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02:11:43

PM M1910

PM M1910
Пулемёт Максима образца 1910 года
맥심 기관총 모델 1910
파일:00030616.PM.M1910.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중기관총
원산지
[[러시아 제국|]][[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910년~현재
개발년도 1909년~1910년
생산년도 1910년~1945년
생산수 176,000정
사용국
[[러시아 제국|]][[틀:국기|]][[틀:국기|]]

[[소련|]][[틀:국기|]][[틀:국기|]]

[[러시아|]][[틀:국기|]][[틀:국기|]]

[[핀란드|]][[틀:국기|]][[틀:국기|]]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중국|]][[틀:국기|]][[틀:국기|]]

[[몽골|]][[틀:국기|]][[틀:국기|]]


[[북한|]][[틀:국기|]][[틀:국기|]]
사용된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적백내전
소비에트-폴란드 전쟁
스페인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돈바스 전쟁
시리아 내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기종
원형 맥심 기관총
파생형 PM M1910/30
맥심-토카레프
제원
탄약 7.62×54mmR
급탄 250발짜리 탄띠
작동방식 쇼트 리코일, 토글 락
총열길이 721mm
전장 1,067mm
중량 64.3kg (삼각대, 냉각수, 탄띠 포함)
발사속도 600RPM
탄속 740m/s }}}}}}}}}
1. 개요2. 상세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3.1. 영화 및 드라마3.2. 게임
4. 에어소프트건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사격 영상
러시아 제국이 사용한 맥심 기관총의 파생형.

2. 상세

7.62×54mmR을 사용하도록 변경되었다. 접이식 전용 삼각대[1][2]에 장착해서 운용하며, 추운 기후의 특성상 물(눈)을 구하기가 쉬워 물 주입구를 크게 했다.[3] 그리고 기존의 맥심의 구리 부품들을 철로 바꿔 생산성과 무게를 줄였다.

위 이미지처럼 포방패도 달려 있었으나 견인시에는 너무 무겁고 불편한데다 사격에도 지장을 줘서 견인시에는 떼어냈다가 설치 후 다시 달거나 아래 타찬카에 설치해서 운용하거나 아예 떼고 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종래에는 생산비 절감 차원에서 아예 없애기도 했다. 사실 PM1910의 초기 모델을 보면 전고가 너무 낮은 거치대를 좀 더 올려서 운용하기 위해 바퀴 안쪽에 지지대도 달려 있었고, 급탄이 원할하도록 포방패에 탄띠를 걸어놓을 수 있는 물레도 달려 있었으나 무게 경감과 생산비 절감을 위해서 다 없애고 총도 약간 개량하면서 위의 이미지가 되었다.
파일:sldij05pzelz.png
소련군이 사용중인 모습.
러시아 제국이 주문하여 수입해온 것으로 시작으로 러시아 제국군은 물론이고 그 뒤를 계승한 소련군도 사용했다. 소련에서는 적백내전 당시부터 독소전쟁까지 마차(타찬카)에 설치하여 보병지원차량으로 운용하기도 하였고[4], 1939년에 DS-39가 개발됨에 따라 생산이 중지될 예정이었으나, 독소전쟁으로 생산이 재개되어 다시 한 번 활약했다. 1945년 이후로는 SG-43으로 완전히 교체되어 주변 공산국가들에게 공여되었다.[5] 하지만 중소결렬 이후 소련-중국 국경의 극동전선군 소속의 소련군들은 무려 80년대까지 운용했는데, 그 이유는 바로 어마어마한 인구수를 자랑하는 중국군의 인해전술에 대항하기 위해서였다.

파일:대공기관총소련군.jpg

대공무기가 개발되기전, 맥심 기관총을 마개조하여 대공무기로 써먹기도 하였다. 시기상으로 러시아 제국 후반 ~ 소련 초반까지 이용되었으며, # 이런 마개조형 대공 무기는 ZU-23, KPV같은 성능이 뛰어난 고성능 무기가 개발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졌다.
파일:북한군 m1910.jpg
6.25 전쟁 당시 북한군이 사용 중인 모습. 심지어 대한민국 국군도 노획해서 사용한 사례가 있다.#
핀란드는 이를 기반으로 M/09-21과 M/32-33으로 개량하였다. PM1910을 카피한 M/09-21와는 다르게 M/32-33은 대공 기관총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며, 최대 850발로 분당 발사속도가 빨라졌다.

제식 채용된 지 100년이 넘었지만 지금도 일부 국가에서는 치장물자로 보관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21세기의 분쟁지역에서 실전투입되는 일도 벌어지고 있다. 시리아 내전에 등장했으며, 돈바스 전쟁에서도 치장물자로 보관된 것을 우크라이나군이 꺼내서 쓴다는 듯. 전쟁이 참호전 양상으로 오래 이어지면서 맥심 기관총이 활용될 여지가 있었다.[6]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도네츠크 반군이 사용한 PM M1910이 헤르손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후술하다시피 탄 수급에 문제가 없고 지속사격능력은 오히려 현용 기관총보다 나아서 일선에서 좋아한다는 듯.

우크라이나군도 키이우 등 후방지역에서 러시아군 드론 요격용으로 쓰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100년이 넘은 구형 무기에 현대적인 광학장비를 장착한 모습이 특이하다. 해당 기관총을 운용하는 우크라이나군 지원병을 인터뷰한 로이터 기사

진짜 골동품이 된 타국제 맥심과 달리 소련제 맥심이 이렇게 100년이 넘도록 쓰일 수 있는 큰 이유는 바로 탄약이다. 현재는 군용으로는 사장된 탄을 쓰는 다른 맥심 계열 기관총과 달리, 이 기관총의 사용탄은 현대에도 널리 쓰이는 탄종이라 탄약 호환 문제도 거의 없다. 탄띠 또한 기존 PK 계열의 물건과 서로 호환이 가능하기에 별 문제 없이 쓸 수 있는 것이다.

