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04 09:06:50

커티스 스캐퍼로티


파일:한미연합군사령부 부대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파일:미합중국 육군대장기.svg
초대
존 베시
제2대
존 위컴
제3대
로버트 W. 세네월드
제4대
윌리엄 J. 리브시
제5대
루이스 C. 메네트리
제6대
로버트 W. 리스카시
제7대
개리 E. 럭
제8대
존 H. 틸럴리
제9대
토머스 A. 슈워츠
제10대
리언 J. 러포트
제11대
버웰 B. 벨 3세
제12대
월터 L. 샤프
제13
제임스 서먼
제14대
커티스 스캐퍼로티
제15대
빈센트 브룩스
제16대
로버트 에이브럼스
제17대
폴 라카메라
}}}}}}
{{{-2 {{{#!wiki style="margin: -0px -1px; margin-top: -20px; display: block; background: #10007c; padding: 4px"
}}}}}}}}}

제14대 한미연합군사령관
커티스 M. 스캐퍼로티
Curtis Micheal "Mike" Scapparrotti
파일:Scaparrotti EUCOM.jpg
출생 1956년 3월 5일 ([age(1956-03-05)]세)
오하이오 로건
복무 파일:미합중국 육군 마크.svg 미합중국 육군
1978년 ~ 2019년
재임기간 제14대 한미연합군사령관
2013년 10월 3일 ~ 2016년 4월 30일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배우자 신디 베이트먼
부모 아버지 마이클 스캐퍼로티, 어머니 베티 스캐퍼로티
자녀 아들 마이클 M. 스캐퍼로티, 딸 스테파니 L. 스캐퍼로티
임관 미국육군사관학교 (1978년 임관)
최종계급 대장 (General of The U.S. Army)
최종보직 유럽사령관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
주요보직 주한미군사령관
합동참모본부장
1군단장
제82공수사단
}}}}}}}}}


[clearfix]

1. 개요

미합중국 육군의 군인. 최종계급은 대장. 한미연합군사령관(유엔군사령관주한미군사령관 겸직)을 역임했다.

2. 상세

1956년생으로 오하이오 주 로건에서 태어났다. 1974년에 미국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고 1978년에 졸업하여 임관했다. 병과보병이었고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에서 인사관리학 전공으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보스니아, 자이르, 르완다, 라이베리아, 아프가니스탄, 이라크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다.

82공수사단에서 군생활을 시작해 육군사관학교 전술학 교관, 남유럽 특수임무부대 325공수전투단 3대대장, 82공수사단 2여단장, 1기갑사단 기동부사단장, 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 중부사령부 작전참모부장, 82공수사단장, 1군단장, 합동참모본부장을 거쳐 2013년 국제연합군사령관/한미연합군사령관/주한미군사령관에 취임했다.

2.1. 한미연합군사령관

파일:external/s1.ibtimes.com/gen-curtis-scaparrotti.jpg
주한미군 사령관 시절의 프로필 사진
파일:external/farm4.staticflickr.com/10974046264_40822f0d64_h.jpg
대한민국 육군특수전사령부를 방문하여 전인범육군특수전사령관(좌측), 박선우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우측)과 함께

2013년 10월, 제임스 서먼의 후임으로 주한미군 사령관에 임명되었고, 동시에 대장으로 진급했다.

2014년 7월 27일 정전협정 61주년을 맞아 JSA를 방문했다.

2014년 한국국방연구원(KIDA) 주최 세미나에서 '고고도 요격체계 미사일', 즉 THAAD의 배치 필요성에 관한 소요를 미 국방부에 제기했음을 밝혔다. 이는 해당 무기의 한반도 배치에 관한 미군 측 당국자의 첫 공식 언급이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물론 스캐퍼로티 장군 본인은 주한미군 사령관의 위치에서 군사적 필요에 따라 결정한 것이었겠지만, 결과적으로는 한국과 미국, 나아가 중국을 포함하는 외교적 쟁점으로 확대된 THAAD 논쟁을 촉발시킨 장본인으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2016년 2월 북한의 광명성 로켓 발사 직후, 한미 양국이 THAAD의 배치 논의에 공식 착수하고 마침내 5개월이 지난 7월에 배치 결정이 확정되면서 결과적으로 그의 주장은 관철된 셈이 되었다.

DMZ 목함지뢰 매설 사건때 최윤희 당시 합참의장과 함께 위문을 갔다. 본래 사건 직후에 먼저 위문을 가려고 했으나, 한국군 장교들의 만류로 인해 계획이 변경되었다 간단히 말해서 '한국군 수뇌부가 주한미군 사령관보다도 늦게 부상 장병들을 위문하는' 모습으로 비난 여론이 생길 것을 우려했던 셈. 그렇게 최윤희 합참의장과 같이 김정원 하사, 하재원 하사를 만나 위문하게 되고 그들에게 '진정한 영웅'이라고 치하하였고 김정원 하사에게 "한 가지 임무를 주고싶다. 김 하사는 오늘부로 하루빨리 건강해지는 것"이라며 위문했다.

