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7c1d21> | '''''' |
1 팔레아리 · 3 스휘르스 13 마리판 · 14 안조린 · 15 사조노프 · 16 페데르센 · 18 시메오네 · 19 애덤스 · 20 라자로 21 뎀벨레 · 22 카사데이ㆍ23 코코 · 25 은쿤쿠 · 26 은곤게 · 27 파리지니 · 32 아슬라니 · 34 비라기 44 이스마일리 · 61 타메즈 · 66 기네이티스 · 77 리네티 · 79 사바 · 91 두반 (C) · 92 은지 |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토리노 FC No. 32 | |||
크리스티얀 아슬라니 Kristjan Asllani | |||
<colbgcolor=#881f19,#881f19><colcolor=#fff,#fff> 출생 | 2002년 3월 9일 ([age(2002-03-09)]세) | ||
알바니아 엘바산 | |||
국적 |
|
| ||
신체 | 키 179cm / 체중 70kg | ||
포지션 | 수비형 미드필더 | ||
주발 | 오른발 (양발)[1] | ||
등번호 | 알바니아 대표팀 | 21 | |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 |||
소속 | <colbgcolor=#881f19,#881f19><colcolor=#fff,#fff> 유스 | 엠폴리 FC (2012~2021) | |
선수 | 엠폴리 FC (2021~2023) → 인테르나치오날레 (2022~2023 / 임대) 인테르나치오날레 (2023~ ) → 토리노 FC (2025~ / 임대) | ||
국가대표 | 34경기 4골 (알바니아 / 2022~ ) | ||
SNS |
1. 개요
알바니아 국적의 토리노 FC 소속 축구 선수.2. 클럽 경력
2.1. 엠폴리 FC
2021-22 시즌 유스에서 콜업되어 성인 팀에 합류하였다. 이후 선발, 교체 합쳐서 23경기를 소화했으며, 리그 후반기 인테르를 상대로 원더골 1득점, 살레르니타나를 상대로 1도움을 기록한다. 시즌 이후 마르첼로 브로조비치의 잠재적 후계자를 찾던 인테르와 프랑크 케시에의 이탈로 새 미드필더 영입을 준비하던 AC 밀란의 레이더망에 들었다.그리고 결국 인테르행이 확정되었다.
2.2.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이적 후 토트넘 홋스퍼로 떠난 이반 페리시치의 등번호 14번을 선택하였다. 다음 14번에게 행운을 빌어 주겠다는 페리시치의 축복이 인상적.2.2.1. 2022-23 시즌
프리 시즌 FC 루가노전에 선발 출전하며 풀타임으로 잘 뛰었고, AS 모나코전에서는 골을 넣었다.브로조비치가 부상을 당하여 9월 말-10월 초 일정을 소화하지 못함에 따라 잠깐이나마 주전 미드필더로 뛰었는데, 브로조비치에 비하면 부족하지만 롱패스, 전환 등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며 인테르 팬들의 신뢰와 기대를 얻었다. 유일한 흠이라면 챔피언스 리그 MD4 바르샤 원정에서의 빅찬스미스.[2][3]
그래도 이후 경기에서도 레지스타 자리와 메짤라 자리를 찰하노글루와 경기 중 수시로 번갈아 뛰며, 팬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겨주었고, 빡빡한 일정 속에서도 브로조비치의 빈자리를 훌륭히 메꿀 수 있는 백업 자원으로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대체불가로 여겨져 은퇴 후 인테르 중원이 걱정될 정도였던 브로조비치의 백업으로 좋은 평가를 받는 것만으로도 인테르 팬들의 기대치를 알 수 있다.
이후 2023년 2월, 인테르로 완전 이적했다. 이적료는 €10M+€4M이며 2027년까지의 계약이라고 한다.
2.2.2. 2023-24 시즌
2023년 8월,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여름 이적시장 내내 무수한 임대 링크가 있었으나 결국은 팀에 남았다.실제로 사수올로에서 막심 로페스 임대루머가 있었는데, 이 때 사수올로로 임대 스왑 루머가 돌았다. 다만 본인은 인테르에서 경쟁하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레지스타 포지션인 찰하놀루의 백업 자원으로 경기에 나서고 있다.