아예 탄 수급이 원활하다는 특징 덕분에 탄약 수급이 힘든 타국 맥심 기관총들의 노리쇠 부품과 총열을 이 녀석의 것으로 교체하기도 한다. 주로 똑같이 수량이 많고 구조상 차이가 적은 MG08에 자주 PM1910의 부품이 끼워지는 편이다.
Forgotten Weapons의 리뷰
MG08과 PM1910의 호환성이 역으로 작용하기도 했는데, 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에서는 노획한 러시아제 맥심을 7.92X57mm 마우저탄을 사용하게 개조를 해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독일의 MG08과 사용 탄을 제외하면 설계가 큰 차이가 없었기에 부품 교체가 쉬워서 가능한 일.

3.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3.1. 영화 및 드라마

3.2. 게임

  • 레드 오케스트라 2
    소련군의 고정식 중기관총으로 등장한다. 게임 내 유일한 수랭식이라 그런지 과열이 없고, 찰찰찰찰 거리는 총성과 함께 100발들이 탄창으로 마구 쏴대는 손맛이 일품. 하지만 녹색 예광탄으로 어그로를 잔뜩 끌기 때문에 손만 내밀고 사격하는 법을 익혀야 한다.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PM M1910이 소련군의 중기관총으로 등장한다. 원래 거치 시간이 엄청나게 빠르고 대신 사격각이 좁은 컨셉이었으나 여러 패치를 거친 후 현재는 사격각이 그리 넓지는 않고 제압 속도도 독일의 MG42보다 느린 유닛이 되었다. 뉴비들 상대로는 그럭저럭 쓸만하지만 고수 독일 유저들은 쉽게 우회할 수 있다. 그래도 장점이라면 소련 특징으로 분대원이 6명이라 생존성은 꽤 좋은 편이라 몇몇 빌드에선 여전히 사용된다.[7] 애초에 이거라도 없으면 다른 아군의 기관총팀이 전사하거나 적군 기관총팀을 우회하고 죽여서 노획[8]할 수 있길 빌어야 한다.

4. 에어소프트건

PM 1910형을 전동건으로 제작한 사람이 있다!

5.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보병장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겨울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M1891/30, M1938, М1944
레버액션 소총 M1895
반자동소총 SVT-38, SVT-40, SKS, M1 카빈L
자동소총 표도로프 자동소총, AVS-36, AVT-40, AS-44, AK-45
기관단총 PPD-34, PPD-38, PPD-40, PPK-41, PPSh-41, PPS-42, PPS-43, 톰슨 기관단총L, M50 레이징L
권총 M1895, M1921, TK, TT-30, TT-33, M1911L
지원화기 기관총 PM M1910/30, 맥심-토카레프, DP-28, DPM, DT, DTM, ShKAS, DShK, DS-39, LAD 기관총, SG-43, RD-44, 브렌 경기관총L
대전차화기 RPG-40, PTRD-41, PTRS-41, VPGS-41, RPG-43, RPG-1, M1 바주카L, PIATL
화염방사기 ROKS-2, ROKS-3
박격포 37mm VM-37, 50mm RM-38/40, 82-BM/PM-36/37/41/43
유탄 F-1, RG-14/30, RGD-33, RG-42
지뢰 PMD-6M, PMD-7, PMD-57, POMZ-1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으로 지원받음
취소선 :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핀란드군 보병장비
파일:핀란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겨울전쟁제2차 세계 대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ff,#393b42>M/91, M/27, M/39, M/94, M/96, Kar98k, M/38
반자동소총 M/38, M/40
자동소총 표도로프 자동소총, AVT-40, AVS-36
기관단총 KP/-31, M/20, MP28, M/41, M/42, M/43, M/44
권총 M/03, M/1910, M/19, M/35, M/15, M/34, L-35, M/23, 아스트라 400, M/39, M/96, P08, M/1895, TT-33
지원화기 경기관총 M/26, M/21, M/15, M/20, DP-28
중기관총 M/09-21, M/32-33, MG08, M/14, 빅커스 Mk.I, ShKAS, DS-39
대전차화기 kiv M/37, L-39, kiv M/38, kiv M/18-S,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
화염방사기 M/40, M/41-R
유탄 M24, 몰로토프 칵테일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군 보병장비
파일:폴란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Mle 1886/93, Mle 1907/15, Kb wz.98, Kb wz.98a, Kbk wz.29, Kbk wz.91, Kbk wz.98, 리-엔필드W
반자동소총 Kbsp wz.38M, SVT-40E
기관단총 Pm wz.39, MP18W, 스텐 기관단총W, 톰슨 기관단총W, PPSh-41E, PPS-43E
권총 Wz.30, Wz.32, Wz.35 Vis, TT-33E, 루비, 하이파워
지원화기 경기관총 Rkm wz.28, 루이스 경기관총W, 브렌 경기관총W, DP-28E
중기관총 Ckm wz.25, Ckm wz.30, Ckm wz.32, wz.1910E
대전차화기 Kb ppanc wz.35, PIATW
박격포 Granatnik wz.36,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유탄 wz.33
※윗첨자W: 자유 폴란드군/폴란드 서부군
※ 윗첨자E: 폴란드 인민군/폴란드 동부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불가리아군 보병장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불가리아 왕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M1895, Kar98k, M91/30A
기관단총 ZK-383, MP34, MP40, PPSh-41A, PPS-43A
권총 P08, 발터 PP, Vz.38, TT 권총A
지원화기 기관총 마드센 경기관총, MG 07/12, MG08, MG15, MG34, PM M1910A, DP-28A, 브렌 경기관총A
대전차화기 졸로투른 S-18, 라케텐판처뷕세, 판처파우스트
수류탄 M24
박격포 8 cm 그라나트베르퍼 34, 브랑 Mle 27/31
※ 윗첨자A : 1944년 이후부터 사용
}}}
||<tablebordercolor=#fff,#333><tablewidth=100%><bgcolor=#fff,#333> ※둘러보기 :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



