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2 22:51:20

바오다이 황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A1E1F, #DD1E1F 20%, #DD1E1F 80%, #BA1E1F); color: #FAFA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AFA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세조 성조 헌조 익종
<rowcolor=#FAFA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공종 협화제 간종 함의제
<rowcolor=#FAFA00>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경종 성태제 유신제 홍종
<rowcolor=#FAFA00> 제13대
보대제
조조 · 태조 · 희종 · 신종 · 태종
영종 · 현종 · 숙종 · 세종 · 예종 · 흥조
}}}}}}}}}

<colbgcolor=#DD1E1F><colcolor=#FAFA00>
응우옌 왕조 제13대 황제
말황제 | 末皇帝
파일:바오다이 황제.jpg
출생 1913년 10월 22일
프랑스령 안남 보호령 후에 황궁
(現 베트남 후에시)
사망 1997년 11월 6일 (향년 83세)
프랑스 파리
능묘 프랑스 묘소
재위기간 제13대 황제
1925년 11월 13일 ~ 1945년 8월 25일
베트남국 국장(國長)[1]
1949년 6월 13일 ~ 1955년 10월 26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1E1F><colcolor=#FAFA00> 성씨 응우옌([ruby(阮, ruby=완)])
푹티엔([ruby(福晪, ruby=복전)])
부모 부황 홍종 선황제
모후 단휘황태후
형제자매 외아들
배우자 남프엉 황후 (1934~1963)
모니크 빈 투이 (1972~1997)
자녀 5남 6녀
신장 182cm
종교 가톨릭
제호 말제(末帝)
연호 바오다이([ruby(保大, ruby=보대)], 1925년 ~ 1945년)
절일 만수절(萬壽節)
}}}}}}}}} ||

1. 개요2. 생애3. 가족4. 평가
4.1. 긍정적4.2. 부정적
5. 빙쑤옌 문제6. 창작물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바오다이 황제베트남 제국 응우옌 왕조의 마지막 황제이자, 허수아비 군주, 그리고 베트남국의 초대이자 마지막 국장이다. 즉위하기 전에 이름은 완복영서(阮福永瑞)이었으나, 민망 황제가 제정한 법칙에 따라 즉위 후에는 완복전(阮福晪)으로 고쳤다. 계정제의 아들. 황후로는 남프엉 황후가 있는데 미인이다.

마지막 황제였기에 묘호시호는 받지 못했고,[2] 보통 연호를 따서 바오다이(保大, 보대)[3] 황제나 말제로 불린다.

바오다이는 그렇게 무능한 인물이 아니었지만, 식민지 국가의 허수아비 군주로서 그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었고, 몇 차례의 기회가 왔었는데도 허송세월만 하여 암군으로 평가하는 사람도 많다. 응우옌 왕조에 대한 마지막 기대까지 버리게 만든 장본인이기도 하다.

2. 생애

파일:20231210_121547.jpg
아버지 계정제와 프랑스 총독 알베르 사로와 함께 찍은 사진
가운데 어린 아이가 바오다이 황제다.
1913년 10월 22일 부황 계정제와 모후 호앙 티 쿡 사이에서 후에 황궁에서 태어났다. 1922년 4월 28일 8살의 어린 나이에 태자로 책봉된다. 그러나 프랑스 지배 체제에서 할 수 있는 일이라곤 전혀 없었다. 태자로 책봉된지 2개월도 되지 않아 프랑스 대사관 부부에게 입양되어 프랑스 유학 및 프랑스 감시 체제에서 살아가면서 모든 걸 포기하고 술과 여자에만 탐닉해 살아가게 된다.
파일:20231210_121605.jpg
이런 가운데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이 인도차이나에서 프랑스를 무너뜨린 후 프랑스의 식민지 행정기구가 와해되자 괴뢰국을 세워 일본의 허수아비 황제로 그 지위를 유지했는데, 그야말로 선통제와 똑같은 신세였다.

