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13:55:37

헝가리 왕국(1920년~1946년)

{{{#!folding [ 펼치기 · 접기 ]<colbgcolor=#FFF,#191919> 고대 판노니아
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
훈족
게피드 왕국 동고트 왕국
랑고바르드
아바르 칸국
중세~근세 마자르족
헝가리 대공국
중세 왕국
,몽골의 침입,
동헝가리 합스부르크 제국
,합스부르크 헝가리,
오스만 헝가리
트란실바니아 공국
근대 <colbgcolor=#426f4c> 오스트리아 제국
,합스부르크 헝가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트란스라이타니아,
제1공화국
평의회 공화국
근대 왕국
,국민단결정부,
현대 헝가리 제2공화국
헝가리 인민공화국
헝가리 제3공화국
}}} ||

슬로바키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중세 근현대






























헝가리



합스부르크 왕조 체코슬로바키아
2























-



1






2




-

1



3



4









5





}}}}}}}}} ||

헝가리 왕국
Magyar Királyság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파일:헝가리 왕국 국장(1920~1946).svg
국기 국장
Regnum Mariae Patrona Hungariae
헝가리의 수호자 마리아의 왕국
파일:헝가리 왕국 지도(1942).svg
[1]
1920년 3월 1일 ~ 1946년 2월 1일
성립 이전 멸망 이후
헝가리 제1공화국 헝가리 제2공화국
국가 Himnusz
위치 동유럽
수도 부다페스트
정치체제 권위주의 섭정 체제 → 파시즘 일당독재 체제
국가원수 왕(없음)
주요 국왕 없음
주요 실권자 호르티 미클로시
공용어 헝가리어
루신어
민족 헝가리인
독일인
유대인
슬로바키아인
종교 가톨릭
통화 크로네코로나펭괴

1. 개요2. 역사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20년부터 1946년까지 중부유럽헝가리에 존재했던 나라로 1920년부터 1944년까지 호르티 미클로시섭정을 맡아 집권하였다. 판처파우스트 작전으로 호르티가 실각한 1944년 말부터는 살러시 페렌츠가 집권하였다. 1945년 소련에 점령당하고 헝가리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 역사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독립한 이후의 국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Kingdom_of_Hungary_1944_44_Varmegye.png
1944년의 헝가리 왕국[2]

패전 후 민족자결주의에 따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해체되어 헝가리 제1공화국이 탄생했다. 마침내 헝가리인들은 1526년 이후 390여년 만에 그들만의 나라를 갖게 되었다.

하지만 그 헝가리는 트리아농 조약에 의하여 에르데이(Erdély)로 불리던 트란실바니아(Transilvania)를 포함한 대량의 영토를 상실하고 이중제국의 일원이었던 헝가리의 영역보다 작은 영토에 세워졌다. 헝가리인들이 지배하던 슬로바키아인들은 체코인, 소수의 우크라이나인루신인들과 연대해 체코슬로바키아로 독립하고, 크로아티아인슬로베니아인세르비아인들은 연합해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독립했으며, 트란실바니아의 루마니아인들은 루마니아 왕국에 편입되어 헝가리 왕국 이후 수백년간 지속된 마자르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부르겐란트독일인들 역시 헝가리에서 떨어져 나가 오스트리아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헝가리는 제1차 세계대전까지는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의 구성원으로 존재하며 60여만 평방킬로미터의 영토와 2,500여만 명의 인구를 가진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의 일원으로서 누렸던 ‘영광’은 과거의 것이 되고 말았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한 헝가리는 전전 영토의 60% 이상을 루마니아와 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오스트리아에 할양하여 남은 영토가 10만 평방킬로미터가 채 되지 않는 소국으로 전락하였다. 인구의 2/3 이상도 타국의 국민이 되어야 했다.
김지영. (2022). 제2차 세계대전 중 헝가리의 실지 회복: 제2차 빈협약(1940.8.30)을 중심으로. 동유럽발칸연구, 46(4), 91-115.

그러나 분리 독립 이후에도 헝가리의 역사는 고난과 굴욕으로 점철되었다. 1918~19년 사이 쿤 벨러(Kun Bela), 거르버이 샨도르(Garbai Sándor)를 비롯한 사회주의자들이 러시아 혁명에 자극받아 혁명을 일으켜 세운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Magyarországi Tanácsköztársaság)은 국내의 혼란을 제대로 수습하지도 못한 채 세계 혁명을 외치며 루마니아와 체코슬로바키아, 세르비아 등 주변 국가들을 모두 적으로 돌렸고, 그 결과 협상국의 지원을 받은 루마니아군과 헝가리 보수파의 침공으로 붕괴되었다.