제2차 세계 대전의 중화민국 보병장비
파일:대만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국민혁명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마우저 M1871, 88식 소총, 24식 소총, Vz.24, Wz.29, Kar98k, 스프링필드 M1903L, M1917 엔필드L, 리-엔필드L, 모신나강, 카르카노 M1891, 만리허 M1886, 만리허 M1888, 81식 카빈C
반자동소총 ZH-29, M1 개런드L, M1941 존슨L, M1 카빈L
기관단총 MP18, SIG M1920, 마우저 M712, MP34, 스텐 기관단총L, 톰슨 기관단총, M42L, PPD-40C, PPSh-41C, PPS-43C
권총 C96, P08, M1914, 발터 PP, M1900, 루비, 콜트 M1903, FN M1922, 브라우닝 하이파워, TT-30, TT-33, M1911A1L, M1917L, FP45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Vz.26/30, 마드센 M1902, MG13, DP-28C, 루이스 경기관총, 맥심-토카레프C, 호치키스 M1922, 라티-살로란타 M/26, SIG KE7, Wz.28, FN M1930, 브렌 경기관총L
중기관총 PM M1910, 24식 중기관총, ZB-53, 호치키스 M1914, 30식 중기관총, M1919 브라우닝L
대전차화기 PTRD-41C, 바주카L, 보이스 대전차 소총L
화염방사기 M1A1 화염방사기, M2 화염방사기L
박격포 20식 82mm 박격포, 27년식 척탄통, 31식 60mm 박격포
유탄 23식 수류탄
냉병기 도검 대도
※ 윗첨자C : 홍군이 사용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에 의한 지원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리투아니아군 보병장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리투아니아군의 보병장비
<colbgcolor=#006A44> 개인화기 <colbgcolor=#006A44> 볼트액션 소총 Gew88, Gew98, M1891/30, FN M24L, P14
기관단총 MP18, MP34
권총 나강 M1895, 마우저 C96, 루거 P08, M1911, 루비 M1914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C1272D> 경기관총 마드센 경기관총, MG08/15, Vz.26
중기관총 MG08, PM M1910, MG34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발트3국의 운용무기체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에스토니아군 보병장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에스토니아군의 보병장비
<colbgcolor=#0072ce> 개인화기 <colbgcolor=#0072ce> 볼트액션 소총 Vz.24, M1891/30
기관단총 M23, KP/-31
권총 나강 M1895, 브라우닝 하이파워
지원화기 경기관총 마드센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중기관총 PM M1910
대전차화기 졸로투른 S-18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발트3국의 운용무기체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러시아 해방군 보병장비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2차 세계 대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ff,#393b42>모신나강, Gew98, Kar98k
반자동소총 SVT-40, Gew43
자동소총 StG44
기관단총 PPSh-41, MP28, MP38, MP40
권총 M1895, TT-33, C96, P08, P38
지원화기 기관총 M1910/30, DP-28, MG34, MG42
대전차화기 판처파우스트
유탄 RGD-33, M24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해방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에티오피아군 보병장비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에티오피아군의 보병장비
<colbgcolor=#FCDD09> 개인화기 <colbgcolor=#FCDD09> 볼트액션 소총 카르카노, 리-엔필드, 모신나강
기관단총 MAB 38, 스텐 기관단총
권총 웨블리 리볼버, M1895, M1910, M1934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DA121A>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Vz.26, 브레다 M30, 브렌 경기관총
중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PM M1910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에티오피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의 튀르키예 보병장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튀르키예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Gew71/87, Gew88/05, 마우저 M1890, 마우저 M1893, Gew98, Vz.98/22, 마우저 M1903, Vz.24, 모신나강 M1891/30, Kar98k, 베르티에 M1916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기관단총 MP18, 스텐 기관단총
권총 S&W M3, C96, P08, FN M1903, FN M1910/22, 베홀라 M1915, 프로머 슈토프, Vz.27, 발터 PP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G08/15, Vz.26, MG15nA, MG34
중기관총 MG08, M1907/12, 빅커스 기관총, PM M1910, 호치키스 M1914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몽골 인민 공화국군 보병장비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DA2032> 제2차 세계 대전
몽골 인민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DA2032> 볼트액션 소총 M91/30
기관단총 PPSh-41, PPS-43
권총 M1895, TT-33