하지만 그래도 아예 개념은 없지 않았고, 베트남에서 착취하는 일본 제국에 대하여 "짐은 외국군이 짐의 백성을 해하는 것을 보고 싶지 않소."라며 막으려고 나서긴 했다. 물론 일본은 깔끔하게 무시하고 베트남에서 착취하여 수백 만 베트남 민중을 굶어죽게 하였다.

결국 이 모든 것이 일본에게 빌어붙은 그가 벌인 짓이라고 믿은 베트남 민중들에게 증오를 받게 된다. 그래도 호찌민은 그를 일절 죄인으로 대우하지 않고 황제로서 정중하게 우대하며 제위에서 흔쾌히 퇴위하길 권유했고, 그도 순순히 받아들여 베트민 최고 고문 자리에 앉았으나 실권자는 따로 있었으니 여기서도 허수아비였다.

파일:external/fs.chungta.com/Vua-Bao-Dai-1913-1997.jpg
나중에 베트남국 체제의 초대 국장(國長, 국가원수)이 되었지만 여전히 프랑스허수아비였기에 자포자기한 그는 짐의 시대가 이렇게 왔다며 절규 아닌 절규를 하며 술과 탐욕에 찌들어갔다.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가 패하고 더 이상 프랑스의 힘을 빌려서 체제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은 바오다이는 1954년 저명한 민족주의 독립운동가 응오딘지엠을 총리에 임명해서 상황을 타개하려 했지만 프랑스와 프랑스의 꼭두각시인 바오다이를 아주 싫어했던 응오딘지엠은 프랑스 퇴거 운동과 더불어 군부의 친불파들을 대량으로 숙청했고 1955년 국민투표를 실시해 바오다이의 퇴위 여부를 물었다. 여론은 압도적으로 바오다이의 퇴위를 요구했고[4] 바오다이는 마침내 끌려나오게 된다. 하지만 당시 바오다이는 오히려 "이제서야 지겨운 허수아비 생활을 마감하는군. 30년이나 걸렸어."라며 홀가분하게 퇴위 서명을 하고 베트남을 떠났다.

이후 프랑스에서 조용히 살아가던 그는 그동안 2명의 정실부인과 3명의 첩을 두었다. 그는 본래 불교 신자였으나, 죽기 얼마 전인 80세에 가톨릭으로 개종했다. 1997년, 83세에 파리에서 숨질 때는 6번째 결혼한 프랑스인 아내 모니크 뱅 튀가 곁에서 자리를 지킨 가운데 눈을 감았다. 그래도 애국심은 남아 있어서 베트남 전쟁 때도 남베트남과 북베트남 정부와 미국에게 전쟁을 멈추라고 말하는 등 나름 비참한 상황에 처한 조국을 구하기 위해 이거저거 시도해 본 건 사실이라는 점에서 망국의 황족 중에는 그래도 괜찮은 인물이었다.

3. 가족

6명의 여인들에게 모두 5남 6녀 즉, 11명의 자식을 얻었다. 사망 후 남프엉 황후 소생의 장남이자 전 황태자인 응우옌푹바오롱(Nguyễn Phúc Bảo Long, 阮福保隆, 1936~2007)이 명목상 응우옌 왕조의 황실 수장 지위를 이어받았다. 응우옌푹바오롱이 2007년에 사망한 뒤에는 후사가 없었던 관계로 동생인 응우옌푹바오탕(Nguyễn Phúc Bảo Thăng, 阮福保陞, 1943~2017)이 뒤를 이어 수장이 되었으며 2017년에 응우옌푹바오탕이 사망한 현재는 그의 이복동생인 응우옌푹바오안(Nguyễn Phúc Bảo Ân, 阮福保恩, 1951~)이 그 지위를 이어받았다.

