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0 19:40:39

페데리코 디마르코


1 조머 · 2 둠프리스 · 6 더프레이 · 7 지엘린스키 · 8 수치치 · 9 튀랑 · [[라우타로 마르티네스|10 라우타로
C
]] · 11 L. 엔히키
12 디 젠나로 · 13 마르티네스 · 14 보니 · 15 아체르비 · 16 프라테시 · 17 디우프 · 20 찰하놀루
22 미키타리안 · [[니콜로 바렐라|23 바렐라
VC
]] · 25 아칸지 · 30 카를루스 · 31 비세크 · 32 디마르코 · 36 다르미안
94 F. 에스포지토 · 95 바스토니
파일:UEFA EURO ROU.png 크리스티안 키부 {{{#!folding [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페데리코 디마르코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심볼.svg
파일:AIC_logo.png
}}} ||
파일:Federico Dimarco(25-26).png
<colcolor=#00e1ff>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No. 32
페데리코 디마르코
Federico Dimarco
<colbgcolor=#0018a1> 출생 1997년 11월 10일 ([age(1997-11-10)]세)
이탈리아 밀라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5cm / 체중 75kg
포지션 레프트백, 윙백[1]
주발 왼발
소속 <colbgcolor=#0018a1><colcolor=#00e1ff> 유스 인테르나치오날레 (2004~2015)
선수 인테르나치오날레 (2014~2017)
아스콜리 칼초 (2016 / 임대)
엠폴리 FC (2016~2017 / 임대)
FC 시옹 (2017~2018)
인테르나치오날레 (2018~ )
파르마 칼초 1913 (2018~2019 / 임대)
엘라스 베로나 FC (2020~2021 / 임대)
국가대표 32경기 3골[2] (이탈리아 / 2022~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18a1><colcolor=#00e1ff> 등번호 <colcolor=#373a3c,#ddd>이탈리아 대표팀 - 3번
인테르나치오날레 - 32번
후원사 아디다스
가족 동생 크리스티안 디마르코
}}}}}}}}} ||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플레이 스타일4. 기록
4.1. 대회 기록4.2. 개인 수상
5. 기타6. 같이 보기

1. 개요

이탈리아 국적의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레프트백.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페데리코 디마르코/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페데리코 디마르코/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페데리코 디마르코/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가대표 경력

연령대 대표팀을 거쳐 2022년 6월 5일, 독일전에서 80분 교체투입되며 성인 대표팀에 데뷔를 했다.

2022-23 UEFA 네이션스 리그 6차전 헝가리와의 경기에서 적극적인 공격가담으로 브라얀 크리스탄테의 컷백을 받아 국가대표 데뷔골을 성공시켰다. 리그에서도 활약이 좋기 때문에 레오나르도 스피나촐라와 주전 경쟁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네이션스 리그 준결승 스페인전에서 하프타임에 교체 투입되었으나 팀은 1:2로 패배하고 3위 결정전으로 내려갔다.

네덜란드와의 3위 결정전에서는 선발 출전해 전반 6분 선제골에 이어 20분에 컷백으로 다비데 프라테시의 A매치 데뷔골을 간접적으로 기여했고 수비에서도 후반 5분에 스티븐 베르흐베인의 결정적인 찬스를 태클로 막아냈다. 비록 2번째 실점 상황에서 베르흐베인에게 속아 실점을 내줬으나 전체적으로 맹활약을 하면서 팀의 3위 결정전 승리를 이끌었다.

UEFA 유로 2024 조별리그 첫경기 알바니아전에서 스로인 미스로 네딤 바이라미에게 유로 역사상 최단 시간 득점(20초)을 선사했으나 이후 11분과 16분에 각각 동점골과 역전골을 만들어내면서 패배를 면할 수 있었다.

2024-25 UEFA 네이션스 리그 1차전 프랑스전에서 환상적인 연계에 이은 아름다운 발리 슛으로 동점골을 뽑아내며 3-1 승리에 기여했다.