지원화기 기관총 DP-28, PM M1910, SG-43, DShK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스페인 내전기의 공화군 보병장비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스페인 내전
스페인 공화국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마우저 M1893, 베테를리 M1870/87, 그라 M1874, 크로파첵 M1886, 르벨 M1886, 베르티에 M1907/15, 만리허 M1886, 만리허 M1888, Gew88, M1891/30, Vz.24, Wz.29, 로스 Mk.III, 리-엔필드, M1917 엔필드, 30년식 소총, 35년식 소총, 38식 소총
레버액션 소총 M92 "엘 티그레", 윈체스터 M1895
기관단총 MP28, EMP35, 라보라 M1938, KP/-31, PPD-38
권총 베르크만 M1903, 베르크만 M1908, 아스트라 400, 아스트라 900, C96, M1895
기관총 M1895, PM M1910/30, 호치키스 M1914, 호치키스 M1922, 쇼샤, 루이스 경기관총, KE7, Wz.30, M1918 브라우닝, 맥심-토카레프, DP-28, DT-29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스페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나치 독일군의 보병장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Gew71V, Gew88/05V, Gew98, Kar98b, Kar98k, VG1V, VG2V, VG3V, VG4V, VG5V
반자동소총 G41, G43, MP507V
자동소총 FG42, MKb42, MP43, StG44
컴비네이션 건 M30
기관단총 MP18, MP28, M712, MP35, EMP35, MP38, MP40, MP41, EMP44V, MP3008V
권총 M1883, C96, M1907V, P08, M1915, PPK, M1934, 38H, P38, HSc, 국민권총V, 아스트라 400, 아스트라 600/43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G08/15, MG15nAV, MG13, VMG27, MG30, MG35/36
중기관총 MG08, MG15, MG34, MG42, MG81
대전차화기 대전차 소총 M1918V, PzB 38/39, PzB M.SS.41, S-18
대전차 로켓 파우스트패트론 30, 판처파우스트 30/60/100/150, 라케텐판처뷕세 43, 54, 54/1
기타 대전차 권총, H3, H3.5
화염방사기 플라멘베르퍼 35, 플라멘베르퍼 41/42
박격포 8cm 그라나트베르퍼 34/42, 5cm 그라나트베르퍼 36, 12cm 그라나트베프퍼 42, 10cm 네벨베르퍼 35/40
맨패즈 플리거파우스트
유탄 M24, N39, M43, M39, GrB 39, 게베어그라나텐게레트
지뢰 S미네
노획무기 오스트리아 P12(ö), G29/40(ö), Gew95(ö), MP34(ö), MG07/12(ö), 8.14cm GrW33(ö)
헝가리 Gew98/40(u), P37(u)
체코슬로바키아 Gew95(t) Gew24(t), Gew33(t), Gew33/40(t),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ZH-29, ZK-383, P24(t), P27(t), P39(t), MG26(t) ,MG30(t), MG37(t), 8cm GrW36(t), 8.14cm GrW278(t)
폴란드 Gew29(p), Gew298(p), Gew98(p), Gew299(p), Kar493(p), Kar497(p), Wz.38M, R612(p), P35(p), P645(p), MG28(p), MG154/1(p), MG154/2(p), MG30(p), MG249(p), MG238(p), MG257(p), MG248(p), PzB770(p), 4.6cm GrW36(p), 8.14cm GrW31(p)
노르웨이 Gew211(n), Gew213(n), Kar411(n), Kar412(n), Kar413(n), Kar414(n), R610(n), P657(n), MG102(n), MG103(n), MG201(n), MG240(n), MG245/1(n), MG245/2(n)
덴마크 Gew311(d), Kar506(d),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6(d), P644(d), MP741(d), MP746(d), MG158(d), MG159(d), MG258(d), 8.14cm GrW275(d)
벨기에 Gew220(b), Kar420(b),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0(b), P621(b), P622(b), P626(b), P641(b), P640(b), MP740(b), MG125(b), MG126(b), MG127(b), MG220(b), MG221(b), MG222(b), 5cm GrW201(b)
네덜란드 Gew211(h), Gew212(h), Kar411(h), Kar412(h), Kar413(h), Kar414(h), P626(h), P641(h), MG100(h), MG241(h), MG242(h), MG243(h), MG244(h), MG231(h), PzB785(h), 8.14cm GrW278(h), 8.14cm GrW279(h), 8.14cm GrW286(h)
프랑스 Gew361(f), Kar561(f), Gew301(f), Gew303(f), Gew241(f), Gew302(f), Gew304(f), Gew305(f), Kar551(f), Kar552(f), Kar553(f), Gew242(f), Gew310(f), P623(f), P624(f), P625(f), MAB D, P647(f), P642(f), R654(f), R637(f), R634(f), R635(f), MP722(f), MP740(f), MP761(f), MG105(f), MG106(f), MG115(f), MG116(f), MG331(f), MG331(f), MG156(f), MG157(f), MG256(f), MG257(f), MG271(f), 5cm GrW203(f), 6cm GrW225(f), 8.14cm GrW278(f)
영국 Gew248(e), Gew280(e), Gew281(e), Gew281/2(e), Gew283(e), Gew283/2(e), Gew282(e), Gew282/3(e), R646(e), R655(e), MP748(e), MP749(e), MP750(e), MP751(e), MP752(e), MP760(e), MP760/2(e), MP761(e), MG135(e), MG136(e), MG137(e), MG138(e), MG230(e), MG341(e), PzB782(e), PzB789(e), 5cm GrW202(e)