22R 제노아전 선제골을 넣으며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4]
2.2.3. 2024-25 시즌
13R 엘라스 베로나 FC와의 경기에서 선발출전하여 풀경기를 소화하였으며, 스테판 더프레이의 득점을 어시스트 하였다.2024년 12월 20일, 코파 이탈리아 16 라운드 우디네세 칼초와의 경기에서 코너킥 골을 득점하였다.[5]
2.2.4. 토리노 FC (임대)
2025년 8월 25일, 토리노 FC로 임대 이적하였다.3. 국가대표 경력
알바니아 혹은 이탈리아 국가대표 자격이 있었고, 출생지인 알바니아를 선택하였다.2022년 3월 26일, 스페인과의 친선 경기를 통해 대표팀에 데뷔했다.
2024년 10월 15일, 조지아와의 UEFA 네이션스 리그 경기에서 1골을 기록하였다.
4. 플레이 스타일
마르첼로 브로조비치의 후계자로 적합한 하드워커 스타일을 보유하고 있다. 2021-22 시즌 엠폴리에서 가장 많은 거리를 뛴 선수이며, 수비에서 공격 전환, 좌우 전환 롱패스를 빠르고 정확하게 뿌려줄 수 있는 선수이다.5. 여담
- 인테르 팬이다. 어린 시절 인테르 트레이닝복 입고 찍은 사진도 있고, 가장 좋아하던 하비에르 사네티와 찍었던 사진을 간직했으며, 5살 때 아버지와 함께 가서 봤던 밀라노 데르비와 트레블 시기를 회상하기도 했다. 그리고 그의 생일이 인테르 창단일과 같다.
- 알바니아인이지만 고국의 전후 혼란통을 피해 2세 때 이탈리아로 이주해서 쭉 이탈리아에서 살았다고 한다. 살았던 곳은 토스카나 북부의 부티(Buti)라는, 5500명 정도가 사는 조그만 마을.[6] 당연히 이탈리아 국가대표를 선택할 수도 있었으나 부모님의 조국인 알바니아를 택했다. 인터뷰를 보면 본인은 스스로 알바니아인이라고 생각하여 알바니아 국대를 택했다고. 이탈리아를 택했어도 충분한 경쟁력이 있었을 선수이지만 낭만을 택한 경우이다.
- 기대가 상당한 유망주다. 인테르 외적으로는 청소년 때 이미 토스카나 주지사와 만나 그에게 응원받은 적이 있으며, 알바니아 축구협회장[7]과 감독이 입을 모아 임대를 가라고 해서 인테르가 언짢아하기도 했다. 인테르 역시 시모네 인자기에게 아슬라니 좀 쓰라고 주의를 줬다고 한다. 이에 팀 선배 하칸 찰하놀루는 자기도 아슬라니 나이대에는 후보 선수였다며 아슬라니가 좀 더 기량을 갈고 닦으며 과감해진다면 곧 빛을 볼 것이라고 말했다. 아슬라니가 수많은 이적설에도 팀에서 버틴 이유 또한 찰하놀루를 멘토로 삼아서이며, 실제로 교류도 많다고 한다. 한편 알바니아에서의 아슬라니 출장 시간 증대 요구는 아슬라니가 23/24 시즌 좀 더 안정된 모습을 보이자 어느 정도 사그라든 상태.
- 엠폴리에 가게 된 계기는 그 팀의 수비수였던 프란체스코 프라탈리의 조언이었다. 그의 자녀들과 소꿉친구였던 인연으로 자연스럽게 알게 된 것으로 보인다. [8] 프라탈리의 회상에 따르면 아슬라니는 맞벌이를 하는 부모님을 대신해 8살 터울의 남동생 레오나르도를 돌보는 등 어릴 때부터 책임감이 남다른 아이였다고 한다. 하지만 아슬라니에게서 엠폴리에 들어간 대가를 받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 팀내에서는 또래 라울 벨라노바와 어울리는 사진이 자주 올라왔다. 벨라노바가 남동생의 인스타도 팔로우하는 것을 보면 실제로도 친한 듯. 선배들 중엔 다닐로 담브로시오와 친했으나 현재는 둘 다 팀을 떠났다. 2023/24 시즌에는 다비데 프라테시와 카를루스 아우구스투와 자주 붙어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해외 팬들도 은근히 이름 오타를 자주 내는 선수인데, 그 오타가 asslani다.
- 여자 축구 선수 코소바레 아슬라니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 코소바레는 코소보계 스웨덴인 2세다.
