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17:30:57

커터 크로포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bd3039>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bd3039><colcolor=#ffffff> 투수 0 뷸러 · 22 휘틀록 · 25 윈코스키 · 31 헨드릭스 · 35 크로셰 · 43 산도발 · 44 채프먼 · 50 크로포드 · 54 지올리토 · 57 와이서트 · 63 슬레이튼 · 64 크리스웰 · 66 베요 · 67 펜로드 · 68 프리스터 · 72 머피 · 76 켈리 · 80 피츠 · 83 버나디노 · 89 하우크 · 93 페랄레스 · 99 게레로 · # 도빈스 · # 윌슨
포수 12 · # 나바에스 · # 세이볼
내야수 3 라파엘라 · 5 그리솜 · 10 스토리 · 11 데버스 · 17 해밀턴 · 20 소가드 · 23 곤잘레스 · 36 카서스
외야수 7 요시다 · 16 듀란 · 30 레프스나이더 · 52 아브레우 · # 가르시아
''''''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알렉스 코라 파일:푸에르토리코 기.svg 라몬 바스케스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 팻츠 파일:미국 국기.svg 벤 로젠탈 · 파일:미국 국기.svg 딜런 로슨 파일:미국 국기.svg 앤드류 베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플로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카일 허드슨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 홀트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배리텍 파일:미국 국기.svg 찰리 매든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우스터 레드삭스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 ||
커터 크로포드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79번
로버트 스탁
(2020)
<colbgcolor=#0D2B56><colcolor=#FFFFFF> 커터 크로포드
(2021)
결번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50번
무키 베츠
(2014~2019)
커터 크로포드
(2022~)
현역
}}} ||
파일:크로포드.jpg
<colbgcolor=#bd3039><colcolor=#ffffff> 보스턴 레드삭스 No.50
커터 크로포드
Kutter Crawford
본명 커터 마틴 크로포드
Kutter Martin Crawford
출생 1996년 4월 1일 ([age(1996-04-01)]세)
플로리다 주 오키초비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플로리다 걸프 코스트 대학교
신체 185cm, 94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2017년 드래프트 16라운드 (전체 491번, BOS)
소속팀 보스턴 레드삭스 (2021~)
계약 Arb 1 / $2,750,000
연봉 2025 / $2,750,000

1. 개요2. 선수 경력
2.1. 보스턴 레드삭스
2.1.1. 2023 시즌2.1.2. 2024 시즌
3. 연도별 성적4. 플레이 스타일

[clearfix]

1. 개요

보스턴 레드삭스 소속의 우완 선발 투수.

2. 선수 경력

2.1. 보스턴 레드삭스

2.1.1. 2023 시즌

2023 시즌 중반부터 선발로 자리를 잡아 꾸준히 로테이션을 돌았다.

2.1.2. 2024 시즌

야심차게 새로 영입 한 루카스 지올리토의 시즌 아웃으로 인해 브라이언 베요, 닉 피베타 뒤에 태너 하우크, 개럿 휘틀록과 함께 로테이션 진입이 확실해졌다.

시즌 초엔 포심 패스트볼의 구속을 의도적으로 1마일 정도 줄이는 전략이 효과를 보면서 호투했으나[1] 점차 메이저리그 하위권에 해당되는 구속과 양궁피칭의 한계를 보이며 피홈런 공장장으로 전락, 34개의 피홈런[2]과 1.67의 HR/9[3]을 기록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그래도 개인 데뷔 첫 규정이닝을 돌파하며 183.2이닝 9승 16패[4] ERA 4.36과 51BB/175K를 기록했다. 사실상 첫 선발 풀타임 시즌임을 생각하면 굉장히 좋은 경기들도 몇 경기 보여줬기 때문에 가능성은 충분히 보여준 시즌.

3. 연도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커터 크로포드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21 BOS 1 0 1 0 0 2 22.50 5 1 2 0 2 3.500 24 -0.1 -0.3
2022 21 3 6 0 0 77⅓ 5.47 81 12 29 2 77 1.422 77 0.5 0.1
2023 31 6 8 0 2 129⅓ 4.04 107 17 36 5 135 1.106 113 2.4 2.5
2024 33 9 16 0 0 183⅔ 4.36 155 34 51 9 175 1.122 98 1.9 2.0
MLB 통산
(4시즌)
86 18 31 0 2 392⅓ 4.57 348 64 118 16 389 1.188 95 4.7 4.4

4. 플레이 스타일

19.7인치의 IVB를 기록할 정도로 좋은 수직 움직임의 패스트볼을 보유하고 있으며 커터를 세컨드 피치로 잘 활용하면서 닉값을 하는 투수. 그 외 변화구로는 스위퍼와 스플리터, 너클커브를 이용해 헛스윙을 뽑아낸다.

투구폼이 상당히 특이하다. 마치 투포환을 하는 것처럼 공을 쥐고 있는 오른팔을 직각으로 뒤통수에 붙여서 숨긴 상태로 공을 던진다. 여기에 투구 직전 팔을 몇 번 흔드는 동작도 있기 때문에 디셉션이 좋은 편.

단점으로는 너무 느린 구속. 2024시즌 평균 92.6마일은 메이저리그 하위 28%에 해당될 정도로 경쟁력 없는 구속인데, 이 공을 자신이 2019년의 저스틴 벌랜더가 된 것 마냥 복판에 때려박는 바람에 피홈런 억제능력이 매우 떨어진다.[5]

[1] 아주 잠깐 메이저리그 era 전체 1위를 하기도 했다![2] 2024시즌 메이저리그 전체 1위[3] 2024시즌 메이저리그 규정이닝 투수 중 전체 1위[4] 당연히 이것도 메이저리그 전체 1위다(...)[5] 당장 2019년의 벌랜더조차도 95마일의 평균구속과 20인치가 넘는 IVB로도 36개의 피홈런과 1.45의 HR/9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