유고슬라비아 Gew223(j), Gew361(j), Gew293(j), Gew291/3(j), Kar492(j), Gew214(j), Kar416(j), Gew252(j), Gew309(j), Gew288(j), Gew295(j), Gew307(j), Gew298(j), Gew290(j), Gew291(j), Gew291/2(j), Kar491(j), Kar491/2(j), Kar491/3(j), Kar491/4(j), Gew308(j), Kar561(j), Gew301(j), Gew292(j), Gew294(j), Gew306(j), Kar505(j), Gew302(j), Gew304(j), Kar502(j), Kar503(j), Gew301(j), P641(j), MP760(j), MG145(j), MG147(j) MG156(j), MG146/1(j), MG148(j), MG246(j), MG200(j), MG247(j), MG248(j), MG256(j), MG257(j), 7.58cm GrW229(j), 8.14cm GrW270(j)
그리스 Gew307(g), Kar561(g), Gew215(g), Kar417(g), Kar417/2(g), Gew301(g), Gew305(g), Gew502(g), Gew306(g), Kar505(g), Gew302(g), Gew285(g), R612(g), R613(g), MG136(g), MG104(g), MG152(g), MG202(g), MG156(g), MG256(g)
소련 Gew252(r), Gew253(r), Gew254(r), Gew256(r), Kar453(r), Kar454(r), Gew255(r), Gew257(r), Gew258(r), Gew259(r), Gew259/2(r), Gew260(r), R612(r), P615(r), MP715(r), MP716(r), MP717(r), MP41(r), MP718(r), MP719(r), MG120(r), MG121(r), MG320(r), MG216(r), MG218(r), MG268(r), PzB783(r), PzB784(r), HG336(r), 3,7cm SpGrW161(r), 5cm GrW200(r), 5cm GrW205(r), 8.2cm GrW274(r), 12cm GrW378(r), 12cm GrW379(r)
미국 Gew249(a), Gew250(a), Gew251(a), Gew455(a), P660(a), R661(a), R662(a), MP760(a), MP760/2(a), MP761(a), MP762(a), MP763(a), MG123(a), MG124(a), MG219(a), MG321(a), MG269(a), PzB788(a), 6cm MW219(a) NbW263(a)
이탈리아 Gew208(i), Gew209(i), Gew210(i), Gew214(i), Gew231(i), Gew240(i), Kar408(i), Kar409(i), Kar410(i), Kar416(i), Kar430(i), Gew306(i), Kar505(i), P670(i), P671(i), R680(i), MP738(i), MP739(i), MG099(i), MG200(i), MG255(i), MG259(i), MG261(i), MG350(i), PzB785(i), PzB770(i), 4.5cm GrW176(i), 8.1cm GrW276(i)
※ 윗첨자V : 국민돌격대가 사용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무기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냉전기의 소련군 보병장비
파일:소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소련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1891/30, М1944
SVT-40, SKS, SVD
AD-46, TKB-408, AK-47, TKB-517, MBC-2, TKB-579, AKM, AO-27, TKB-011, SA-01, SA-001, TKB-059, TKB-022, AO-46, AK-74, 80.002, AKS-74U, MA, AEK-971, TKB-0146, NA-2, NA-4
기관단총 PPSh-41, PPS-43, PP-71
산탄총 KS-23
권총 M1895, M1920, TT-33, TK, PM
지원화기 기관총 DPM, RP-46, RPD, RPK, RPK-74, PK, PKM
M1910/30, DTM, SGM, DShKM, NSV, KPV, GShG-7.62
유탄발사기 GP-25, GP-30, AGS-17, DP-64
대전차화기 RPG-2, RPG-7, RPO, RPO-A, RPG-16, RPG-18, RPG-22, RPG-26, RPG-27, RPG-29
9K11, 9K111, 9K111-1, 9K115
SPG-9, B-10, B-11
PTRD-41, PTRS-41
RPG-43, RKG-3
화염방사기 ROKS-3, LPO-50
박격포 PM-43, 2B9, 2B14
맨패즈 9K32, 9K34, 9K310, 9K38
폭발물 수류탄 F-1, RGD-33, RG-42, RGD-5, RGO, RGN
지뢰 PMD-6M, PMD-57, POMZ-1, POMZ-2, POMZ-2M, PFM-1, MON-50
특수전 화기 자동소총 AS Val, APS, VSS
기관단총 OTs-02, Vz.61
컴비네이션 건 TP-82
권총 TK, APS, TKB-506, 6P24, PSM, VAG-73, SPP-1, TOZ-81, PSS
유탄발사기 BS-1, GSN-19, RGS-50
냉병기 도검 6Kh2, 6Kh3, 6Kh4, 6Kh5, NRS-2
취소선 :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헝가리 인민군 보병장비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냉전기
헝가리 인민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31M, 35M, 43M, M.44, M.48, M.44/56
반자동소총 SKS, SVD
자동소총 AK-55, AK-63, AMD-65
기관단총 43M, M.48, SHE-61, M.46
권총 37M, Walam 48.M, RK-59, 토카레프 48.M, PA-63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DP-28, DPM, DTM, RPD, RPK, PK, PKS, PKT
중기관총 7/31M, PM M1910/30, DShK, KGK, SGM NSV, KPVT
로켓발사기 RPG-2, RPG-7
미사일발사기 9K11, 9K111
박격포 82-BM-37, 2B9, 120-PM-43
유탄 F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루마니아 인민군 보병장비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002b7f> 냉전기
루마니아 인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002b7f> 소총 <colbgcolor=#002b7f> 볼트액션 소총 Vz.24, Kar98k, M93, M38, M44
반자동소총 Md.56, PSL
자동소총 AK-47, PM Md.63, PM Md.65, PA Md.86
기관단총 MP28, M1941, PM Md.52
권총 Md.33, Md.74
지원화기 기관총 Vz.26, DP-28, M1910/30, MG34, Vz.37, DȘK, RPD, KPV, PM Md.64, PM Md.66, PM Md.86
