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02:50:13

튀르키예/언어

터키/언어에서 넘어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튀르키예/문화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e30a17>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월성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히타이트 · 트로이 · 프리기아 · 리디아 · 페르가몬 왕국 · 돌궐 · 서돌궐 · 강거 · 오구즈 · 셀주크 제국 · 아나톨리아 베이국 · 룸 술탄국 · 오스만 제국 · 튀르키예 독립 전쟁
지리 아나톨리아 · 트라키아 · 에게 해 · 보스포루스 해협 · 마르마라 해 · 차낙칼레 해협 · 아라라트 산 · 북쿠르디스탄 · 지진/튀르키예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튀르키예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G20 · MIKTA · JUSCANZ ·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 관계 · 튀르키예 여권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경제 경제 전반 · 튀르키예 리라 · 넥스트 일레븐
국방 튀르키예군 · 튀르키예 해군 · NATO · 튀르키예/방위산업
교통 터키항공 · 페가수스 항공 · 이스탄불 공항 ·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 사비하 괵첸 국제공항 · 앙카라 에센보아 공항 · 아드난 멘데레스 국제공항 · 트라브존 공항 · YHT · 이스탄불 지하철 · 차나칼레 1915 대교
문화 문화 전반 · 튀르키예 드라마 · 튀르키예 영화 · 튀르키예 음악 · 요리 · 바클라바 · 로쿰 · 필라프 · 돈두르마 · 튀르크 커피 · 차이 · 페즈 · 공휴일/튀르키예 · 사모바르 · 튀르키예/관광 · 세계유산 · 튀르크리 · YKS
언어 아나톨리아어파 · 튀르키예어 · 튀르키예/언어
스포츠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 튀르키예 축구 연맹 · 쉬페르리그 · 튀르키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 · 튀르키예 농구 국가대표팀 · 터키 그랑프리(이스탄불 파크)
인물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사회 튀르키예 마피아 · 회색늑대
민족 튀르키예인(러시아계 · 그리스계 · 아르메니아계) · 투르코만 · 튀르키예계 아프리카인 · 튀르키예계 미국인 · 튀르키예계 독일인 ·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 메스케티 튀르크 · 튀르키예계 우크라이나인 · 튀르키예계 일본인 · 튀르키예계 캐나다인 · 튀르키예계 호주인 · 튀르키예계 브라질인 · 튀르키예계 아르헨티나인 · 튀르키예계 영국인 · 튀르키예계 프랑스인 · 튀르키예계 네덜란드인
기타 튀르키예/여담
}}}}}}}}} ||

1. 개요2. 튀르키예어3. 소수 언어4. 외국어5. 관련 문서

1. 개요

튀르키예는 공용어가 튀르키예어이지만, 튀르키예 내에는 소수민족들이 많이 거주하기 때문에 여러 언어들이 많이 쓰이고 있다. 아르메니아어, 쿠르드어 등의 화자들이 많은 편이며 그리스어, 불가리아어 등의 화자들도 일부 남아 있다.

2. 튀르키예어

튀르키예어는 튀르키예의 공용어이다. 튀르키예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한 언어로 튀르키예 헌법에서 튀르키예어를 국어로 정해져 있다. 튀르키예어의 전신은 오스만어였지만, 오스만어는 아타튀르크 시절부터 현대 튀르키예어로 바뀌고 로마자를 도입하면서 사라졌다. 다만, 오스만어는 튀르키예에서 교육 및 연구되고 있다. 튀르키예 내의 튀르키예어는 방언 차이가 존재한다. 튀르키예 남동부의 방언은 아랍어, 쿠르드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고 이스탄불 방언 등 서부 방언은 그리스어, 불가리아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3. 소수 언어

쿠르드어, 자자어, 아르메니아어, 그리스어, 불가리아어, 라디노어, 히브리어, 라즈어, 조지아어, 아제르바이잔어 등의 소수 언어들이 튀르키예내에서 사용되고 있다. 튀르키예 남동부의 쿠르드족들이 다수인 지역에서 쿠르드어, 자자어 등이 사용되지만, 쿠르드어는 자자어와 달리 튀르키예 정부의 탄압을 받고 있다.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을 중심으로 아르메니아어가 사용되고 있다. 심지어 아르메니아어 신문까지 나올 정도로 규모가 크다. 튀르키예의 유럽 지역에서 불가리아어 화자가 일부 남아있어서 불가리아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스탄불 내의 폴로네즈쾨이(Polonezköy)나 부르사에 위치한 몇몇 보슈냐크인 마을같이 소수민족들이 집단 거주하는 마을에서는 폴란드어, 보스니아어같은 해당 언어들이 쓰이고 있는 모습도 볼 수 있다. 마르딘에서는 쉬리야니인들의 고유언어인 쉬리야니어가 쓰이고있는데 이는 아람어의 일종이다. 그리고 2021년 현재 500만에 달하는 시리아인 난민들로 인해 아랍어 인구도 늘고있다.

다만 이러한 소수언어들은 튀르키예 헌법상 공용어로 지정되어있지 않으며 법정에서 이들 언어를 증언으로 사용하려면 공증인을 득한 서면문서만이 유효하다.

4. 외국어

주요 외국어는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이다. 프랑스어는 오스만 제국 시절인 19세기부터 주요 외국어로 지정되었고 튀르키예어에 영향을 많이 줬다. 독일어는 독일과의 교류와 영향으로 주요 외국어에 속해 있다. 또한, 러시아어도 주요 외국어로 지정되어 있다. 가끔씩 그리스어, 라틴어도 가르친다. 반면, 아랍어는 이슬람 신학교에서 가르치는 푸스하(쿠란에 쓰여진 고전 아랍어)가 아닌 이상 튀르키예 남동부를 제외하고는 배우는 경우가 많지는 않다.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리고 중국어, 일본어도 가르치고 있다.

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