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8:36:40

카네모토 코지

가네모토 코지에서 넘어옴
파일:kenkabancho.jpg
<[ruby(喧嘩, ruby=けん か)][ruby(番長, ruby=ばんちょう)] / Jr. Charisma>
[ruby(金本, ruby=かねもと)] [ruby(浩二, ruby=こう じ)] / Koji Kanemoto
파일:카네모토코지프로필.jpg
링네임 King Lee[1]
3대 타이거 마스크[2]
(3代目タイガーマスク)
카네모토 코지
본명 일본명 : 카네모토 코지 ([ruby(金本, ruby=かねもと)] [ruby(浩二, ruby=こう じ)])
본명 : 김일우 (金日宇)[3]
생년월일 1966년 10월 31일 ([age(1966-10-31)]세)
신장 180cm
체중 80kg
혈액형 AB형
출생지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효고현 코베시 나가타구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이쿠에이([ruby(育英, ruby=いくえい)])고교 (졸업)[4]
오사카예술대학 (환경계획학과/학사, 유도부)
유형 슈터 + 테크니션
시그니쳐 무브 각종 킥[5], 니 어택
수면차기([ruby(水面蹴, ruby=すいめん げ)]り)
하리테, 하리테 연타
안면 워시[6]
바디 슬램[7]
문설트[8]
팔콘 애로우[9]
-마스크 벗기기-[10]
피니쉬 무브 롤링 센턴
타이거 수플렉스 홀드[11]
팔콘 애로우
문설트
코지 클러치
앵클 홀드
별명 주니어의 카리스마
(ジュニアのカリスマ)
형님 (アニキ)
싸움번장 ([ruby(喧嘩, ruby=けん か)][ruby(番長, ruby=ばんちょう)])
테마곡 QUICK AS LIGHTNING!
DOG FIGHT
Let's Go Tiger - HOT LEGS
ジャンクション 〜[ruby(旋風, ruby=せんぷう)]〜[12]
BRING IT BACK
JAGUAR'08
데뷔 1990년 11월 7일 (24세)
와카야마현 이와데시
이와데정민종합체육관[13]
신일본 키슈 투어 최종일
vs 오하라 미치요시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주요 커리어
[ 펼치기 · 접기 ]
IWGP 주니어 헤비급 챔피언 5회
IWGP 주니어 헤비급 태그팀 챔피언 4회
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 우승
(1998년, 2002년, 2009년)
슈퍼 주니어 태그 리그 우승 (2010년)
내셔널 디스트릭트 토너먼트 우승 (2006년)
UWA 세계 주니어 헤비급 챔피언 1회
UWA 세계 웰터급 챔피언 1회
NWA 인터내셔널 라이트 태그팀 챔피언 1회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 2회
GHC 주니어 헤비급 태그팀 챔피언 1회
WE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4FW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AWF 태그팀 챔피언 1회
FMW 세계 스트리트 파이트
8인 태그팀 챔피언 1회
VKF 킹 오브 레슬 나니와 챔피언 1회

1. 개요2. 커리어3. 여담4. 둘러보기

1. 개요

일본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 국적의 재일교포 프로레슬러.

2. 커리어

이쿠에이고교를 거쳐 오사카예술대학에 진학하여 환경계획학을 전공하면서 유도부 생활을 한 카네모토는 졸업 후 '의자 대왕' 쿠리스 마사노부가 운영하는 짐에서 훈련받은 후 신일본 프로레슬링에 입문하게 된다. 1990년 데뷔 전에 가진 첫 경기는 22인 배틀 로얄이었고, 11월 7일 오하라 미치요시와의 경기를 통해 정식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야마모토 히로요시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며 싱글 연패에서 탈출한다.

1991년에 멕시코로 일찌감치 무사 수행을 떠나 타이거 마스크와 비슷한 가면을 쓰고 '킹 리'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했고, 1992년에 귀국 후 3월에 신일본 창설 20주년 기념으로 카네모토가 타이거 마스크로 출전한 이래로 빅 매치마다 카네모토가 타이거 마스크로 출전했는데, 이게 팬들에게 호평을 얻으며 신규 타이거 마스크 탄생 계획이 진행되었고, 3대 타이거로 내정되었다.