유탄발사기 GP-25, Md.85
대전차화기 RPG-40, RPG-43, AG-2, AG-7, SPG-9, 9K11 말륫카, 9K111 파곳, 9M113 콘쿠르스
맨패즈 CA-94
박격포 M1988, M1977, M1982
화염방사기 LPO-50
수류탄 F-1, RG-42, RKG-3, GMM
냉병기 6Kh3, 6Kh4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루마니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핀란드군 보병장비
파일:핀란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냉전기
핀란드 국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91, M/27, M/39, M/38, 7.62 TKIV 85
반자동소총 M/40, 7.62 Tkiv Dragunov
자동소총 7.62 RK 54, 7.62 RK 54 TP, 7.62 Rk 56/Rk 56 TP, 7.62 Rk 62M, 7.62 Rk 72 TP, M82
기관단총 KP/-31, Jati-matic, M/41, M/43, M/44, 9.00 KP Sten
권총 L-35, TT-33, M/35, M/34, P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26, DP-28, 7.62 KK DPM, 7.62 KK DTM, 7.62 KK 54, 7.62 KvKK 62, 7.62 Kk PKM, 7.62 Kk PKT
중기관총 M/09-21, M/32-33, SGM, DShKM
대전차소총 L-39
유탄발사기 30 KRKK
로켓발사기 100 pshp/F1, 142 pshp/F2, 88 rakh/B 54, 55 S 55, 66 KES 75, 66 KES 88
미사일발사기 ItO 78M, PstOhj 82, PstOhj 82M, PstOhj 83, ItO 86/86M, RO-63
박격포 81 KRH 56, 81 KRH 64, 81 KRH 71 Y, 120 KRH 40
유탄 F1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채용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6.25 전쟁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보병장비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6.25 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한양 88식C, 24식 보총C, 81식 마병총C, Kar98kC, Vz.24C. 스프링필드 M1903C. M1917 엔필드C
반자동소총 SVT-40, SKS
자동소총 AVS-36C
권총 남부 권총, 나강 M1895, C96, TT-33, 발터 P38, 루거 P08C
기관단총 PPSh-41, 49식 기관단총, 50식 기관단총, PPS-43, 봉천 2형 기관단총C, 36식 기관단총C, M1921C, M1928A1C, M1A1C, MP34C, 스텐 기관단총C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1식 경기관총, 89식 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DP-28, DPM, Vz.26, Vz.30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24식 중기관총, PM M1910, DT, DTM, DShK, SG-43, KPV, MG34C
대전차화기 PTRD-41, PTRS-41, RPG-43, 52식 무반동포C
화염방사기 ROKS-3
박격포 27년식 척탄통C, 82-PM-37, 120-PM-43
유탄 F1 수류탄, RGD-33, RG-42
지뢰 목함지뢰, POMZ-1
※ 윗첨자C: 중공군이 사용
취소선 : 사용 여부에 논란이 있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헝가리 혁명 당시의 소련군 보병장비
파일:소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56년 헝가리 혁명
소련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M1891/30, M1944
반자동소총 SKS
자동소총 AK-47
기관단총 PPSh-41
권총 M1920, TT-33, PM
지원화기 기관총 DPM, DTM, RPD, PM M1910/30, SG-43
유탄 F1, RGD-33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러시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헝가리 혁명 당시의 헝가리 혁명군 보병장비
파일:헝가리 반소 시민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56년 헝가리 혁명
헝가리 혁명군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43M, Kar98k, 48M, 44/56M, M1891/30, M1944
반자동소총 SzKSz
자동소총 AK-55
기관단총 43M, 48M
권총 37M, WALAM 48M, C96, 토카레프 48M, TT-33
지원화기 기관총 슈바르츠로제 기관총, DP-28. DPM, RPD, M1910/30, SG-43
유탄 몰로토프 칵테일, F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파일:베트남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6e8b3d> 베트남 전쟁
베트남 인민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6e8b3d> 소총 <colbgcolor=#6e8b3d> 볼트액션 소총 M1886F, M1902F, MAS-36F, 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Kar98kF, 88식 소총
반자동소총 SKS, SVT-40, SVD, Vz.52, MAS-49F
자동소총 AK-47, 58식 보총, K-56, K-63L, AKM, Vz.58, StG44L, FG42L
기관단총 K-50M, PPSh-41,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M1928A1, M1A1, 마드센 M/50, M56,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권총 K-54, K-59, CZ52, C96, APSL,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B 모델 DF, MAC M1950F, P-64, 67식 권총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호치키스 M1922F, 11년식 경기관총J, 96/99식 경기관총J, DP-28, RP-46, Vz.26/30, FM 24/29F, 브렌 경기관총, RPD, Vz.59, 67식 기관총, RPKL, PK, PKML