3. 플레이 스타일

공격적인 성향이 짙은 윙백 유형의 레프트백으로, 인테르의 3백 시스템에서는 주전 윙백으로 뛰면서 리그에서 테오 에르난데스와 견줄 만큼 최고의 레프트백으로 군림하고 있다. 측면 수비수임에도 워낙 공격적인 성향이 짙어서 윙백은 물론이고, 윙어까지 소화할 수 있다.

디마르코의 풀백으로서 특출난 장점은 바로 왼발 킥에서 뿌려주는 양질의 크로스를 꼽을 수 있다. 테오와 비교했을 때에는 드리블과 운반에 있어서는 테오가 압도적인 폭발력을 보이지만, 왼발 킥을 통한 크로스와 컷백의 정확도와 정교함은 디마르코의 압승이다. 디마르코는 측면에서 다양한 구질의 크로스를 구사할 수 있는데, 왼발로 강하게 휘어서 공격수의 머리에 정확하게 올려주는 얼리크로스와 인사이드 킥으로 뒷쪽 동료에게 주는 컷백을 주로 구사한다. 크로스와 컷백의 구질이 모두 정확하고, 부드러운 발재간을 통한 드리블 돌파라는 옵션이 더해지다 보니, 상대방 입장에서 디마르코를 막기에 굉장히 까다롭다. 잘 휘어지는 왼발 크로스를 지닌 덕에 팀 내 세트피스 키커로 활약하고 있다. 킥의 정확도가 좋은 디마르코지만, 공격 상황에서 내리는 판단을 정확하게 내리기 때문에 공격의 연결이 매끄럽다.

공격적인 성향의 레프트백임에도 시모네 인자기 감독 아래에서는 유사시 3백의 좌측 스토퍼로도 뛰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2022-23 시즌부터 기존 센터백 자원들의 부재로 왼쪽 스토퍼로 뛰기 시작했는데, 측면 스토퍼로서도 얼리 크로스를 올려주거나 양질의 패스를 뿌려주기도 하고, 공을 직접 운반하기도 하는 등 팀의 공격 전개에 기여한다.

다만, 디마르코는 수비수임에도 수비 능력에 있어서는 세부적인 능력치들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인다. 기본적인 수비에 대한 개념이 잡혀있는 선수로서 주로 본인의 체력과 운동 능력을 필두로 빠르게 공간을 커버하는 움직임을 즐겨 시도한다. 그러나, 신체조건이 뛰어난 편은 아니라서 직접적인 저지 능력은 타 팀 풀백에 비해 떨어진다. 경합 능력이 아쉬운 편으로, 지상 경합과 헤더를 통한 공중볼 경합 모두 좋은 편이 아니다 보니 스토퍼로 나올 때에는 이러한 부족한 경합 능력이 발목을 잡힌다. 판단 능력이 좋아서 상대의 이지선다에 동요되지 않고 침착하게 공을 끊어내는 인터셉트를 간간히 보이지만, 확실하게 끊어내는 태클의 정확도는 아쉬우며, 확실하게 끊어내지 못해 상대 팀의 크로스를 허용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러한 성향을 고려한 시모네 인자기 체제에서는 디마르코가 위치한 좌측을 주요한 공격 루트로 삼았고, 뛰어난 피지컬을 지닌 둠프리스가 위치한 우측에서는 경합과 돌파의 역할을 부여하며 디마르코의 장점을 살리는 전술을 선보였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4.2. 개인 수상

