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min-width: 33%" {{{#!folding [ 역대 영화제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colbgcolor=#fff,#666> 1980년대 | 33회, 34회, 35회, 36회, 37회, 38회, 39회, 40회, 41회, 42회 |
1990년대 | 43회, 44회, 45회, 46회, 47회, 48회, 49회, 50회, 51회, 52회 | |
2000년대 | 53회, 54회, 55회, 56회, 57회, 58회, 59회, 60회, 61회, 62회 | |
2010년대 | 63회, 64회, 65회, 66회, 67회, 68회, 69회, 70회, 71회, 72회 | |
2020년대 | 73회, 74회, 75회, 76회, 77회, 78회 |
}}} ||
황금카메라상 Caméra d'Or |
[clearfix]
1. 개요
칸 영화제의 공식 부문상으로, 1978년에 설립되었다.최고의 첫 장편 영화에 수여하는 상이며, 칸 영화제의 신인 감독상 역할을 하고 있다.[1]
2. 수상작
2.1. 황금카메라상
역대 시상식 | 수상작 | 감독(수상자) | 국가 |
1978년 제31회 | 《아람브리스타》 | 로버트 M. 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1979년 제32회 | 《노선 라이츠》 | 존 헨슨, 롭 닐슨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1980년 제33회 | 《애드리언의 이야기》 | 장 피에르 데니스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1981년 제34회 | 《데스페라도 시티》 | 바딤 글로브나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1982년 제35회 | 《서른 살의 죽음》 | 로맹 구필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1983년 제36회 | 《프린세스》 | 에르도스 팔 | [[헝가리| ]][[틀:국기| ]][[틀:국기| ]] |
1984년 제37회 | 《천국보다 낯선》 | 짐 자머시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1985년 제38회 | 《금지된 애정》 | 피나 토레스 | [[베네수엘라| ]][[틀:국기| ]][[틀:국기| ]] |
1986년 제39회 | 《느와르 에 블랑》 | 클레어 디버스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1987년 제40회 | 《로빈슨의 집》 | 나나 조르자제 | [[소련| ]][[틀:국기| ]][[틀:국기| ]] |
1988년 제41회 | 《살람 봄베이》 | 미라 네어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
1989년 제42회 | 《나의 20세기》 | 일디코 엔예디 | [[헝가리| ]][[틀:국기| ]][[틀:국기| ]] |
1990년 제43회 | 《얼지마 죽지마 부활할거야》 | 비탈리 카네프스키 | [[소련| ]][[틀:국기| ]][[틀:국기| ]] |
1991년 제44회 | 《토토의 천국》 | 자코 반도르말 | [[벨기에| ]][[틀:국기| ]][[틀:국기| ]] |
1992년 제45회 | 《맥》 | 존 터투로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1993년 제46회 | 《그린 파파야 향기》 | 트란 안 훙 | [[베트남| ]][[틀:국기| ]][[틀:국기| ]] |
1994년 제47회 | 《죽음과의 작은 협상》 | 파스칼 페랭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1995년 제48회 | 《하얀 풍선》 | 자파르 파나히 | [[이란| ]][[틀:국기| ]][[틀:국기| ]] |
1996년 제49회 | 《러브 세레나데》 | 셜리 바렛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
1997년 제50회 | 《수자쿠》 | 카와세 나오미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1998년 제51회 | 《슬램》 | 마크 레빈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1999년 제52회 | 《사좌》 | 무랄리 나이르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
2000년 제53회 | 《도메》 | 핫산 엑타파나 | [[이란| ]][[틀:국기| ]][[틀:국기| ]] |
《취한 말들을 위한 시간》 | 바흐만 고바디 | [[이란| ]][[틀:국기| ]][[틀:국기| ]] | |
2001년 제54회 | 《아타나주아》 | 자카리아스 쿠눅 | [[캐나다| ]][[틀:국기| ]][[틀:국기| ]] |
2002년 제55회 | 《바닷가에서》 | 쥘리 로페스 퀴발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2003년 제56회 | 《리컨스트럭션》 | 크리스토퍼 부 | [[덴마크| ]][[틀:국기| ]][[틀:국기| ]] |
2004년 제57회 | 《오르》 | 케렌 예다야 | [[이스라엘| ]][[틀:국기| ]][[틀:국기| ]] |
2005년 제58회 | 《미 앤 유 앤 에브리원》 | 미란다 줄라이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버려진 땅》 | 비묵티 자야순다라 | [[스리랑카| ]][[틀:국기| ]][[틀:국기| ]] | |