중기관총 호치키스 M1914F, 24식 중기관총, DTM, M1910/30, MG34, MG42,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KPV
대전차화기 PIATF, B-40/50, B-41, B-10, B-11, SPG-9, 54식 무반동포, 자돌폭뢰J
화염방사기 LPO-50
박격포 10식 척탄통J, 89식 척탄통J. 50-PM-40,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55식 박격포
유탄 10식 수류탄J, 91식 수류탄J, 97식 수류탄J, 1식 수류탄, RGD-33, RG-42, RPG-43, RGD-5
지뢰 POMZ-1, POMZ-2
※ 윗첨자J/F: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 윗첨자L: 제한적 사용
※ ''기울임체'':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파일:러시아 국기.svg 현대 러시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현대의 러시아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colbgcolor=#ffffff,#191919> 볼트액션 모신나강
반자동소총 SKS
돌격소총 AKM, AKMS, AK-74, AK-74M, AK-74MR, AKS-74U, AK-12, AK-15, A-545, A-762, AN-94, MalyukC, C7A1C
저격소총 SVD, SVDM, SV-98, T-5000, T-5000M, Tochnost, OSV-96, M95C, M98C
권총 MP-443, MP-446, PL-15, GSh-18, PM, PMM, Fort-12C, Fort-17C
지원화기 기관총 RPK-74, RPK-74M, RPK-16, PKM, PKP, PKP-SP, NSV, Kord, KPV
유탄발사기 GP-30, GP-34, DP-64, RG-6, AGS-30, AGS-40
대전차화기 대전차 로켓 RPG-7V2/V1/D, RPG-26, RPG-27, RPG-28, RPG-29, RPG-30, RPG-32, RPG-76C, RPO, M72 LAWC, PSRL-1C, PzF-3C, M141 BDMC, MATADORC
대전차 미사일 9K111, 9M113, 9K115(115-1), 9K135, FGM-148C, MBT LAWC, MILANC
무반동총 SPG-9, AT4C, 칼 구스타프 M4C
박격포 2B9, 2B14, 2B25
맨패즈 9K38 Igla, 9K338 Igla-S, 9K333, FIM-92C, PPZR GromC
수류탄 RGD-5, RGO, RGN, M67C
지뢰 PFM-1, POMZ, PTKM-1R
휴대용 무인기 Orlan-10, KUB-BLA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AS Val, OTs-14, AK-103, AK-104, AK-105, AK-107, MR556, M4A3, AS-15, ASh-12.7, SR-3, A-91, 9A-91, OTs-12, AM-17
저격소총 VSS, SSG 08, HK417, G28, AWSM, VSSK, MTs-558, DVL-10, SVDK, SVLK-14S, KSVK, MTs-572, HS.50, AI AXC
특수소총 ADS, APS
기관단총 AEK-919K, SR-2, PP-93, PP-2000, PP-19, PP-19-01, PP-90M1, OTs-02, PP-91, MP5, MP7A1, MP9
산탄총 KS-23M, KS-23K, 18,5 KS-K, Vepr-12
권총 PB, PSS, Glock 17, SR-1, APS, OTs-23, OTs-33, OTs-38, SPP-1
기관총 AEK-999, GShG-7.62, PM M1910
유탄발사기 GM-94, RGS-50
냉병기 도검 6Kh2, 6Kh3, 6Kh4, 6Kh5, 6Kh9(9-1), NRS-2
C: 노획 장비}}}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현대의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2478ff> 소총 <colbgcolor=#2478ff> 볼트액션 <colbgcolor=#FFFFFF,#191919>모신나강, PTRD-41
반자동소총 SVT-40, SKS, SUB-2000D, Springfield SaintD, Adams Arms P1D MSR-15, PTRS-41
돌격소총 StG44, AKM, AKMS, AK-63D, 56식 자동소총C, PM md. 63.D, AR-M9D, AK-74*, AKS-74U, Vepr*, AK-74MC, KM-AKC, AK-103C, AK-12C, FNCD, Vz.58D, M70D, M14D, M16A2D/M16A4D, G3D, FN FALD, M4A1D, G36KD, SCAR(L/H)D, F2000D, Wz.88D, C7(A1/A2/NLD)D, MSBS GrotD, SIG516, H&K HK416D, QBZ-97, DDM4, ARX-200, M5 카빈D, MDRX, ACARD, CETME LD, FAMASD, XCR
저격소총 Fort-301*, Z-008, VPR-308*, Z-10, SVD, SVDMC, 85식 저격소총, M82*, M99, M107A1, ZVI 팔콘D, AW308D, AXD, 레밍턴 M700D, FR-F2D, M98D, SV-98C, T-5000C, OSV-96C, KSVKC, WKW 윌크D, HLR 338D, Snipex T-Rex, Snipex Rhino Hunter, Snipex Alligator, Snipex 모노마흐, Snipex M100, Savage 110, M21 SWSD, M24 SWSD, SIG SSG-3000*, SRS-A1, HTI, TAC-50, C14D, LRT-3D, CADEX CDXD, RPR*, RAR*, SIG100*, R93*, 부시마스터 BA50
기관단총 PPSh-41, PPS-43, 톰슨 기관단총, MP40, 칼 구스타프 m/45, Vz.23, MP5*, Vz.61D,KRISS VectorD, UZID, Z-84 Corto, 루거 MP9*, Fort-230
권총 PM, Makarych*, TT-33,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4, PPK, P08, PSM*, Fort-12*, Fort-14TP, MP-443C, GSh-18C,CZ75D, CZ P-07D, P-10CD, M9D, R7 MakoD, SFP9D, SIG P320, Canik TP9
지원화기 기관총 DP-27, DP-28, SGMT, RPK, RPK-74, 자스타바 M72, PK, PKM, 자스타바 M84D, MG-1MD, PKPC, KordC, KPVC, DShK, DShKM, NSV, PM M1910, RPD, Vz.59D, MG34, M53D, CETME AmeliD, MG3, MG42/59D, Ksp 58D, C6D, M240D, FN 미니미D, C9D, C9A2D, M2(A1)D, AN/M3D, M249D, M249E3D, W85, UKM-2000PD, AAT-52D, PZD 556D, MG5D, Laska K2