1993년 카네모토를 본격적으로 타이거 마스크로 활동시키기 위해 8월 3일, 료고쿠 국기관 7연전이라는 유례없는 규모로 편성된 G1 클라이맥스 기간 중 타이거 마스크 3세로서의 시련의 7번 승부가 편성되었으나 2전 째인 와일드 페가수스 전에서 견쇄관절 탈구가 심해지며 나머지 다섯 경기가 취소되었고,[14] 이후 카네모토도 자신의 스타일과 아크로바틱한 움직임을 주체로 하는 타이거 마스크와의 갭으로 고민하다가 1년도 안 되어 복면을 벗었다. 그 후에는 미국 원정을 거쳐 심기일전하면서 타이거 마스크 시대에 갈고 닦은 발차기와 공중 살법에 러프 살법을 섞어 개화했다.

수신 선더 라이거와 마스크 VS 마스크 매치로도 격돌하지만 패하고, ICWA에 출연하면서 첫 미국무대 진출하며 제리 플라인과 경기를 갖지만 무승부로 끝나고, 니시무라 오사무와 팀을 이뤄 제리 플라인 & 제프 브래들리를 상대로 경기를 갖지만 패하면서 단체에서 쫓겨나면서 미국활동을 마무리한다.

타이거 마스크로는 더이상 활동하지 않는 카네모토 코지는 신일본에서 계속 본명으로 활동하다가 1995년애 호나가 노리오를 꺾고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하며 첫 커리어를 만든다. 몆주 후 오오타니 신지로를 상대로 IWGP 주니어 헤비웨이트 챔피언 벨트와 UWA 월드 웰터웨이트 챔피언 벨트를 건 경기에서도 승리를 거두며 더블 타이틀 홀더가 된다.

미국에 다시 출연하면서 WCW에 잠시 등장해 스캇 암스트롱과 경기를 가져 승리를 거두고, 신일본과 WCW의 합동무대에서도 경기를 갖다가 WCW에서 벌인 월드와이드에서 미스터 JL를 꺾는다. 1달후 알렉스 라이트와의 경기에서도 승리를 거둔다.

신일본 프로레슬링에서 1998년애 카네모토 코지는 야스라오카 유지와의 경기에서 기술들을 날린 과정에 오른쪽 턱골이 골절되는 사고를 치면서 야스라오카 유지는 턱골절 및 어깨 부상 등으로 결장하게 되지만 부상이 심각해 결국 은퇴로 이어진다.[15]

계속해서 싱글 및 태그팀 타이틀 경력을 늘려나가던 카네모토 코지는 격렬한 파이트 스타일로 정상자리까지 오르다가 2001년에 악역으로 전환하고, 2005년에 ZERO1에 처음으로 출연해 사사키 요시히토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고, 2007년에는 드래곤 게이트에 첫출연해서 모치즈키 마사아키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2008년에 전일본 프로레슬링에도 출연하면서 후치 마사노부와 팀을 이뤄 코지마 사토시 & 카즈 하야시를 꺾고, 이후로 ZERO1, 드래곤 게이트에도 출연하는 일이 늘다가 2009년에 프로레슬링 NOAH에도 등장하면서 수신 선더 라이거와 팀을 이뤄 카네마루 요시노부 & 히라야나기 겐바를 상대로도 승리를 거둔다.

파일:카네모토 코지 표지.jpg
2009년 5월, BOSJ 16에 B조로 출전한 카네모토는 이부시 코타, 수신 선더 라이거, 타구치 류스케, 타이치에게 승리를 거두고 키쿠치 츠요시YAMATO에게 패배하여 승점 8점을 거뒀고, 같은 8점의 이부시에게 승자승으로 앞서 조 1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 아오키 아츠시에게 6분 27초만에 패배를 안겨주고 결승에 진출한 카네모토는 A조 1위 프린스 데빗와 결승전을 치렀고, 타이거 수플렉스, 버즈쏘우 킥에 이은 변형 앵클 홀드로 19분 55초만에 승리하며 이전해 놓쳤던 BOSJ 우승을 차지함과 동시에 통산 3회 BOSJ 우승자가 되었다.