2006년 제59회 | 《그때 거기 있었습니까?》 | 코르넬리우 포룸보이우 | [[루마니아| ]][[틀:국기| ]][[틀:국기| ]] |
2007년 제60회 | 《젤리피쉬》 | 에트가 케렛, 쉬라 게픈 | [[이스라엘| ]][[틀:국기| ]][[틀:국기| ]] |
2008년 제61회 | 《헝거》 | 스티브 맥퀸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2009년 제62회 | 《삼손과 데릴라》 | 워윅 쏜톤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
2010년 제63회 | 《립 이어: 자학의 성》 | 마이클 로 |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 |
2011년 제64회 | 《아카시아》 | 파블로 지오르젤리 | [[아르헨티나| ]][[틀:국기| ]][[틀:국기| ]] |
2012년 제65회 | 《비스트》 | 벤 제틀린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2013년 제66회 | 《일로 일로》 | 안소니 첸 | [[싱가포르| ]][[틀:국기| ]][[틀:국기| ]] |
2014년 제67회 | 《파티 걸》 | 마리 아마추켈리, 클레르 뷔르게, 사무엘 테이스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2015년 제68회 | 《대지와 그늘》 | 세사르 아우구스토 아세베도 | [[콜롬비아| ]][[틀:국기| ]][[틀:국기| ]] |
2016년 제69회 | 《디빈: 여신들》 | 우다 베니야미나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2017년 제70회 | 《처음 만난 파리지엔》 | 레오노르 세라이예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2018년 제71회 | 《걸》 | 루카스 돈트[2] | [[벨기에| ]][[틀:국기| ]][[틀:국기| ]] |
2019년 제72회 | 《나의 어머니, 우리의 어머니들》 | 세자르 디아즈 | [[과테말라| ]][[틀:국기| ]][[틀:국기| ]] |
2020년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미개최 | ||
2021년 제74회 | 《무리나》 | 안토네타 알라마트 쿠시야노비치 | [[크로아티아| ]][[틀:국기| ]][[틀:국기| ]] |
2022년 제75회 | 《워 포니》 | 지나 갬멀, 라일리 키오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2023년 제76회 | 《노란 누에고치 껍데기 속》 | 팜 티엔 안 | [[베트남| ]][[틀:국기| ]][[틀:국기| ]] |
2.2. 스페셜 멘션
황금카메라상을 수상하지는 못했으나 스페셜 멘션(특별 언급)을 받은 작품이다.역대 시상식 | 수상작 | 감독(수상자) | 국가 |
1989년 제42회 | 《월러의 마지막 여행》 | 크리스티안 바그너 | [[독일| ]][[틀:국기| ]][[틀:국기| ]] |
《탄생》 | 사지 N. 카룬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 |
1990년 제43회 | 《시종의 시간》 | 이레나 파블라스코바 | [[체코| ]][[틀:국기| ]][[틀:국기| ]] |
《파렌지》 | 사비나 프레치나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
1991년 제44회 | 《위험한 선택》 | 조셀린 무어하우스 | [[호주| ]][[틀:국기| ]][[틀:국기| ]] |
《샘 앤드 미》 | 디파 메타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 |
1993년 제46회 | 《친구들》 | 일레인 프록터 | [[남아프리카 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
1994년 제47회 | 《궁전의 침묵》 | 무피다 틀라틀리 | [[튀니지| ]][[틀:국기| ]][[틀:국기| ]] |
1995년 제48회 | 《데니스는 통화 중》 | 할 살윈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1997년 제49회 | 《예수의 삶》 | 브루노 뒤몽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2002년 제55회 | 《하폰》 | 카를로스 레이가다스 | [[멕시코| ]][[틀:국기| ]][[틀:국기| ]] |
2003년 제56회 | 《천상의 소녀》 | 세디그 바르막 | [[아프가니스탄| ]][[틀:국기| ]][[틀:국기| ]] |
2004년 제57회 | 《여정》 | 양차오 | [[중국| ]][[틀:국기| ]][[틀:국기| ]] |
《비터 드림》 | 모흐센 아미르유세피 | [[이란| ]][[틀:국기| ]][[틀:국기| ]] | |
2007년 제60회 | 《컨트롤》 | 안톤 코빈 | [[네덜란드| ]][[틀:국기| ]][[틀:국기| ]] |
2008년 제61회 | 《에브리바디 다이스 벗 미》 | 발레리야 가이 게르마니카 | [[러시아| ]][[틀:국기| ]][[틀:국기| ]] |
2009년 제62회 | 《에브리바디 다이스 벗 미》 | 야론 샤니, 스칸다르 콥티 | [[이스라엘| ]][[틀:국기| ]][[틀:국기| ]] |
2022년 제75회 | 《플랜 75》 | 하야카와 치에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3. 규정
제1조: "칸 영화제 황금카메라상"의 목표는 칸 영화제에서 상영된 첫 번째 영화의 중요성을 드러내고 강조하는 것이며, 해당 감독에게 두 번째 영화를 기획하도록 장려해야 함을 강조한다.