6.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7c1d21><tablebgcolor=#7c1d21> | 토리노 FC 스쿼드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2024-25 시즌 토리노 FC 스쿼드 | |||||
번호 | 국적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비고 | |
1 | | GK | 알베르토 팔레아리 | Alberto Paleari | ||
3 | | DF | 페르 스휘르스 | Perr Schuurs | ||
4 | | DF | 세바스티안 발루키에비츠 | Sebastian Walukiewicz | ||
5 | | DF | 아담 마시나 | Adam Masina | ||
7 | | FW | 얀 카라모 | Yann Karamoh | ||
8 | | MF | 이반 일리치 | Ivan Ilic | ||
9 | | FW | 안토니오 사나브리아 | Antonio Sanabria | ||
10 | | MF | 니콜라 블라시치 | Nikola Vlašić | ||
13 | | DF | 기예르모 마리판 | Guillermo Maripán | ||
17 | | GK | 안토니오 돈나룸마 | Antonio Donnarumma | ||
18 | | FW | 체 애덤스 | Ché Adams | ||
20 | | DF | 발렌티노 라자로 | Valentino Lazaro | ||
21 | | DF | 알리 뎀벨레 | Ali Dembélé | ||
23 | | DF | 사울 코코 | Saúl Coco | ||
26 | | MF | 에미르한 일칸 | Emirhan İlkhan | ||
28 | | MF | 사무엘레 리치 | Samuele Ricci | ||
32 | | GK | 바냐 밀린코비치사비치 | Vanja Milinković-Savić | 부주장 | |
61 | | MF | 아드리앵 타메즈 | Adrien Tamèze | ||
66 | | MF | 그비다스 기네이티스 | Gvidas Gineitis | ||
72 | | MF | Aaron Ciammaglichella | |||
77 | | MF | 카롤 리네티 | Karol Linetty | ||
79 | | FW | 자노스 사바 | Zanos Savva | ||
91 | | FW | 두반 사파타 | Duván Zapata | 주장 | |
92 | | FW | 알리우 은지 | Alieu Njie | ||
구단 정보 | ||||||
구단주: 우르바노 카이로 / 감독: 파올로 바놀리 / 구장: 스타디오 올림피코 그란데 토리노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토리노FC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4년 9월 29일 |
}}}}}}}}} ||
{{{#!wiki style="color:#fff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 <rowcolor=#222222>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소속 클럽 |
GK | 알렌 셰리 (Alen Sherri) | 1997년 12월 15일 ([age(1997-12-15)]세) | 0 | 0 | | ||
엘한 카스트라티 (Elhan Kastrati) | 1997년 2월 2일 ([age(1997-02-02)]세) | 2 | 0 | | |||
토마스 스트라코샤 (Thomas Strakosha) | 1995년 3월 19일 ([age(1995-03-19)]세) | 37 | 0 | | |||
DF | 이반 바이우 (Iván Balliu) | 1992년 1월 1일 ([age(1992-01-01)]세) | 17 | 0 | | ||
마리오 미타이 (Mario Mitaj) | 2003년 8월 6일 ([age(2003-08-06)]세) | 22 | 0 | | |||
엘세이드 히사이 (Elseid Hysaj) | 1994년 2월 20일 ([age(1994-02-20)]세) | 88 | 2 | | |||
마라쉬 쿰불라 (Marash Kumbulla) | 2000년 2월 8일 ([age(2000-02-08)]세) | 22 | 0 | | |||
베라트 짐시티 (Berat Djimsiti) | 1993년 2월 19일 ([age(1993-02-19)]세) | 60 | 1 | | |||
에네아 미하이 (Enea Mihaj) | 1998년 7월 5일 ([age(1998-07-05)]세) | 19 | 0 | | |||
아르디안 이스마일리 (Ardian Ismajli) | 1995년 9월 30일 ([age(1996-09-30)]세) | 44 | 3 | | |||
안디 하드로이 (Andi Hadroj) | 1999년 2월 22일 ([age(1999-02-22)]세) | 2 | 0 | | |||
아를린드 아예티 (Arlind Ajeti) | 1993년 9월 25일 ([age(1993-09-25)]세) | 31 | 1 | | |||