2010년에 4대 타이거 마스크와 팀을 이뤄 이시모리 타이지 & 리키 마빈을 꺾고 GHC 주니어 헤비웨이트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하고 카네마루 요시노부 & 히라야나기 겐바와의 경기를 포함해 아오키 아츠시 & KENTA에서도 승리를 거두며 챔피언 자리를 방어했다. 그러다가 아오키 아츠시 & 마루후지 나오미치에게 패하면서 태그팀 챔피언 자리를 잃고, 2011년부터 전일본 프로레슬링에 출연하는 일이 조금씩 늘기시작하는데 2011년에 신일본 & 전일본 & NOAH가 공동으로 벌인 경기에도 출전해 타나카 미노루 & KENTA & 마루후지 나오미치와 팀을 이뤄 스즈키 코타로 & 나카지마 카츠히코 & 프린스 데빗 & 타니구치 류스케를 상대로 패한다.

DDT 프로레슬링에도 출연하면서 타나카 미노루와 팀을 이뤄 케니 오메가 & HARASHIMA와의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고, 신일본 프로레슬링과 연장계약을 하지 않았음을 밝히면서 FA로써 계속 전일본 프로래슬링에서 활동하고 있었고, 2012년에 다나마 미노루와 같이 미야모토 카즈시 & 혼마 토모아키를 꺾고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에 등극한다. 야마토 히로시 & 사토 히카루에게 패해 올 아시아 태그팀 챔피언자리를 잃지만 다시 격돌해서 챔피언 벨트를 탈환해 통산 2회 챔피언에 오르고, 아오키 아츠시 & 스즈키 코타로와의 경기에서 패하며 챔피언 자리를 잃는다.

WRESTLE-1에서 활동하기 시작하고, 대일본 프로레슬링(BJW)에도 출연해 오카바야시 유지와 팀을 이뤄 하시모토 카즈키 & 카와카미 류이치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지만 나카노우에 야스후미와 팀을 이뤄서는 하시모토 카즈키 & 카와카미 류이치에게 패하고, 하시모토 카즈키와의 싱글 경기에선 승리를 거둔다. WRESTLE-1에서 활동하던 중 TNA 소속 레슬러들과도 경기를 가지는데, WRESTLE-1를 1년만 활동하고 나온다.

FA로 전환된 이후 거점을 다시 고향 코베시로 옮겼으며 이후 대일본 프로레슬링에서 활동 위주로 가다가 다른단체들에도 모습을 보이고, 2015년에는 영국의 4FW에서 오웬 피닉스를 꺾고 4FW 주니어 헤바웨이트 챔피언에 등극하며 해외활동도 병행하기 시작하고, 2017년에는 독일의 유명단체인 wXw에도 출연해 티모시 대처와도 경기를 갖지만 패하고, 프란시스 카스핀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나 바비 건스와의 경기에선 패한다.

FA였기에 DDT 프로레슬링, ZERO1, FREEDOMS, 프로레슬링 NOAH, 대일본 프로레슬링 외에도 다른단체들에서도 경기를 가지며 칸사이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다닌다.

2019년 2월 9일에 평택에서 열린 신한국 프로레슬링 X PWS KOREA 합동 흥행에 출연해 타니자키 나오키와 팀을 이뤄 조경호 & 시호를 상대로 승리를 거둔다.