응우옌푹바오롱·바오탕 형제는 자손이 없어서 남프엉 황후의 남계 자손은 끊겼다. 이들이 실제로 즉위했다면 명명제가 제정한 법칙에 따라 응우옌푹바오롱은 응우옌푹찌(阮福智)로, 응우옌푹바오탕은 응우옌푹한(阮福暄)으로, 응우옌푹바오안은 응우옌푹지안(阮福暕)으로 개명했을 것이다.

딸 응우옌푹프엉마이(Nguyễn Phúc Phương Mai, 阮福芳梅, 1937~2021)는 이탈리아 왕국 총리이자 1대 아디스아바바 공작인 피에트로 바돌리오의 손자 피에트로 바돌리오 주니어와 결혼했다.

4. 평가

4.1. 긍정적

베트남에서 암군으로서 욕을 먹고 그가 죽은 뒤에도 별다른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있으나, 사치 등의 행각과는 별도로 그의 처지 자체에 대해서는 동정하는 이들이 많다. 식민지 치하에서 허수아비로 살아가던 점은 일제강점기영친왕과도 비슷하다. 그가 마지막 군주라는 점에서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인 순종에 빗대어지기도 하지만, 일제가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면서 황제 지위까지 박탈한 것과 달리 프랑스는 베트남을 식민지로 만들었지만 허울뿐인 황제 지위만 그대로 유지했다. 즉 이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그리고 즉위한 뒤에도 이미 베트남은 프랑스의 식민지였다. 굳이 한국사와 비교하자면 보대제는 영친왕 혹은 이구(1931)에 해당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한국사의 고종이나 순종에 해당하는, 즉 식민지로 전락하는 시점에 재위하던 베트남의 황제는 7대 끼엔푹 황제나 8대 함응이 황제이다.

실제로 이 점을 바오다이 본인도 잘 알고 있어, 젊은 시절 허수아비로서 인생에 대한 좌절감에 취해서인지 프랑스 망명 이후로도 사치를 부리며 잉여스러운 모습만 보였다고 한다. 비록 1972년 북베트남에 보내는 메시지로 전쟁 중단 및 몇몇 언행을 보이기도 했지만 그다지 부각되진 못했다.

4.2. 부정적

위에 나온 사치야 확실히 비난받을 점이긴 하다. 1952년 미국에선 바오다이가 1년에 500만 달러 가까이를 홀로 쓰고 있으며, 스위스프랑스 은행에 상당수 돈을 숨기고 있다고 비난하기도 했다. 당시 베트남 국가예산 5%에 달했던 거액이다. 미국 카투니스트이던 알 허시펠드(Al hirschfeld/1903~2003)는 1947년 바오 다이를 홍콩에서 만났는데 "거만한 돼지가 된 황제."라면서 만화로도 깠다.

5. 빙쑤옌 문제

파일:external/i780.photobucket.com/4665478774_6bcc7a8336_o1-1.jpg
빙쑤옌의 보스 '바이비옌(Bảy Viễn)' 레반비옌(Lê Văn Viễn, 黎文園).

그밖에도 큰 비난거리 중 하나가 베트남 갱단 기반 군벌 세력인 빙쑤옌(Bình Xuyên, 平川, 평천)을 휘하 부대로 둔 점이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의 Nu-Anh Tran 교수의 글에 따르면, 빙쑤옌은 당시 남베트남 지역에서 반베트민 성향을 지녔던 3대 군벌 분파 중 가장 작은 세력이었는데, 종교 기반 군벌이었던 나머지 둘과 달리 유일하게 그 근본이 깡패 조직이었다는 것이 문제였다. 그저 반불 성향 때문에 일본에 협력한 나머지 두 군벌 분파들과 달리 빙쑤옌은 진짜로 일본의 잔학행위에까지 협력하며 악명을 떨쳤는데 일본의 베트남 침공 당시 친일파가 되어서 항일 베트남인들을 가혹하게 학살하고, 그 식솔 및 마을 사람까지 팔다리를 잘라버린 일까지 저질렀다. 그런데 빙쑤옌은 정작 일본군이 베트남에서 물러날 기미를 보이자 이번엔 정반대로 친일파 베트남인들을 돌아다니며 죽여버렸고 그 식솔들 팔다리를 잘랐다. 즉 기회주의자 집단. 그 빙쑤옌의 보스이던 바이 비옌[5]을 친위대장으로 임명하고 대장 계급을 쥐었던 점은 두고두고 비난거리. 이게 응오딘지엠 탓이라고 하는 이도 있으나 되려 그 응오딘지엠이 이걸 반대했었다. 그 지엠조차도 빙쑤옌을 세균덩어리라고 멸칭할 정도였으며 민중들에게 어떤 반응을 받았는지 알만했다.

