8월 26일 19번의 재운행 개시와 함께 북면온천(신촌리)~무동지구 구간이 단축되고 창원시청~대방동 구간이 연장되었으며, 허앤리병원, 의창구청, 창원역 경유에서 농업기술센터, 창원종합터미널, 동서식품 경유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당초 19번을 급행좌석으로 전환하여 신설된 노선이지만 19번이 폐선에 따른 무동, 감계지구의 반발 끝에 2달만에 운행을 재개하면서 이후로는 무동, 감계지구와 구 창원지역을 빠르게 잇는 급행 노선으로 재편되었다.
  • 신설 초기 창원역 경유 창원시청 종점 시절에는 도계광장에서 시내방향으로 가는데도 일반 시내노선이 정차하는 곳(115302)이 아닌 140번, 읍면버스, 마을버스가 정차하는 곳(115304)에 정차했다.
  • 2023년 8월 26일 이전의 창원역 경유 창원시청 종점 노선 시절에는 17번과 대부분 구간이 겹치는데다 창원역을 경유하여 소요시간이 길고 급행노선임에도 17번보다 짧은 구간을 운행하여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2] 이를 보완하고자 노선을 창원종합버스터미널 경유 및 대방동 연장으로 조정한 이후로는 북면창원대로를 거쳐 도심으로 바로 연결되어 창원종합버스터미널과 바로 연계되고[3] 도심 접근에 있어서도 시간경쟁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4]
  • 조정 이후 시내구간은 103번과 대부분 겹친다. 비싼 가격이 흠이지만 103번이 워낙 황금노선이었고 빠르고 편하게 앉아가기 위한 시내 수요도 일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조정 이후로는 창원대로의 같은 구간을 다니는 3003번과 함께 급행의 진수를 보여준다. 감계리의 마지막 정류장인 중방마을회관을 지난 뒤에는 창원터미널까지 중간에 동서식품에만 정차하여 감계리~창원터미널 구간에선 거의 직통에 가깝다. 그러나 창원터미널~명곡광장의 창이대로 구간은 730번과 똑같이 정차하여 여기서 표정속도를 약간 늦춘다.
  • 창원 버스 3000과 함께 창원시 좌석버스 노선 중 구 창원 지역 내에서만 운행하는 둘뿐인 노선이다.

5. 시간표

6. 연계 철도역


[1] 토요일, 공휴일 3대 운행.[2] 창원역으로의 이동도 27번으로 대체 가능하여 급행버스의 창원역 경유의 필요성이 부족했다.[3] 17번을 제외하면 창원공고 정류장에 하차하여 갈 수 있긴 한데 도보 거리가 길고 17번이 연계가 안되어 감계, 무동 지역 주민들의 터미널 접근이 불편했다.[4] 특히 17번이 은아아파트, 대동백화점을 미경유하므로 북면 택지지구 주민들의 상남상업지구 접근시 가장 편리하고 빠른 노선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