3. 여담

  • 목소리가 항상 쉬어 있는데, 카네모토의 전성기였던 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에 걸친 격렬한 시합들에 따른 영향[16]으로 목이 영영 쉬어버렸기 때문이다.
  • 전성기 시절 남성에게도 인기가 없진 않았으나 여성 쪽에서 인기가 굉장했으며, 전성기 시절에는 '카네모토녀(金本女)'라고 불릴 정도로 항상 카네모토의 이름을 외치는 여성 코어 팬들이 있었다.
  • '히카루'라는 링네임으로 활동했던 전직 프로레슬러 시오야 요시미와 2009년에 결혼했지만 3년만인 2012년에 이혼했다.
  • 이후 재혼한 2번째 부인 사이에선 슬하에 아들이 있지만 2019년에 아내 폭행죄로 경찰에 체포되었는데, 다행히 2번째 아내는 부상을 당하지 않아 불기소 처분이 되었다. 사건이 벌어진 원인은 2번째 아내가 의부증으로 카네모토 코지의 핸드폰 문자를 몰래 수없이 본 것이 문제가 되어 부부간의 언쟁으로 이어졌다고 한다.
  • 한국명이 '김일성' 또는 '김일우'로 알려져 있었는데, 상기 사건으로 인한 체포 당시 '金日宇'라는 한자 표기를 포함한 본명이 공개되며 '김일우'가 맞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명이 '김일우'로 표기됨에 따라 귀화를 거치지 않고 아예 한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 같이 확인되었다.
  • 닭고기를 못 먹는다.
  • 그림이 전공은 아니지만, 예대 출신인 만큼 상당한 그림 실력을 갖추고 있다.
  • 일본 로큰롤의 대부인 야자와 에이키치의 광팬으로 입장시에는 야자와를 흉내내어 스포츠 타올을 목에 걸고 입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야자와의 히트곡 중 '형님에게 상담(兄貴に相談)'이라는 곡도 있어 카네모토의 '형님(アニキ)'이라는 애칭에 약간의 당위성을 더해주었다.
  • TUBE의 팬이기도 하며, 매년 G1 클라이맥스 시기가 되면 입장곡이 TUBE의 곡으로 변경되곤 했다.
  • 텐잔 히로요시를 '야마모토상'(야마모토씨)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는 데뷔전 자체는 카네모토 코지가 먼저였지만 입문은 텐잔 히로요시가 한달 빨랐기 때문이다. 반대로 텐잔 히로요시는 카네모토 코지를 '카네모토상'(카네모토씨)이라고 부른다.
  • 버스를 잘 못 타서, 지방 흥행에 갈 때는 아예 프로레슬링용 링 운반용 트럭에 승차하는 등 다른 교통 수단들을 이용했다고 한다.
  • 50세가 넘은 현재도 복싱 체육관을 포함한 헬스장에서 5~6시간 훈련을 하고 달리기도 대시 등을 포함해 2~3시간을 할 정도로 관리를 해오고 있으며, 체력도 훌륭한 것으로 알려졌다.

4. 둘러보기

파일:TEAM 2000.jpg
{{{#!folding 【 TEAM 2000 】 쵸노 마사히로 AKIRA 돈 프라이 nWo 스팅
스캇 노턴 3대 블랙 타이거 텐잔 히로요시 코지마 사토시
스캇 홀 고토 타츠토시 오하라 미치요시 GOKU-DO
카네모토 코지 에디 게레로 히로 사이토 마사 사이토
자도 게도 자이언트 싱 자이언트 실바
{{{#!folding 【 기타 멤버 】 객원 멤버
오니타 아츠시 스티브 윌리엄스 마이크 로툰다 짐 스틸
마이크 버튼 릭 스타이너 스캇 스타이너 치즈버거
기타 멤버
미우라 다이스케 스즈키 타카노리 마네 타카시 이노우에 쥰
야마모토 마사히로 야마사키 타케시 마에다 유키나가 나카야마 마사시
오카노 마사유키 치요타이카이 류지 요시오카 토시마사 야마다 유지
야마구치 코지 다이타 쿠사나기 츠요시 유스케 산타마리아
섹스 머신건즈 무사시마루 코우요
}}} ||
}}} ||