오헝 제국의 붕괴와 재건된 헝가리인들의 국가는 지속적인 부침과 혼란을 겪었고, 헝가리 평의회 공화국의 붕괴 이후 국정 주도권을 장악한 헝가리 보수파들은 전통적 질서의 회복를 위해 '헝가리 왕국'의 복구를 결심하게 된다. 문제는 국왕으로 즉위할 적절한 인물. 가장 유력한 후보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황제이자 헝가리 왕국의 국왕이었던 카를 1세. 그런데 사라진 제국의 황제가 다시 권력을 되찾는다는 점에서 승전국들의 반발이 있었고, 헝가리 내부에서도 카를 1세에 대한 지지가 굳건했던 것이 아니었다.[3] 여기에 일단 섭정을 자처해서 최고권력자 자리에 앉은 호르티 미클로시는 이미 자신이 헝가리의 실질적인 지도자가 된 상황에서 굳이 국왕을 들여 자기 권력이 나누어질 위험을 감수할 마음도 없었다. 결국 재건된 헝가리 왕국은 국왕 선출 절차를 중단하고, 국왕이 없는 왕국이 되고 만다.

우습게도 그가 섭정일 당시 헝가리는 공화국을 칭하고 있었음에도 1946년까지 공식적으론 왕국이었고, 또 내륙국이었다. 이 때문에 1919년부터 1946년까지 헝가리는 바다 없는 나라의 해군 제독이 왕 없는 왕국의 섭정이 되어 다스리는 기묘한 상태였다.현실판 곤도르 이 때문에 골때리는 일이 또 있었는데, 헝가리의 국권을 상징하는 성 이슈트반 왕관도 왕국인 주제에 주인을 찾지 못했다. 앞서 언급했듯이 실권자인 호르티 미클로시 본인은 공식적으로 '섭정'이기 때문. 그래서 이슈트반 왕관은 그냥 모처에 엄중하게 보관했다.

오스트리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이자 헝가리의 마지막 왕이던 카를 1세(헝가리명: 카로이 4세)가 헝가리로 잠입하여 왕으로 즉위하려고 시도하기는 했으나 호르티 제독의 군대에게 도로 쫓겨났다.

한 편 당대 헝가리 왕국은 다양한 부정선거를 통해 농민들을 농락하곤 했다. 도시가 아닌 농촌 지역에서는 공개투표가 이루어져서, 지주에 반대하는 투표를 했던 농민들은 비교하자면 과거 대한민국 군대에서 마음의 편지 쓰다가 걸린 이등병 비슷하게 지주로부터 복수를 당하기 십상이었다.

나치 독일파시스트 이탈리아에 호의적이었다. 국제연맹에 가입했으나 트리아농 조약에 대한 불만으로 인해 탈퇴한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헝가리 왕국의 영토 변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인 1940년 11월에는 과거의 영토를 되찾기 위해 독일과 동맹을 맺고 추축국에 가입하였으며 유고슬라비아 침공소련 침공[4]에 적극 참여했다. 독일이 우세했을 때 체코슬로바키아루마니아로부터 옛 영토를 조금 뜯어내고 유고슬라비아에서도 영토를 뜯어내는 등 제1차 세계 대전 때의 패배를 되갚는 듯 했다. 그러나 1944년 전세가 불리해지자 호르티 치하의 헝가리는 소련과 단독으로 강화를 맺으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이를 파악한 독일은 1944년 3월 마가레타 작전을 시행해 헝가리를 사실상 점령했다.[5] 이에 호르티는 새 총리를 임명하지만, 독일은 이에 만족하지 않았다. 그해 10월 독일군과 친독 인사인 살러시 페렌츠가 이끄는 화살십자당의 합동 작전인 판처파우스트 작전으로 호르티는 섭정 지위를 잃게 되었고, 슈츠슈타펠 대원들에 의해 납치되어 독일로 호송된다. 살러시 페렌츠의 쿠데타는 성공하여 국민단결정부(Nemzeti Összefogás Kormánya) 수립을 선언하며 총리로 취임했다. 살러시 페렌츠의 국민단결정부는 파시즘적 통치를 하고, 엄연한 준메이저 추축국이던 이전과 달리 독일에 거의 종속된 모습을 보여주었다.[6] 그러나 결국 전쟁에서 패배하고 소련에 점령(1945년 4월)당하였다.

말기에는 지구 역사상 최악의 초인플레이션으로 악명 높았다.

이후 헝가리에는 제2공화국이 설립되었다. 그리고 사회주의 '철의 장막' 안쪽으로 편입되었고, 영토도 다시 트리아농 조약을 기준으로 한 영토로 되돌아간다.[7]