재임 중에 대북 선제타격에 필요한 준비, 검토를 진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상황을 전제로 한 것이라기 보다는, 북한 대량살상무기 위협에 대응할 선택 중 하나로서, 이를 실행하는 데 요구되는 정보나 수단을 파악하는 차원에서 비롯되었다고. 이 일은 그가 퇴임한 후인 2022년 1월의 온라인 세미나에서 본인의 회고를 통해 공개되었다.

2.2. NATO군 사령관

2016년 3월 11일, 미 국방부는 스캐퍼로티 사령관을 NATO군 사령관 겸 유럽 주둔 미군 사령관으로 내정했다. 현 필립 브리드러브 사령관의 후임으로 가는 것. 주한미군 사령관으로서의 임무 수행을 높이 평가했다고 한다. 기사 주한미군 사령관이 타 보직으로 영전한 것은 32년만에 처음이다.[1] 김정은에 관한 걱정은 이제 끝났지만, 앞으로는 블라디미르 푸틴을 걱정해야 한다. 후임자는 빈센트 브룩스 태평양 육군사령관이다.

파일:external/6c3a0914015cb9cf966e3a0d010cde19a651f38bd8d5149f6bd431adb6d0396b.jpg
4월 25일, 이순진 한국군 합참의장의 참석 아래 환송식을 가졌다.

파일:external/731b103a796bc69a5b40d358d7399500fc47e36dcb5c7c0364c12f060497209e.jpg
1주일 후인, 5월 3일 독일에서 애슈턴 카터 미 국방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나토군 사령관에 정식 취임했다.

2019년 6월 1일 전역하였다.

3. 기타

주한미군 사령관 시절, 집무실에 자신의 군생활 30년 동안 휘하에서 임무를 수행하다 전사한 부하장병들의 사진들을 걸어두었다. 나라를 위해 헌신한 그들을 잊지 않기 위해서라는 설명. 또한 아무리 하급자라도 전역할 때면 반드시 초라한 전역식까지 전부 찾아가고, 부하가 죽거나 다치면 곧바로 찾아가 위로하고 가족까지 끝까지 챙기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는 덕장이다. 자신휘하에서 임무를 수행하다 사망한 수백 명에 이르는 부하의 이름과 사망일시까지 다 기억할 정도. 위에 나온 2015년 8월 휴전선 지뢰 도발 사건 위문도 여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나이와 직책에 비해 체력이 대단하다. 2015년 용산 미군기지에서 치러진 한미연합사 4마일 달리기 행사에서, 상당수의 젊은 병사와 장교들조차 점점 뒤로 처지는 와중에 계획보다 더 긴 코스로 돌아가기까지 하며 끝까지 페이스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팔팔한 20대 군인들에 밀리지 않을 만큼 자기관리를 철저히 하는 듯. 사실 뛰고 있던 장병들 입장에서는 갑자기 다른 길로 향하는 장군 때문에 당황스러웠다고 한다.

파일:/image/001/2014/07/23/PYH2014072311650006000_P2_99_20140723183803.jpg

프로필 사진과는 달리 실제로는 안경을 착용한다. 게다가 좀 더 늙어보인다. 이름의 철자가 길어서 이탈리아계다. ACU 명찰이 옆의 육군 테이프보다 글자가 작다. 명찰 테이프의 길이는 한정되어 있고 표시할 철자가 많다 보니 그런 듯하다.

정치인 김무성에게 어부바당한 적이 있다.# 상대가 당시 동맹국 여당 대표였기에 어쩔 수 없이 올라타긴 했지만, 후문에 의하면 본인을 어린애 취급한다고 생각하여 매우 불쾌했다고 한다. 문화의 차이로 봐줄 수 있는 면도 있지만, 어찌되었건 상당한 결례를 저질렀다는 것을 부정하기는 어렵다.[2]
[1] 1984년 로버트 세네왈드가 미 육군 전력사령부(FORSCOM) 사령관에 임명된 이래, 역대 주한미군 사령관들은 더 이상의 보직 임명 없이 퇴역해 왔는데, 스카파로티 장군이 32년만에 이 기록을 깬 것이다. 미 군당국에서 스카파로티의 능력을 얼마나 높이 평가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2] 김무성은 이전에 이정현도 어부바를 한 적이 있는데, 본인이 친근해지고 싶어하는 사람에게 어부바 해주는 걸 좋아하는 것으로 보이기는 한다. 결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당대표 차원에서 지원유세를 나갈 때마다 해당 지역의 후보들을 업어주는 퍼포먼스를 행했는데 문제는 여기에 업힌 이들이 대거 낙선되면서 일명 '어부바의 저주'로 비화되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