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2 12:12:49

태백시/역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태백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D50037><tablealign=center><tablewidth=270><tablebgcolor=#D50037>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강릉시 CI.svg
강릉시
파일:동해시 CI.svg
동해시
파일:삼척시 CI.svg
삼척시
파일:속초시 CI.svg
속초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
파일:춘천시 CI.svg
춘천시
파일:태백시 CI.svg
태백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자치군
파일:고성군(강원도) CI.svg
고성군
파일:양구군 CI.svg
양구군
파일:양양군 CI.svg
양양군
파일:영월군 CI.svg
영월군
파일:인제군 CI.svg
인제군
파일:정선군 CI.svg
정선군
파일:철원군 CI.svg
철원군
파일:평창군 CI.svg
평창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홍천군 CI.svg
홍천군
파일:화천군 CI.svg
화천군
파일:횡성군 CI.svg
횡성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강원도 김화군 휘장.svg
김화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 휘장.svg
이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통천군 휘장.svg
통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평강군 휘장.svg
평강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회양군 휘장.svg
회양군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 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 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1. 삼국시대2. 조선시대3. 대한민국

1. 삼국시대

549년에 '태백현'이 이 근방에 설치된 바 있었다.

2. 조선시대

그러다 1390년대 말 안동도호부, 삼척으로 바뀌었다.

3. 대한민국

  • 1981년, 옛 삼척군 장성읍황지읍삼척군에서 분리되어 '태백시'로 승격되면서 '태백'이라는 지명이 다시 부활하였다.
    태백이라는 뜻은 온 세상이 하얗다라는 뜻으로 본래는 클 태()에 하얀 백()을 따라서 큰 하양이라는 뜻이지만 어감이 맞지 못하기 때문에 온 세상이 하얗다로 하는 것이 옳다. 즉 이 지역이 본래 흰 눈이 많이 내리는 특성 때문에 불리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태백산의 태백에서 본따온 것으로 전해진다.
    삼척시/역사 문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원래 삼척군 상장면으로, 북쪽에 위치한 하장면과 세트로 '장성'(長省)이라고 불렸던 지역이다.[1] 그러다가 1961년에 장성읍으로 승격되었다. 1973년에 황지출장소가 황지읍으로 승격되었고, 1981년에는 삼척군[2]의 일부였던 장성읍과 황지읍을 합쳐 태백시가 설치되어 사실상 1,432년만에 부활되었다.
    "팔도사람" 다 모인 "하늘아래 첫 도시"