MF | 케이디 바레 (Keidi Bare) | 1997년 8월 28일 ([age(1997-08-28)]세) | 29 | 2 | | ||
에르네스트 무치 (Ernest Muçi) | 2001년 3월 19일 ([age(2001-03-19)]세) | 15 | 3 | | |||
네딤 바이라미 (Nedim Bajrami) | 1999년 2월 28일 ([age(1999-02-28)]세) | 32 | 6 | | |||
카짐 라치 (Qazim Laçi) | 1996년 1월 19일 ([age(1996-01-19)]세) | 36 | 4 | | |||
윌베르 라마다니 (Ylber Ramadani) | 1996년 4월 12일 ([age(1996-04-12)]세) | 44 | 1 | | |||
크리스티얀 아슬라니 (Kristjan Asllani) | 2002년 3월 9일 ([age(2002-03-09)]세) | 29 | 3 | | |||
아미르 아브라시 (Amir Abrashi) | 1990년 3월 27일 ([age(1990-03-27)]세) | 51 | 1 | | |||
아드리온 파야지티 (Adrion Pajaziti) | 2002년 11월 16일 ([age(2002-11-16)]세) | 0 | 0 | | |||
아르버르 호자 (Arbër Hoxha) | 1998년 10월 6일 ([age(1998-10-06)]세) | 11 | 0 | | |||
FW | 야시르 아사니 (Jasir Asani) | 1995년 5월 19일 ([age(1995-05-19)]세) | 22 | 5 | | ||
뮈르토 우주니 (Myrto Uzuni) | 1995년 5월 31일 ([age(1995-05-31)]세) | 38 | 5 | | |||
타울란트 세페리 (Taulant Seferi) | 1996년 11월 15일 ([age(1996-11-15)]세) | 26 | 3 | | |||
아르만도 브로야 (Armando Broja) | 2001년 9월 10일 ([age(2001-09-10)]세) | 23 | 5 | | |||
미를린드 다쿠 (Mirlind Daku) | 1998년 1월 1일 ([age(1998-01-01)]세) | 9 | 1 | | |||
일정 | 2026 FIFA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 | 2025년 3월 21일(금) | 원정 | | |||
2025년 3월 24일(월) | 홈 | | |||||
출처: 알바니아 축구협회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3월 17일 |
1 베리샤 · 2 바이우 · 3 미타이 · 4 히사이 · 5 아예티 · 6 짐시티 ⓒ · 7 마나이 · 8 자술라 · 9 아사니 · 10 바이라미 11 브로야 · 12 카스트라티 · 13 미하이 · 14 라치 · 15 세페리 · 16 베리샤 · 17 무치 · 18 이스마일리 19 다쿠 · 20 라마다니 · 21 아슬라니 · 22 아브라시 · 23 스트라코샤 · 24 쿰불라 · 25 알리지 · 26 호자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0.8em;" |
[1] 왼발 사용에 주저함이 없고 패스의 세기와 정확도 모두 오른발 못지않은 퀄리티를 지녔다. 왼발이 더 나은 각에서의 짧은 패스, 시원시원한 롱패스를 왼발로 하는 장면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2] 이 경기를 이겼더라면 승점 동률시 양팀간의 전적을 보는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룰에 따라 바르샤를 상대로 2승을 따낸 인테르의 16강 진출이 확정될 수도 있었던 상황이라 욕을 더 푸짐하게 먹고 있는 중이다. 물론, 남은 경기 중 하나가 빅토리아 플젠을 홈에서 맞이하는 경기라 그 경기만 잡아도 인테르의 16강은 확정이다.[3] 이후 본인이 인터뷰에서 이 때에 대한 설명을 했는데, 자기도 처음에는 미키타리안에게 패스하려 했지만 생각보다 잘 되지 않아서 결국 슛을 날려야 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날 이후 나흘간 잠을 제대로 자지 못했다고도 말했다.[4] 이 골은 인테르에서의 첫 골이다.[5] 여담으로 같은 날 같은 시간에 시작한 EFL컵 8강 경기에서도 토트넘 홋스퍼 FC의 손흥민이 코너킥 골을 득점하였다.[6] 반면 출생지인 엘바산은 알바니아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이다.[7] 특히 아르만도 두카라는 회장이 대놓고 밀어주기로 유명하다. 당연하지만 이 회장도 아무나 밀어주지는 않는데, 또 다른 알바니아 선수인 US 레체의 윌베르 라마다니가 인테르 관계자의 티라나 방문 사실을 가지고 자신과 엮어 이적설 언플을 하자 고개를 갸우뚱하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8] 부티와 엠폴리의 거리는 차로 약 40분 걸린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