5. 기타

  • 청과물상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자연히 싱싱한 청과를 많이 먹을 수 있었다고 한다. 아버지는 아들들에게 기대기 싫다면서 여전히 밀라노에서 청과물상을 하고 계신다.
  • 5살 터울의 남동생 크리스티안도 인테르 유스에 몸담은 적이 있었다. 현재는 세리에 C 구단인 페랄피살로 소속이다. 그러나 형제가 모두 락네이션 소속이 됐다.
  • 로빈 고젠스에 따르면 동갑내기 니콜로 바렐라와 함께 비글 및 개구쟁이 캐릭터라고 한다. 근데 97년생들임에도 바렐라와 함께 탈모도 같이 오고 있다. 바렐라는 M자, 디마르코는 원형인데 노란색으로 염색했음에도 23-24 시즌부터는 정수리가 훤하다.
  • 로멜루 루카쿠와 막역했던 관계였다고 한다. FC 시옹 시절 배워 조금이나마 할 줄 알던 프랑스어로 그의 인테르 적응과 이탈리아어 습득을 도와줬다고 루카쿠가 직접 밝혔다. 그가 베로나로 이적한 후에도 연락을 유지했고, 인테르에서 재회한 후로는 인터넷 축구 게임을 함께 하기도 한다고. 그러더니 결국 루카쿠의 소속사에 합류했다. 하지만 이후 루카쿠가 디마르코의 결혼식에 불참하고 온갖 추한 꼴은 다 보이다 인테르와도, 소속사 락네이션과도 결별하며 어색한 사이가 되었다. 24-25시즌 초반기 경기에서 바스토니의 몸싸움 과정에서 쓰러진 루카쿠를 보고 디마르코가 관중에게 호응을 유도한 것으로 보아 두 명 사이의 관계는 완전히 끝난 듯 하다.
  • 인테르 현지 팬덤 모임인 쿠르바 노르드 출신이라 팬들의 응원을 잘 유도한다. 다만 팬덤 챈트가 그렇듯이 상대팀을 까는 내용들이 마구 들어가 있는데, 22-23 시즌 데르비 델라 마돈니나 이후에 챈트를 외치면서 AC 밀란을 까는 내용을 직접적으로 말해버려 살짝 논란이 일기도 했다. 휴식일에 유스 경기를 보러 돌아다니는 등 인테르에 대한 팬심이 엄청난 것으로 보인다.
  • 쿠르바 노르드 출신이라 그런지 재계약때도 쿠르바 노래를 부르면서 재계약했다.
  • 알레산드로 바스토니와 함께 안드레아 라노키아에게 콕콕 집혀서 못생겼다고 앞담을 까인 적이 있다.

5.1. WAGs

디마르코의 와이프 이름은 지울리 마쪼카토(Giuly Mazzocato)이며, 둘 사이에 딸 클로에(Chloe)와 아들 니콜라스(Nicolas)를 낳았다.

6. 같이 보기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2025-26).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25-26 시즌 스쿼드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14E2F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025-26 시즌 스쿼드[간략]
<colcolor=#373a3c,#ddd>
파일:SOMMER-Yann-319460.webp
<colcolor=#373a3c,#ddd>
파일:DUMFRIES-Denzel-436612.webp
<colcolor=#373a3c,#ddd>
파일:DE-VRIJ-Stefan-313021.webp
<colcolor=#373a3c,#ddd>
파일:ZIELINSKI-Piotr-370436.webp
<colcolor=#373a3c,#ddd>
파일:SUCIC-Petar-485066.webp
1 2 6 7 8
얀 조머
Yann Sommer

파일:스위스 국기.svg|GK
1988.12.17
2023~2026
덴젤 둠프리스
Denzel Dumfries

파일:네덜란드 국기.svg|DF
1996.04.18
2021~2028
스테판 더프레이
Stefan de Vrij

파일:네덜란드 국기.svg|DF
1992.02.05
2018~2026
피오트르 지엘린스키
Piotr Zieliński

파일:폴란드 국기.svg|MF
1994.05.20
2024~2028
페타르 수치치
Petar Sučić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MF
2003.10.25
2025~2030
파일:THURAM-Marcus-403109.webp
파일:MARTINEZ-Lautaro-402920.webp
파일:LUIS-HENRIQUE-499768.webp
파일:DI-GENNARO-Raffaele-329507.webp
파일:MARTINEZ-Josep-430719.webp
9 10 (C) 11 12 13
마르쿠스 튀랑
Marcus Thuram