제2조: “첫 번째 영화”란 극장 상영용으로 60분 이상의 픽션 장편 영화로, 이전에 60분 이상의 다른 영화를 극장에서 개봉한 적이 없는 감독을 의미한다. 학생 학위 논문 영화나 TV 영화를 제작한 적이 있는 감독도 자신의 첫 장편 영화로 “칸 영화제 황금카메라상”에 출품할 수 있다.
제3조: "칸 영화제 황금카메라상"에 출품 가능한 영화(제2조에서 정의된 대로)는 공식 선정작이거나 병행 섹션 중 하나인 "비평가 주간" 또는 "감독 주간"에 출품된 작품이다.
제4조: "칸 영화제 황금카메라상" 수상자는 6명의 심사위원단에 의해 결정된다. 심사위원장, 영화제가 선택한 인물 1명, 영화 감독 1명 (프랑스 이사 협회), 촬영 감독 1명(프랑스 촬영감독 협회 소속), 영화 평론가 1명(프랑스 영화 비평가 협회 소속), 전국 영화 및 시청각 산업 연맹의 대표 중 한 명.
제5조: 조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영화제의 다른 섹션과 병렬 섹션에는 페스티벌 마지막 5일 동안 첫 번째 영화를 포함하지 않도록 요청된다. 또한, 칸 영화제의 황금카메라상에 출품할 자격을 갖춘 첫 번째 영화를 프로그램에서 매우 명확하게 표시하고, 이를 심사위원회 멤버들에게 주목시키기 위해 타이포그래피적 표시를 하도록 요청한다.
제6조: 심사위원단은 칸 영화제나 다른 주최 측에 책임을 지지 않고 자체 책임 하에 투표한다.
제7조: 심사위원단은 황금카메라상의 수상자로 하나의 영화에만 투표할 수 있다. 이 상은 두 개 이상의 영화에서 공유되지 않는다. 배심원 위원장은 동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투표한다.
2022년 규정
제2조: “첫 번째 영화”란 극장 상영용으로 60분 이상의 픽션 장편 영화로, 이전에 60분 이상의 다른 영화를 극장에서 개봉한 적이 없는 감독을 의미한다. 학생 학위 논문 영화나 TV 영화를 제작한 적이 있는 감독도 자신의 첫 장편 영화로 “칸 영화제 황금카메라상”에 출품할 수 있다.
제3조: "칸 영화제 황금카메라상"에 출품 가능한 영화(제2조에서 정의된 대로)는 공식 선정작이거나 병행 섹션 중 하나인 "비평가 주간" 또는 "감독 주간"에 출품된 작품이다.
제4조: "칸 영화제 황금카메라상" 수상자는 6명의 심사위원단에 의해 결정된다. 심사위원장, 영화제가 선택한 인물 1명, 영화 감독 1명 (프랑스 이사 협회), 촬영 감독 1명(프랑스 촬영감독 협회 소속), 영화 평론가 1명(프랑스 영화 비평가 협회 소속), 전국 영화 및 시청각 산업 연맹의 대표 중 한 명.
제5조: 조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영화제의 다른 섹션과 병렬 섹션에는 페스티벌 마지막 5일 동안 첫 번째 영화를 포함하지 않도록 요청된다. 또한, 칸 영화제의 황금카메라상에 출품할 자격을 갖춘 첫 번째 영화를 프로그램에서 매우 명확하게 표시하고, 이를 심사위원회 멤버들에게 주목시키기 위해 타이포그래피적 표시를 하도록 요청한다.
제6조: 심사위원단은 칸 영화제나 다른 주최 측에 책임을 지지 않고 자체 책임 하에 투표한다.
제7조: 심사위원단은 황금카메라상의 수상자로 하나의 영화에만 투표할 수 있다. 이 상은 두 개 이상의 영화에서 공유되지 않는다. 배심원 위원장은 동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투표한다.
2022년 규정
[1] 은근히 황금종려상보다 수상이 더 어려울수도 있는 분야이다. 대상을 타는 감독들은 대체로 세계 영화계에서 내로라 하는 거장들이지만 첫 데뷔작부터 칸 경쟁부문 부름을 받는다는것 상당히 어려운 일이기 때문.[2] 클로즈의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