    신생 도시인 태백시를 알리는 1981년 4월 3일동아일보 기사 #[3]
  • 석탄산업의 전성기였던 1960~70년대에는 인구가 13만이 넘는 중견 도시로 번창했다. 이 당시에는 석탄 수요량이 폭증하는 가을철에는 동네 개도 만원짜리 지폐[4]를 물고 다닌다는 농담이 나올 정도로 번창하는 도시였다. 뭐, 인구로 치면 대도시는 아니었지만[5] 캔 석탄을 바로 돈으로 바꿀 수 있고, 일용직 노동자의 임금 역시 일당이나 주급으로 바로 지급하던 지역경제의 특성상 도시 규모에 비해 현금 유동량이 매우 큰 편이었다.
  • 더구나 석탄 시즌이면 노동력 수요도 급격히 증가하면서 일거리를 찾아 다른 도시에서 오는 사람들도 많았는데, 이때 일하러 오는 사람은 보통 독신 남성이거나 가족이 있더라도 남자 혼자 오는 경우가 많았던 터라 밥 먹고 잠 자는 것까지 모두 돈을 내고 해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거기에 힘든 노동에 지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유흥업 등의 규모도 상당했다. 그리고 이 시기 비록 경제가 발전하고 있었지만 아직 여전히 낙후된 면이 많았기에 현물이 아닌 현금이 지속적으로 유통되는 경제구조의 가치는 생각보다 더 컸다.
  • 즉 다량의 화폐가 유입되고 소모되는 경제 구조의 특성상 인구 규모 이상의 수준으로 번창하는 도시였던 것이다. 다만, 임시 고용 노동자의 비중이 높고[6] 그런 사람들의 주머니를 노리는 서비스업이 발달한 도시의 특성상 썩 분위기가 좋은 도시는 아니었다. 대부분 광부로 일했던 이들은 고된 노동환경과 평소의 생활고로 인해서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사람들이었고[7], 비단 밤문화와 트러블 얘기를 하지 않아도 산재 사망률이 높았기 때문에 더더욱 그랬기도 했다.
  • 하지만 1980년대 말 정부의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에 의해 광산이 줄줄이 문을 닫고 광부와 그 가족들이 떠나면서 급속히 쇠퇴하였다. 점점 상황이 열악해지자 1999년 12월 12일 시내 중심인 중앙로에서 1만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생존권 쟁취 투쟁을 벌인 바 있다. 당시 시민들은 격렬한 시위를 벌여 정부로부터 석탄가격안정지원금 10년간 1조원 지원, 3천명 고용 규모 대체산업 육성 등 5개 항의 지역개발사업 추진을 약속받았다. 그러나 이후에도 쇠퇴는 막을 수 없었으며, 2004년에는 전성기의 상징이던 KBS 태백라디오방송국이 KBS강릉방송국과 통합되어버렸다.[8] 당시 태백이 잘 나가던 시대의 마지막 흔적이었기 때문에 태백시민들 사이에서 상당히 강경한 통합 반대 운동이 벌어지기도 했었다.
  • 1994년 12월 26일, 삼척군 하장면 전체가 편입 대상이었지만 삼척군의 반대로 편입되지 못하고 원동리, 상사미리, 하사미리, 조탄리를 사조면이 아닌 사조동으로 편입한 것에 그치며 읍면을 겸하는 행정적 도농통합이 사실상 무산되어 1998년에는 소규모 동 통폐합조치로 황지3동, 화전1동, 화전2동과 통합하여 사조동지역은 현재 삼수동의 일부를 구성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6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6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장성은 장승을 음차한 것이라고 한다.[2] 삼척군은 이후로도 동해시, 삼척시 등을 뱉어냈는데, 1995년 도농통합 당시 삼척시와 삼척군만 통합되면서 지금에 이른다.[3] 아울러 해당 링크에서 지금과는 다른 태백시의 시경계선을 확인할 수도 있다.[4] 만원권 지폐가 막 등장했을 당시에 만원권 지폐 몇장이면 번듯한 직장인 월급에 해당되는 금액이었다..[5] 물론 전국 기준으로는 그랬겠지만 강원도 내에서는 제3의 도시였다. 1970년 태백(당시는 삼척군 장성읍)의 인구는 102,255명이었는데, 이는 춘천시(120,517명)나 원주시(110,188명)에 맞먹는 규모였으며, 영동 지방에서는 강릉시(72,920명)나 동해시(당시는 명주군 묵호읍+삼척군 북평읍, 92,463명)를 제치고 1위의 인구였다.[6] 석탄 성수기에는 타 지역 노동자들을 몇 달이나 몇 주 단위로 고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태백시로 갓 승격될 무렵인 1981년 4월 3일자 동아일보 기사를 보더라도 승격 예정 지역의 인구 11만 2천여명 중에서 무려 95%가 외지인이고, 그 외지인들의 출신 지역 역시 전국의 모든 행정구역 중에서 딱 2개 면만 빼고 다 있었다고 할 정도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 사람들, 비하적으로 표현하자면 뜨내기의 비중이 높았다. 게다가 그런 외지인들의 다수가 '정착할 생각은 없다'(=돈 좀 모이면 고향이나 다른 곳으로 돌아가 살 거다)는 입장이어서 시 승격 무렵에는 "시로 승격되어 인프라가 갖춰지면 외지인들도 정착 의사를 보여주지 않을까?" 라는 기대가 나왔다고 할 정도이다.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향촌 귀속 의식이 많이 약해진 21세기 이후에도 "외지 출신 이주자(=나쁘게 말하면 뜨내기)가 많은 지역은 사람들의 애향심이 약하고 분위기가 안정적이지 않다"는 이야기가 종종 나올 정도인데 하물며 1970~80년대 기준으로는 어떻게 여겨졌을지 생각해 보자.[7] 이는 비록 태백시에서 일어난 일은 아니었지만 옆동네에서 일어난 사북사건 항목만 봐도 알 수 있다.[8] 공교롭게도 인근에 있던 삼척MBC도 2015년에 강릉MBC와 통합하여 MBC강원영동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