파일:프랑스 국기.svg|FW
1997.08.06
2023~2028
라우타로 마르티네스
Lautaro Martínez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FW
1997.08.22
2018~2029
루이스 엔히키
Luis Henrique

파일:브라질 국기.svg|FW
2001.12.14
2025~2030
라파엘레 디 젠나로
Raffaele Di Gennar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GK
1993.10.03
2023~2026
주젭 마르티네스
Josep Martinez

파일:스페인 국기.svg|GK
1998.05.27
2024~2029
파일:ACERBI-Francesco-360244.webp
파일:CALHANOGLU-Hakan-369304.webp
파일:ASLLANI-Kristjan-483317.webp
파일:MKHITARYAN-Henrikh-299788.webp
15 16 20 21 22
프란체스코 아체르비
Francesco Acerb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
1988.02.10
2023~2026
다비데 프라테시
Davide Frattes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
1999.09.22
2024~2028
하칸 찰하놀루
Hakan Çalhanoğlu

파일:튀르키예 국기.svg|MF
1994.02.08
2021~2027
크리스티안 아슬라니
Kristjan Asllani

파일:알바니아 국기.svg|MF
2002.03.09
2022~2028
헨리크 미키타리안
Henrikh Mkhitaryan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MF
1989.01.21
2022~2026
파일:BARELLA-Nicolo-403154.webp
파일:PAVARD-Benjamin-411471.webp
파일:CARLOS-AUGUSTO-476343.webp
파일:BISSECK-Yann-405926.webp
파일:DIMARCO-Federico-371241.webp
23 (VC) 28 30 31 32
니콜로 바렐라
Nicoló Barell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MF
1997.02.07
2019~2029
뱅자맹 파바르
Benjamin Pavard

파일:프랑스 국기.svg|DF
1996.03.28
2023~2028
카를루스 아우구스투
Carlos Augusto

파일:브라질 국기.svg|DF
1999.01.07
2024~2028
얀 아우렐 비세크
Yann Aurel Bisseck

파일:독일 국기.svg|DF
2000.11.29
2023~2029
페데리코 디마르코
Federico Dimarco

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
1997.11.10
2018~2027
파일:DARMIAN-Matteo-288824.webp
파일:ZALEWSKI-Nicola-418687.webp
파일:BASTONI-Alessandro-419352.webp
파일:Mehdi Taremi(24-25).png
36 59 95 99
마테오 다르미안
Matteo Darmian

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
1989.12.02
2020~2026
니콜라 잘레프스키
Nicola Zalewski

파일:폴란드 국기.svg|DF
2002.01.23
2025~2029
알레산드로 바스토니
Alessandro Bastoni

파일:이탈리아 국기.svg|DF
1999.04.13
2017~2028
메흐디 타레미
Mehdi Taremi

파일:이란 국기.svg|FW
1992.07.18
2024~2027
감독: 크리스티안 키부 / 홈구장: 스타디오 주세페 메아차
출처: 영어 위키백과, 공식 홈페이지, transfermarkt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6월 7일