파일:신일본 프로레슬링 로고.svg 역대 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 우승자
1997 1998 1999
엘 사무라이 카네모토 코지 켄도 카신
2001 2002 2003
수신 선더 라이거 카네모토 코지 카키하라 마사히토
2008 2009 2010
이노우에 와타루 카네모토 코지 프린스 데빗
파일:SuperJrTagLEAGUE_torphy_20190930.jpg
NJPW 슈퍼 주니어 태그 토너먼트 우승자
창설 엘 사무라이 & 카네모토 코지
(2011)
타임 스플리터
(알렉스 셸리 & KUSHIDA)
(2012)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5성 경기 [★]
1997년
6월 5일
신일본 프로레슬링
베스트 오브 더 슈퍼 주니어 IV
결승전
_엘 사무라이_ vs 카네모토 코지


[1] 멕시코 무사수행 당시 사용했던 링네임. 타이거 마스크를 본딴 마스크를 쓰고 활동했다고 한다.[2] 1992년 무사수행에서 귀국 후 3대 타이거 마스크로 귀국했으나, 애초에 스타일이 타이거 마스크와 괴리가 심해서 본인도 고민 끝에 단 1년만에 마스크를 벗었다.[3] 한국 국적을 유지하고 있어서, 한국명이 본명이다. 본명으로 불리는 경우는 없다시피하며, 통칭 및 일본명은 카네모토 코지 ([ruby(金本, ruby=かねもと)] [ruby(浩二, ruby=こう じ)])이다.[4] 고향인 코베시 나가타구 소재. 야구, 유도, 농구 명문으로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의 영구결번으로 지정된 일본 최후의 300승 투수 스즈키 케이시를 시작으로 킨테츠의 스타 외야수 오오무라 나오유키, 한신 타이거즈 코치 후지모토 아츠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의 원클럽맨 쿠리야마 타쿠미,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내야수 야노 마사야 등이 이곳 출신이며, 유도 쪽에서는 2012 런던 패럴림픽 금메달리스트 마사키 켄토와 2020 도쿄 패럴림픽 대표 키타조노 아라미츠(둘다 약시) 등이 이곳 출신이다.[5] 로우킥, 보디킥, 버즈쏘우 킥, 소배트 등 각종 킥을 활용한다.[6] 신일본 프로레슬링 시절, 다른 재일교포 출신 레슬러 타카이와 타츠히토까지 3인이 함께 결성한 '통가리 콘즈'의 절친한 동료인 오오타니 신지로의 상징 기술로, 오오타니가 신일본을 떠났을 때 부터 카네모토가 이어받아 사용하고 있다.[7] 기본기 중 기본기이지만, 카네모토의 바디 슬램은 스탠딩식 팔콘 애로우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고각, 고속으로 상대를 내려찍는다.[8] 이전보다 각은 낮아졌지만, 60에 가까운 나이에도 사용이 가능할 정도로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고 있다.[9] 카네모토의 상징기 중 하나. 상대를 들어올린 후 바로 내리꽃으며 각이 높은 경우가 잘 없는 다른 선수들과 달리, 공중에서 잠시 상대를 멈춰놓은 후 드라이버와 비슷하게 상당한 고각으로 상대를 내리꽃는 것으로 유명하다.[10] 상대가 가면 레슬러면 거의 100의 확률로 마스크 벗기기를 시도한다.[11] 카네모토가 3대 타이거 마스크로 활동했던 시절 장착했던 피니셔로, 비록 가면은 일찍 벗었지만 이후로도 피니셔로 사용해왔다.[12] Junction ~선풍~[13] 당시에는 이와데정이었으며, 2006년 이와데시로 승격 이후 이름이 이와데시민종합체육관으로 변경됐다.[14] 남은 다섯 번의 경기는 오오타니 신지로가 이어받아서 대신 출전했다.[15] 카네모토 코지는 만약 자신과의 경기가 은퇴로 이어졌다면 야스라오카 유지에게 사과하고 싶다고 말하며 현재도 자책하고 있다.[16] 타카이와 타츠히토에게 목에 찹을 맞는 등 경기 내용도 상당히 격렬했다.[17] (プロレス界の)アニキ[★]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