사실 바오다이가 자기 휘하에 확실히 부려먹을 수 있을 만한 세력이 빙쑤옌 뿐이던 건 사실이다. 일단 베트남국 자체가 프랑스의 괴뢰 정권이라 바오다이가 프랑스에 저항하려는 움직임이라도 보이면 베트남국의 정규군은 바로 바오다이에게 총칼을 들이댔을 확률이 높다.[6] 베트민은 더더욱 안 될 말이었다. 호치민은 말로는 그를 우대해줬다곤 하지만, 응오딘지엠도 통수쳐서 납치하고, 호아하오교와 까오다이교랑 연합 맺고 프랑스랑 싸우자고 해놓고는 그 지도자들도 통수쳐서 납치하고, 심지어 죄없는 지방 유지들도 통수쳐서 협박하는 등 그야말로 통수의 달인이었던 작자들이 40~50년대의 베트민이라 이들과 협력했다가는 자기도 언제 통수맞고 목숨을 위협받을 지 몰랐을 것이다. 다른 두 종교 군벌들은 세력도 강대하고 빙쑤옌보다 도덕적으로는 우위에 있었으나, 자신들의 종교 지도자들의 신병이 베트민에게 위협받자 베트민과의 연합을 깨고 프랑스와 협력한 행적으로 볼 수 있듯이[7] 이들은 자신들의 종교의 입장에 따라 행동하는 면이 강했기에 동맹이면 몰라도 휘하에 넣고 부려먹을 수 있는 세력은 절대로 아니었다. 물론 프랑스와의 협력에 반발하고 자기만의 강력한 군벌 세력을 순식간에 조직해서 베트민과 프랑스 양쪽과 맞서 싸운 찐민테 같은 독종도 있었지만, 애당초 찐민테가 자기 종교 주류와 다른 행보를 보였던 이유가 뭔지를 따져보면 과거부터가 프랑스와 깊은 연관이 있던 그가 과연 찐민테를 설득할 수 있었을지도 의문이다.[8]

참고로 응오딘지엠은 바오다이 황제가 퇴위하자마자 빙쑤옌을 군대로 뭉개버렸다. 빙쑤옌은 그냥 조직폭력배나 정치깡패의 수준이 아니라 사실상의 군벌 세력이나 다름없었기에 경찰로 뿌리뽑을 수 없었던 걸 지엠이 알았던 거였다. 참고로 빙쑤옌 소탕전은 거의 내전세력 소탕과 똑같을 정도였는데 기관총은 기본이고 박격포에 일부 빙쑤옌은 남베트남군에 대포로 응전할 정도였다. 그래도 결국 빙쑤옌 다수를 뭉개면서 간부들을 공개 총살시켜버리며 거의 뿌리를 뽑았다. 바이비옌은 프랑스로 도망가서 살다가, 1971년에 천수를 누리고 사망했는데, 참고로 1956년, 남베트남 법원은 궐석 재판으로 그에게 사형을 언도했고 파리에서 몇 번이나 암살을 당할 뻔했는데 갱조직 문제로 연루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빙쑤옌을 미국도 안 좋게 봤기에 거기를 뭉갤 때 미국에서 격찬하며 지지했다. 반대로 빙쑤옌 일로 바오다이는 더더욱 욕을 처먹을 수밖에 없었다. 어릴 적부터 허수아비로 자라나서 저렇다는 변명도 있겠지만, 우리나라로 치자면 순종이나 영친왕이정재 급의 깡패에 대해 저런 짓을 묵인해주는 상황을 대입한다면 이해해 줄 수 없을 것이다.