[간략]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655ba> 파일: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홈).svg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ddd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 GK 1 잔루이지 돈나룸마 파일:주장 아이콘.svg
(Gianluigi Donnarumma)
1999년 2월 25일 ([age(1999-02-25)]세) 76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12 알렉스 메렛
(Alex Meret)
1997년 3월 22일 ([age(1997-03-22)]세) 3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14 굴리엘모 비카리오
(Guglielmo Vicario)
1996년 10월 7일 ([age(1996-10-07)]세) 4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 마르코 카르네세키
(Marco Carnesecchi)
2000년 7월 1일 ([age(2000-07-01)]세) 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DF 2 라울 벨라노바
(Raoul Bellanova)
2000년 5월 17일 ([age(2000-05-17)]세) 5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3 페데리코 디마르코
(Federico Dimarco)
1997년 11월 10일 ([age(1997-11-10)]세) 32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4 페데리코 가티
(Federico Gatti)
1998년 6월 24일 ([age(1998-06-24)]세) 6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13 리카르도 칼라피오리
(Riccardo Calafiori)
2002년 5월 19일 ([age(2002-05-19)]세) 1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날 FC
19 안드레아 캄비아소
(Andrea Cambiaso)
2000년 2월 20일 ([age(2000-02-20)]세) 16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21 알레산드로 바스토니
(Alessandro Bastoni)
1999년 4월 13일 ([age(1999-04-13)]세) 39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22 조반니 디 로렌초
(Giovanni Di Lorenzo)
1993년 8월 4일 ([age(1993-08-04)]세) 50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23 잔루카 만치니
(Gianluca Mancini)
1996년 4월 17일 ([age(1996-04-17)]세) 15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로마
- 조반니 레오니
(Giovanni Leoni)
2006년 12월 21일 ([age(2006-12-21)]세) 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버풀 FC
MF 5 마누엘 로카텔리
(Manuel Locatelli)
1998년 1월 8일 ([age(1998-01-08)]세) 32 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6 니콜로 로벨라
(Nicolò Rovella)
2001년 12월 4일 ([age(2001-12-04)]세) 4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8 산드로 토날리
(Sandro Tonali)
2000년 5월 8일 ([age(2000-05-08)]세) 27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16 다비데 프라테시
(Davide Frattesi)
1999년 9월 22일 ([age(1999-09-22)]세) 30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8 니콜로 바렐라
(Nicolò Barella)
1997년 2월 7일 ([age(1997-02-07)]세) 65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조반니 파비안
(Giovanni Fabbian)
2003년 1월 14일 ([age(2003-01-14)]세) 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1909
FW 7 마테오 폴리타노
(Mateo Politano)
1993년 8월 3일 ([age(1993-08-03)]세) 16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C 나폴리
9 마테오 레테기
(Mateo Retegui)
1999년 4월 29일 ([age(1999-04-29)]세) 22 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카디시야 FC
10 자코모 라스파도리
(Giacomo Raspadori)
2000년 2월 18일 ([age(2000-02-18)]세) 42 11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1 모이스 킨
(Moise Kean)
2000년 2월 28일 ([age(2000-02-28)]세) 23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F 피오렌티나
15 프란체스코 피오 에스포지토
(Francesco Pio Esposito)
2005년 6월 28일 ([age(2005-06-28)]세) 1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7 리카르도 오르솔리니
(Riccardo Orsolini)
1997년 1월 24일 ([age(1997-01-24)]세) 11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볼로냐 FC
20 다니엘 말디니
(Daniel Maldini)
2001년 10월 11일 ([age(2001-10-11)]세) 6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 마티아 자카니
(Mattia Zaccagni)
1995년 6월 16일 ([age(1995-06-16)]세) 11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6일(토)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2025년 9월 9일(화) 원정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9일
}}}}}}}}}}}}}}} ||

1 돈나룸마 · 2 디 로렌초 · 3 디마르코 · 4 부온조르노 · 5 칼라피오리 · 6 가티 · 7 프라테시 · 8 조르지뉴 · 9 스카마카
10 펠레그리니 · 11 라스파도리 · 12 비카리오 · 13 다르미안 · 14 키에사 · 15 벨라노바 · 16 크리스탄테 · 17 만치니
18 바렐라 · 19 레테기 · 20 자카니 · 21 파지올리 · 22 엘샤라위 · 23 바스토니 · 24 캄비아소 · 25 폴로룬쇼 · 26 메렛
파일:UEFA EURO ITA.png 루치아노 스팔레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ITA.png 마르코 도메니치니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ITA.png 마르코 사보라니

[1] 두 포지션 외에도 3백의 스토퍼윙어로 뛸 수 있다.[2] 2025년 9월 9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