3.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 참전국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틀: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국, 연합국, 추축국
<colbgcolor=#002664> 연합국
맹주
· · ·
유럽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3공화국파일:자유 프랑스 국기.svg 자유 프랑스(레지스탕스)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제2공화국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망명정부(폴란드 지하국) &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임시정부+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망명정부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전국해방위원회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인민 공화국+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왕국+ · 파일:필리핀 국기(1936-1985, 1986-1998).svg 필리핀 자치령+ ·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이란 제국+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령 팔레스타인+(이슈브 & 트란스요르단)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투바 인민 공화국 국기(1943-1944).svg 투바 인민 공화국+
아메리카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 자치령+ ·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브라질 합중국 ·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 ·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 ·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 ·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 ·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 파일:멕시코 국기(1934-1968).svg 멕시코# ·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 제국 ·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 · 파일:이집트 왕국 국기.svg 이집트 왕국+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연합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알바니아 민주정부 국기.svg 알바니아 민주정부 ·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스페인 공화국 망명정부 ·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왕국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대한민국 임시정부# · 파일:베트남 민주 공화국 국기(1945-1955).svg 베트민
추축국
맹주
· ·
유럽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프랑스국+ ·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국+ ·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 · 파일:이탈리아령 알바니아 국기.svg 이탈리아령 알바니아+파일:알바니아 왕국 국기(1943-1944).svg 독일령 알바니아+ ·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 ·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마케도니아 독립국+ · 핀도스 공국+ · 파일:800px-Flag_of_Montenegro_(1905–1918,_1941–1944).svg.png 몬테네그로 왕국+ ·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 ·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 · 파일:Flag_of_the_Slovene_Home_Guard.png 류블랴나 주+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보호령#
아시아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 ·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 ·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svg 캄보디아 왕국+ ·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 ·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추축국에 편승한 집단
유럽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제1공화국#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망명정부#
아시아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 파일:이라크 왕국 국기.svg 이라크 왕국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 : 전쟁 도중 추축국에서 연합국으로 전향
+ : 괴뢰국·정부 / 위성국 / 속령
# : 간접적 지원 / 지원 여부 논란 있음
}}}}}}}}}

추축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cc
<colcolor=#fff> 국가 | 지도자
유럽 <colbgcolor=#838383,#191919>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헤르만 괴링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에리히 레더 · 빌헬름 카이텔 · 하인리히 힘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살로 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베니토 무솔리니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살러시 페렌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요제프 티소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에밀 하하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필리프 페탱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크비슬링 정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비드쿤 크비슬링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공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전향 아이콘.svg | 루이 2세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밀란 네디치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바르다르 마케도니아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이반 미하일로프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 안드레이 블라소프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핀란드파일:전향 아이콘.svg | 그리스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알바니아 왕국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핀도스 공국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류블랴나 주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덴마크 보호령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파일:모호 아이콘.svg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쇼와 천황 · 고노에 후미마로 (전쟁 이전)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아이신기오로 푸이 · 장징후이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데므치그돈로브 · 운왕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왕징웨이 · 천궁보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찬드라 보스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오다이 황제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png 캄보디아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노로돔 시아누크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바 우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호세 라우렐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 시사방봉
이라크 왕국파일:전향 아이콘.svg | 태국파일:전향 아이콘.svg
이념 파시즘 · 전체주의 · 권위주의 · 군국주의 · 반공주의
영토 확장 계획 레벤스라움 · 이탈리아 이레덴타 / 스파치오 비탈레 · 대동아공영권
파일:전향 아이콘.svg 전쟁 도중 연합국으로 전향 파일:모호 아이콘.svg 간접적 지원 및 여부 논란
파일:나치 독일의 괴뢰국 아이콘.svg 나치 독일의 괴뢰국 / 파일: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 파일:일본 제국의 괴뢰국 아이콘.svg 일본 제국의 괴뢰국
}}}}}}}}}}}}}}}


[1] 1942년의 헝가리 왕국[2] 다만 이 시기 헝가리 영토는 뮌헨 협정으로 체코슬로바키아에게서 일부 영토를 햘앙받고, 독일의 조력으로 북부 트란실바니아를 할양받고, 유고슬라비아 왕국에게도 영토를 할양받은 뒤의 최대 영토다. 헝가리 왕국 대부분의 존속 기간 동안 영토는 트리아농 조약으로 정해진 현대 헝가리 영토에 가까웠다.[3] 승전국은 합스부르크 가문이 헝가리로 복귀하는 것이 이미 찢어놓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재건의 빌미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카를 1세를 싫어했고, 헝가리 내부에서는 카를 1세의 복귀를 환영하는 왕당파, 군주제 찬성파와 왕국 재건도 싫고 이전 국왕의 복귀도 거부하던 공화주의자 및 자유주의자까지 의견이 분분하게 나뉘어 있었다.[4] 이는 소련 공군의 커셔(현 슬로바키아 코시체) 폭격이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소련의 의도적인 폭격인지 논란이 있으며 독일이나 헝가리의 자작극이라는 주장도 있고, 헝가리와 사이가 나쁜 루마니아의 공격이라는 주장도 있으며, 독일의 괴뢰국이었던 슬로바키아의 독단적 행동이라는 주장도 있다.[5] 이때를 기점으로 헝가리의 유대인들이 독일로 호송되기 시작했다. 후술할 국민단결정부에선 아예 자기들이 직접 학살한다.[6] 이때를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마냥 독일의 괴뢰국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7] 헝가리를 처벌하려는 의도도 있었지만, 소련 측이 루마니아의 북부(현재의 몰도바 대부분 지역 및 부자크) 영토를 차지했기 때문에 영토를 돌려주지 않으면서도 루마니아인들의 반감을 덜 사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트리아농 조약을 기준으로 영토 조정을 한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1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