다만 빙쑤엔은 한 가지로만 보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빙쑤옌과 응오딘지엠의 싸움은 프랑스미국의 대리전이라고 볼 수도 있었으며, 빙쑤엔은 프랑스군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9] 빙쑤엔의 패배로 프랑스는 완전히 베트남과 손을 끊게 되었고 남베트남은 미국의 책임이 되었으며, 빙쑤옌이 사라진 후 사이공에 베트콩들이 득실거리게 된 것으로 보면 그들이 비록 악했지만 그 시절에는 나름 필요악이었을 지도 모른다.

이와 별개로 비슷한 시기 이웃나라 캄보디아노로돔 시아누크 국왕과 대조하기도 한다. 바오다이나 시아누크나 무능한 건 마찬가지였지만, 시아누크는 왕조와 상극인 크메르 루주와 제휴하면서까지 권력을 쟁취하려다 크메르 루주한테 뒷통수까지 맞고 자식들이 킬링필드로 살해당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왕국 시대에 대한 캄보디아인들의 왕정 노스탤지어 분위기에 힘입어 1993년 왕정 복고에 성공했던 것과 반대로 바오다이는 누군가가 떠먹여주기만을 바라다가, 즉 권력의지 없이 살다가 객사했다는 것이다.

6. 창작물

프랑스의 허수아비였다지만 베트남의 마지막 황제임에도 바오다이의 일대기를 다룬 베트남 사극은 매우 드물다. 2004년에 방영된 《황궁의 양초(Ngọn nến Hoàng cung)》라는 작품이 그나마 유일하다. 일본에 의한 프랑스 총독부 축출과 베트남 제국 건국, 바오다이 황제의 퇴위까지를 다뤘다. 장 드라트르 드타시니에 대해서도 언급이 나오지만 직접 등장하지는 않는다.

