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07 22:32:25

프로머 슈토프

Frommer Stop
프로머 슈토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rommerstop.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자동권총
원산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12년~1945년
개발 루돌프 프로머
개발년도 1912년
생산 FÉG
생산년도 1912년~1939년
생산수 99,000정
사용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스만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오스만 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사용된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기종
파생형 12M 권총
19M 권총
39M 권총
M.17
세부사항
탄약 .32 ACP
.380 ACP(39M)
급탄 7발들이 박스탄창
25발들이 박스탄창
작동방식 롱 리코일
싱글 액션
총열길이 95mm
전장 165mm
중량 610g
탄속 280m/s }}}}}}}}}
1. 개요2. 상세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4. 둘러보기

1. 개요


Frommer Stop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자동권총. 오스트리아와 헝가리로 분리된 이후로는 헝가리군이 사용했다.

2. 상세

헝가리의 발명가인 루돌프 프로머가 개발하였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내에서도 헝가리에서만 생산되며 분리독립 후에도 헝가리군만 사용했다. 1차대전 이후에는 2선급 무기로 사용되었다.

그 외에도 1차대전 당시 동맹국이였던 오스만 제국에게도 소수를 공여한 사례도 있다.

주 탄약은 .32 ACP탄이었고 .380 ACP탄으로 탄종을 변경한 모델인 39M도 있었으나 제식채용되지는 않았다.

파일:Frommerstopautomaticmp.jpg
이 외에도 기관권총으로 개조를 한 모델도 있지만 실험적인 성격이 강해 제식채용은 되지 않았다.
파일:1454001238_frommer-stop-m.17-1.png
프로머 M.17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다만 자동사격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용해 위 사진과 같이 방아쇠와 방아쇠울을 제거한 프로머 슈토프 두개를 완전자동으로 개조한 뒤 삼각대에 거치한 기관총인 프로머 M.17은 일부 생산되어 쓰였다. 척 보면 알겠지만 이탈리아빌라르-페로사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빌라르-페로사처럼 25발짜리 탄창 두 개를 상부에 장착해 급탄하고, 발사속도도 빌라르-페로사와 맞먹었지만 오-헝 제국군은 이 총에 그다지 만족하지 못했고 결국 M.18이라는 이름으로 빌라르-페로사를 자체 생산하기 시작했다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Zeppelin Wars - 상점에서만 얻을수 있는 권총으로 성능은 마우저보다 뒤쳐지지만 재장전 속도는 압도적으로 빠르다.
  • 배틀필드 1 - 정찰병 전용 권총으로 등장한다. 권총 중 콜리브리 권총 다음으로 대미지가 낮은 권총이지만[1] 450 RPM이라는 높은 연사력이 낮은 대미지를 커버해준다. 연사가 되는 기관권총 버전의 프로머 슈토프 오토도 전차병과 파일럿의 주무기로 등장한다.[2]

4. 둘러보기

제1차 세계 대전기의 동맹국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b8a176,#897147> 제1차 세계 대전
동맹군보병장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개인화기 <colbgcolor=#b8a176,#897147> 볼트액션 소총 Gew71, 베르단, 그라 M1874, 크로파첵 M1881, M1893, Gew88, 마우저 M1890, 마우저 M1893, Gew98, 마우저 M1903, M1886, M1888, M1890, M1893, M1895, 만리허-쇠나워, 슈타이어 M.14, 모신나강 M1891
후미회전식 / 레버액션 / 리프팅블록 / 폴링블록 / 트랩도어 벤츨 M1854/67 & M1862/67, 베른들-홀룹 M1867, 스나이더 Mk.III, 마티니-헨리, 윈체스터 M1866, 크른카 M1867
반자동소총 젤프스트라더 M1906E, 몬드라곤 M1908, 젤프스트라더 M1916
기관단총 / 기관권총 헬리겔 1915E, M1912/P16, MP18, 슈바르츠로제 기관단총E
권총 <colbgcolor=#b8a176,#897147> 리볼버 가서 M1870, 라이히 M79, M83, 마우저 C78, 라스트&가서 M1898, 나강 M1895, S&W M3
자동권총 보르하르트 C93, 마우저 C96, FN M1900, 만리허 M1901, 만리허 M1905, FN M1903, 드라이제 M1907, 로트-슈타이어 M1907, 슈타이어 M1908, M1909, 루거 P08, 마우저 M1910, 베르크만 M1910, 슈타이어 M1912, 프로머 슈토프, 베홀라 M1915, 마우저 M1914
조명탄 권총 M1894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M1902, 호치키스 M1909, MG15nA, MG08/15, MG14/17, MG08/18, M.17, M.18
중기관총 몽티니, 호치키스 M1900, 스코다 M1909, 슈바르츠로제 M.07/12, MG08, MG14, 가스트 기관총
수류탄 M1913, M1915nA, M15, M16, M17, 파이프 수류탄
대전차화기 탕크게베어 M1918, 집속수류탄
화염방사기 벡셀아파라트 M1917
박격포 그라나트베르퍼 16, 미넨베르퍼
※ 윗첨자E: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헝가리군 보병장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헝가리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95M, 31M, 35M, 43M
자동소총 StG44
기관단총 39M, 43M, MP35, MP40
권총 12M, 19M, 29M, 37M, 발터 P38
지원화기 기관총 M1902, 7/31M, 31M, MG34, MG42
대전차화기 36M, 43M, 44M, 판처파우스트
수류탄 M24, M43
박격포 39M 5cm 척탄통, 36/39M 8cm 박격포, 40M 10.5cm 박격포, 43M 12cm 박격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의 튀르키예 보병장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튀르키예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Gew71/87, Gew88/05, 마우저 M1890, 마우저 M1893, Gew98, Vz.98/22, 마우저 M1903, Vz.24, 모신나강 M1891/30, Kar98k, 베르티에 M1916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기관단총 MP18, 스텐 기관단총
권총 S&W M3, C96, P08, FN M1903, FN M1910/22, 베홀라 M1915, 프로머 슈토프, Vz.27, 발터 PP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G08/15, Vz.26, MG15nA, MG34
중기관총 MG08, M1907/12, 빅커스 기관총, PM M1910, 호치키스 M1914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물론 프로머 슈토프가 콜리브리보단 훨씬 대미지가 높다. 최소 대미지 기준 프로머 슈토프가 13.5배 높다.[2] 후에 패치로 돌격병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