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1:26:33

조사(품사)

토씨에서 넘어옴

{{{#fff 여러 가지 [[품사|{{{#fff 품사}}}]]}}}
변화사 불변화사
명사류 동사류 부사류 기능사류
명사 동사 부사 조사
형용사
(영어 등)
형용사
(한국어 등)
관형사 전치사
대명사 조동사 한정사/관사 접속사
수사 계사 감탄사

1. 개요2. 명칭3. 문법적 특징4. 한국어의 조사5. 일본어의 조사6. 튀르키예어의 조사

[clearfix]

1. 개요

조사() 또는 토씨는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 또는 부사에 붙어 다른 말 사이의 문법 관계를 맺거나 뜻을 더해 주는 품사이다.

2. 명칭

토씨라고도 하고 영어론 [ruby(不變化詞, ruby=불 변 화 사)]를 의미하는 [ruby(particle, ruby=파 티 클)]으로 번역하거나, 대개 말끝에 붙어 [ruby(後置, ruby=후 치)][ruby(修飾, ruby=수 식)]한다는 점에서 [ruby(前置詞, ruby=전 치 사)](preposition)의 예에 비추어 [ruby(後置詞, ruby=후 치 사)](postposition)로 번역하기도 한다.

다른 를 가리키는 최현배식 다듬은 말 (이름씨, 움직씨 등)은 자주 쓰이진 않지만, 유독 토씨만은 토씨 하나 안 틀리다 같은 관용어로 쓰이기도 한다. 띄어쓰기 규정에서는 각 품사별로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조사와 일부 보조동사는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으로부터, 뿐만처럼 조사끼리도 붙여서 쓴다.

3. 문법적 특징

한국어는 언어유형학적으로 교착어에 속한다. 즉, 명사의 문법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 조사를 사용하는 언어이다.[1] 대표적인 조사로 '은/는', '이/가', '을/를', '와/과', '에서', '에게', '로', '부터', '까지', '조차' 등이 있다.

조사의 또다른 특징은 형태는 다르지만 기능은 같은 이형태라는 점이다. 예를들어 주격조사는 '이' '가' '께서'가 있는데 이들은 형태는 다르자만 주격의 기능을 하는 이형태이다.

영어에는 '조사'라는 개념이 따로 존재하지 않으며, 한국어의 조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전치사be동사가 있다. of~(~의), and(그리고, 와/과, ~이며), but(그러나, 다만, ~지만), from(~에서, 부터), to(에게, 까지, 로)와 같은 전치사는 명사 앞에만 붙을 수 있으므로 전치사만 조사와 비슷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 다음은 한국어로 '~이다' 로 해석되는 be동사가 있는데(am/'m, are/'re, is/'s), 영문법에서는 반드시 동사가 필수로 들어간다는 조건이 있어서 명사는 물론 형용사 단독으로는 서술어가 될 수 없으므로[2] be동사를 추가로 붙여서 서술어 역할을 한다. 이 be동사가 서술어 역할을 하는 조사와 비슷한 역할을 하나 영어에서의 품사는 엄연히 동사다. 그 밖에 '이/가'와 같은 주격 조사는 영어에는 없고, 주어가 통째로 이 역할을 하며,(이런 이유로 서술어 be동사를 넣어서 두 단어를 연결한다.) '을/를', '에게' 또한 어순 마지막에 나오는 목적어 단어에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영어는 고립어로 분류한다.

유럽 언어들을 학습하는 한국인 학습자가 전치사의 용례를 두고 혼란스러워하듯, 전치사를 품사로 가지고 있는 언어권의 여러 외국인들이 배우기 어려워하는 대목이 한국어나 일본어의 조사이다.[3] 한국에 오래 살아 한국어를 능통하게 하는 외국인들조차도 이 조사만큼은 틀리거나, 자주 생략해버리거나, 관용적으로 생략되는 곳에 조사를 사용해 상대에게 어색하게 느끼게 하는 단초를 제공한다. 심지어 원어민인 한국인들도 조사를 생략하기도 하니 더 헷갈릴 것이다.[4] 더 깊게 들어가면 보조사는 외국인에게 더 노답이다.[5] 한국어를 모국어로 쓰는 한국인들조차도 조사를 올바르게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에 이상한 일은 아니다. 자주 틀리는 한국어/목록/조사 항목을 참고할 것.

한국어, 일본어, 튀르키예어, 우즈베크어, 몽골어, 핀란드어 등의 우랄 알타이 제어 계열 교착어 화자들은 조사(후치사) 활용에 익숙하므로 영어권 화자 등과 반대로 서로의 언어를 배울 때 쉽게 적응할 수 있는 부분이다. 물론 이들 언어의 조사는 한국어의 조사와 용법이 많이 비슷하지만 모든 용법이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학습이 필요하다.

4. 한국어의 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의 조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일본어의 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일본어의 조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튀르키예어의 조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튀르키예어/문법 문서
번 문단을
격조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학교 문법에서는 ‘이다'를 ‘서술격 조사'로 분류하지만, 여기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계사’, ‘지정사’ 등 별개의 문법 범주로 간주하는 학자들도 많다.[2] 일상 구어에서는 주어 다음에 바로 형용사가 오는 경우도 빈번하다.[3] 예를 들어, 구글에 "topic markers, object markers, reddit"을 검색해보면 영어권 화자들이 한국어 및 일본어의 조사 사용법을 두고 극도로 혼란스러워 하는 글들이 레딧에 올라온 걸 볼 수 있다.[4] 예) 학교(를) 갔다왔어? 등[5] 격조사와 달리 아무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으며, 부가적인 의미를 가질 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밥 먹었어?" 라는 질문에 "밥은 먹었지." 라고 대답한다면 한국어사용자들은 '밥을 먹었구나' 보다는 '다른 안 좋은 일이 있나?' 같은 반응을 보일 것이다. 이는 보조사 '은'이 강조의 의미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반대로, "응, 밥을 먹었어." 라고 대답한다면 알맞은 격조사를 사용한 것임에도 듣는 이는 조금 어색하다고 느낄지도 모른다. 이처럼 조사의 생략이나(명사 다음에 바로 동사가 오면 을/를이 생략된 경우다.) 사용은 관습적인 부분이 많기 때문에 외국어 사용자에게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