7. 둘러보기

추축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cc
국가 | 지도자
유럽 <colbgcolor=#838383,#191919>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 아돌프 히틀러 · 헤르만 괴링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에리히 레더 · 빌헬름 카이텔 · 하인리히 힘러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파일:change_pos.png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 베니토 무솔리니 · 피에트로 바돌리오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살로 공화국파일:pupet_state.png | 베니토 무솔리니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 호르티 미클로시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파일:pupet_state.png | 살러시 페렌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파일:change_pos.png | 미하이 1세 · 이온 안토네스쿠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파일:change_pos.png | 보리스 3세 · 시메온 2세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파일:pupet_state.png | 요제프 티소
파일: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국기.svg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파일:pupet_state.png | 에밀 하하
파일:크로아티아 독립국 국기.svg 크로아티아 독립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 파일:pupet_state.png | 안테 파벨리치 · 토미슬라브 2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크비슬링 정권파일:pupet_state.png | 비드쿤 크비슬링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파일:pupet_state.png | 필리프 페탱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공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 파일:pupet_state.png 파일:change_pos.png | 루이 2세
파일:세르비아 구국정부 국기.svg 세르비아 구국정부파일:pupet_state.png | 밀란 네디치
파일:바르다르 마케도니아 국기.svg 바르다르 마케도니아파일:pupet_state.png | 이반 미하일로프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인민해방위원회파일:pupet_state.png파일:whattheydo.png | 안드레이 블라소프
파일:로코트 자치국 국기.png 로코트 자치국파일:pupet_state.png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파일:벨라루스 국기(1918, 1991–1995).svg 벨라루스 중앙 라다파일:pupet_state.png | 라다슬로 아스트로스키
핀란드파일:change_pos.png | 그리스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 파일:pupet_state.png | 알바니아 왕국파일:ita_kingdom_symbol.png파일:pupet_state.png | 핀도스 공국 파일:ita_kingdom_symbol.png | 류블랴나 주파일:ita_kingdom_symbol.png 파일:pupet_state.png | 덴마크 보호령 파일:pupet_state.png파일:whattheydo.png
아시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쇼와 덴노 · 고노에 후미마로 (전쟁 이전) · 도조 히데키 · 고이소 구니아키 · 스즈키 간타로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파일:pupet_state_jap.png | 아이신기오로 푸이 · 장징후이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파일:pupet_state_jap.png | 데므치그돈로브 · 운왕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파일:pupet_state_jap.png | 왕징웨이 · 천궁보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파일:pupet_state_jap.png | 찬드라 보스
파일:베트남 제국 국기.svg 베트남 제국파일:pupet_state_jap.png | 바오다이 황제
파일:캄보디아 왕국(괴뢰국) 국기.png 캄보디아 왕국파일:pupet_state_jap.png | 노로돔 시아누크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파일:pupet_state_jap.png | 바 우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파일:pupet_state_jap.png | 호세 라우렐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라오스 왕국파일:pupet_state_jap.png | 시사방봉
이라크 왕국파일:change_pos.png | 태국파일:change_pos.png
<colbgcolor=#000> 이념 파시즘 · 전체주의 · 권위주의 · 군국주의 · 반공주의
영토 확장 계획 레벤스라움 · 이탈리아 이레덴타 / 스파치오 비탈레 · 대동아공영권
파일:change_pos.png 전쟁 도중 연합국으로 전향 파일:whattheydo.png 간접적 지원 및 여부 논란
파일:pupet_state.png 나치 독일의 괴뢰국 / 파일:pupet_state_jap.png 일본 제국의 괴뢰국 / 파일:ita_kingdom_symbol.png 이탈리아 왕국의 괴뢰국
}}}}}}}}}}}}}}}

베트남국의 역대 국장
(초임) 초대 응우옌푹티엔 베트남 공화국으로 전환
베트남국의 역대 총리
응우옌반쑤언(임시) 초대 응우옌푹티엔 2대 응판롱


[1] 베트남국국가원수다. 대통령과 같은 직위였다. 한국사로 치면 영친왕광복 이후 대한민국 임시 국가원수를 역임했을 경우에 가깝다.[2] 정식 시호는 없더라도 선통제영친왕의 사례처럼 종친 차원에서 사시 정도는 올릴 수 있을 텐데, 이상하게도 사시를 받았다는 기록은 없다.[3] 출전은 춘추좌씨전초장왕이 무에 대해 논하는 구절인 "綏萬邦,屢豐年… 夫武,禁暴,戢兵,保大,定功,安民,和衆…"(온 나라 제후들을 편안하게 하시고, 거듭 풍년이 되게 하셨다... 무릇 무(武)라는 것은 폭력을 멈추게 하고, 무력을 거두어들이고, 천명을 보전하고, 나라를 구하는 공을 세우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여러 제후국의 백성들이 두루 화목하게 하며...)에서 따온 것이다.[4] 하지만 투표는 부정투표였다.[5] 1904년~1971년. Bảy Viễn. 본명은 레반비엔(Lê Văn Viễn, 黎文園).[6] 물론 응오딘지엠은 재빨리 수뇌부를 제거해버리고 자기 편으로 만들었으니, 그저 능력의 차이라고 보는 것이 좋을듯.[7] 물론 이건 먼저 통수를 친 베트민의 잘못이다.[8] https://escholarship.org/content/qt4407j6sj/qt4407j6sj.pdf[9] 실제로 빙쑤옌 두목 바이비옌이 프랑스로 도주할 때도 프랑스군의 도움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