유탄발사기 UAG-40*, 댜코노프 총류탄, AGS-17, AGS-30C, RGM-40, RG-6C, GP-25, GP-34C, Fort-600, GM-94C, Mk.19 Mod.3D, M32D, RGP-40D, AG36D, M320(A1)D, M203D, GMGD, FN40GLD, RDS40D, 팔라트D, M11 RGDD
대전차화기 대전차로켓 RPG-7, RPG-7V, RPG-7D, 69식 화전통, ATGL-L, LGL-7D, PSRL-1, PzF 3D, RPG-16, RPG-18, RPG-22, BULSPIKE-AT, DRTG-73D, M80 Zolja, M72A5, NM72F1, M72 ECD, RPG-26, RPG-27, RShG-1, RPG-29, RPG-30C, RPG-32, RPG-76D, SMAWD, M141 BDMD, RGW-90D, APILASD
대전차 미사일 Corsar, 스키프, 쉐르쉔, 아뮬렛, 9K115-2, 9M113, 9K111, 9K135C, NLAW, FGM-148, 밀란 대전차 미사일D, TOWD, RBS 56D, 아케론 MPD
무반동총 SPG-9 "Spis", AT4D, 칼 구스타프 M4D, C90D, Pvpj 1110D, Alcotán-100D, RPO-A, RPV-16, RPG-75(M)D
박격포 82-BM-37, KBA-118, LMR-2017D, m/68D, M224 LWCMSD, 63식D, MP-60, M60-16, UB-81, UPIK-82, M60CMAD, KBA-48M, M69A, 20N5D, 2B9, 2B14, M252 MERMD, HM-16, HM-19, M84D, 2B16, Vz.82, М120-15, 2S12, 120-PM-43, MP-120, 120 KRH 92D, Mod.63D, MO-120-HBD, M120 BMSD, M240
견인포 122mm 2A18 D-30, 85mm D-44, 85mm D-48, BS-3, 100mm 2A19 MT-12, 152mm M1955 D-20, M-46, 150mm 2A65, 152mm 2A36, M2A1D, M101D, {M114}D, M119D, L119D, M777D, FH70D, TRF1D, Mod.56D
대공포 보포스 40mm 포D, 57mm S-60, KS-19, L/70D, ZU-23, 자스타바 M55D, 자스타바 M75D, 72-K, 오리콘 GDF, {MANTIS}
맨패즈 9K310, 9K38, PiorunD, 9K32, 9K34, FIM-92, Starstreak HVM, 미스트랄D, LWM 마틀렛D, SungurD, RBS 70D, Anza 2D
자폭 무인기 스위치블레이드 300/600D, 피닉스 고스트D, UJ-32 Lastivka, 라텔-S
지뢰, 폭약 TM-57, TM-62M, PTM-3, MON, UDSh, AT2D, DM12 PARM-2D, PTKM-1RC, DM-31D, M18A1D, Mini HailstormD, POMZ, PFM-1, HPD-2A2D, M/47D, M/56D, Mi AC AH F1D, FFV-028D, M/52D, PMN, RAAMD, PK-14D, PT Mi-BaD, YaRM, M112D, M/97D, KZ-6, C4D, M1 관형폭약D, UR-83P, Minröjningsorm 1D
수류탄 F1 수류탄, RG-42, RGD-2, RGD-5, RKG-3, M67, OF 37, DM41D, DM51D, DM61D, M/54D, L109D, Zarya-3, RGR, RG-60TB, Sirpalekäsikranaatti M50D, F1D/N, GHO-1D, Mecar M72D, M50 P3D, M18D, DG-01, L83A2, L84A3
<colbgcolor=#ffe400> 특수전 화기 소총 돌격소총 Fort-221, Fort-223, Fort-224*, MCX, ACR, AS Val, ASM ValC, Malyuk, WAC-47, Z-15, Fort-227, Fort-228, Fort-229, CZ 브렌 2D, AUG HBARD, AK-105C, C8D, 헤넬 MK556, CR 308D. DD Mk.18D,SIG716
저격소총 VSS, TRG-22, T3, TS.M.308, TS.M.338, HS.50, M110 SASS, CheyTac Intervention, Horizon's Lord, 베레타 Victrix Corvus*, 바렛 MRAD, SAN 511*, Mk.14 EBRD, HK417D, VSSKC
특수소총 APS
기관단총 스콜피온 EVO 3, P90, PP-91C, MPX, APC9 PRO*, B&T MP9*
산탄총 Saiga-12*, Fort-500, Fort-500T, Fort-500M*, KS-23, 모스버그 500D, 베넬리 M4D, TOZ-87, BTS12*, RS S1, CZ1012, Target X7
권총 스테츠킨 APS, SPP-1, Fort-17, Fort-20, Fort-21, PB, 글록 17/19/45D, Fort-15, 나강 M1895, CZ82D
기관총 Fort-401
수류탄 RGO, RGN, Mk.14 Mod 0 ASMD, RGT-27S, RGT-27S2
*: 우크라이나 내무부 예하에서 사용
C: 노획 장비
D: 여러 국가들에서 지원물자로 기증
{중괄호}: 도입 예정 장비
N: F1 수류탄과 이름만 같은 현대적인 호주산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견인하기 쉽게 바퀴를 달았고, 뒷부분은 안쪽으로 접을 수 있다. 이는 SG-43의 삼각대도 마찬가지.[2] 2차 대전기에 생산성을 위해 일체형 전용 삼각대는 생략되고 그냥 차대만 남게 된다.[3] 물론 초기 모델은 이런 물 주입구가 없었고, 수랭식 커버도 밋밋했다.[4] 백군도 운용한 것을 보면 이 개념은 기동전이 주였던 1차대전 동부전선 당시부터 있었던 것 같다.[5] 그 예로 한국전쟁 당시 북한군이 사용한바 있다.[6] 전선의 위치가 별로 변하지 않고 장기간 대치하거나 방어전만 하는 상황이라면, 이런 구식 수랭식 기관총도 선택지로서 제법 괜찮다. 무겁긴 해도 신뢰성은 비교적 충분하고, 지속사격능력만큼은 현대의 다목적 기관총보다 우수하니까. 1차대전 때 그 살상력을 보여준 것이 그냥 나폴레옹 전쟁 때처럼 대책 없이 북치고 장구치며 행군하는 대열을 쓸어버린 게 아니라, 나름 현대전에 가까운 산개대형으로 최대한 조심하며 전진했는데도 탄막으로 쓸어버린 것이다. 물론 구형 수랭식 기관총 한 정을 쓰는 것보다는 더 적은 인원으로 운용 가능한 현대 다목적 기관총을 여러 정 쓰는 것이 더 유리하기는 하지만, 현대식 기관총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구형 수랭식 기관총도 충분히 쓸 만하다.[7] 여러 패치와 서독 등 진영이 다양해져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8] 대부분 국방군 진영의 MG42를 징집병이나 값싼 유닛으로 날름 먹을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4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