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Metford 리-메트포드 | |||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볼트액션 소총 | ||
원산지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1888년~현재 | ||
개발 | 제임스 패리스 리, 윌리엄 엘리스 메트포드, RSAF 엔필드[1] | ||
개발년도 | 1888년 | ||
생산년도 | 1888년~1896년 | ||
생산수 | 500,000~1,000,000정 | ||
사용국 | [[영국| ]][[틀:국기| ]][[틀:국기| ]] [[인도 제국| ]][[틀:국기| ]][[틀:국기| ]] [[캐나다 자치령| ]][[틀:국기| ]][[틀:국기| ]] [[파라과이| ]][[틀:국기| ]][[틀:국기| ]][2] [[티베트| ]][[틀:국기| ]][[틀:국기| ]] [[에티오피아 제국| ]][[틀:국기| ]][[틀:국기| ]] | ||
사용된 전쟁 |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보어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아일랜드 독립 전쟁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 ||
기종 | |||
파생형 | 리-엔필드 MLM Mk.II MLM 카빈 찰튼 자동소총 | ||
세부사항 | |||
탄약 | .303 구경[흑색화약] .303 브리티시[무연화약] | ||
급탄 | 8연발 | ||
작동방식 | 볼트액션 | ||
총열길이 | 757mm | ||
전장 | 1,257mm | ||
중량 | 3.827kg | ||
발사속도 | 12RPM | ||
탄속 | 620m/s | ||
유효사거리 | 730m | ||
최대사거리 | 1,600m | }}}}}}}}} |
[clearfix]
1. 개요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2. 역사
2.1. 출발
당시 영국군의 제식소총이었던 후장식 소총인 마티니-헨리 소총[6]이 시대의 대세인 볼트액션[7]으로 넘어가기 위해 도입한 소총이다. 스코틀랜드 태생의 미국인 개발자 제임스 패리스 리(James Paris Lee)[8]가 미 육군에게 스프링필드 M1861 라이플 1000정을 무연화약으로 개조하는 임무를 맡음으로써 리-메트포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2.2. 리-메트포드
보어 전쟁 당시 리-메트포드를 사용하던 영국군. |
리는 8발 단엽탄창, 60도 각도의 노리쇠 회전 설계본을 미 육군에 제안했으나 보수적인 미 육군은 이를 거절하였다. 대신 미 해군이 주관한 경진대회에서 게오르크 루거의 6mm 소총을 꺾고 리-네이비로 제식선정된다. 이후 본국인 영국으로 건너가 영국 육군에 설계본을 제안하였다. 영국 육군은 이에 관심을 보이고 영국의 설계가인 윌리엄 엘리스 메트포드(William Ellis Metford)가 7조우선 총신을 결합하여 설계본을 완성하였다. 이후 1893년 개량본 Mk.II 버전에서 리 탄창 시스템을 적용시켰다.
영국군은 이걸 들고 보어 전쟁에 나갔다. 그러고선 독일의 게베어 1888과 붙었다. 그러나 무연화약탄을 사용하는 소총을 흑색화약을 사용하는 소총이 이길 리가 만무했다. 영국군은 압도적인 물량과 선진적인 전술교리로 겨우 밀어 붙여 트란스발 공화국과 오라녜 자유국을 얻었다.[9]
2.3. 리-엔필드
언제나 그렇듯 군대에서 오래된 무기는 퇴출되기 마련이다. 특히 500년이나 써온 것이라면 두말할 것도 없다.해가 지지 않는 나라에서 이걸 보고만 있을 순 없었을 것이다. 이미 2년 전 부터 르벨 M1886같은 총기들은 무연화약을 사용하였고 같은 해 만들어진 게베어 1888같은 소총을 보았을때도 마찬가지였다. 분명히 이건 시대를 역행하는 일이었다.
그래서 새로운 탄을 만들고 총을 개조하였다. 하지만 급하게 총을 개조하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바로 총이 작동을 안한다.[10] 그래서 그 나라는 아예 새로운 총을 만들었다. 이름하여 리-엔필드. RSAF 엔필드가 총을 개조하여 무연화약 소총으로 탈 바꿈 시킨다.
2.4. 리-스피드
본래는 민수용으로 생산된 하위 호환 격 이나 성능이 리-메트포드 보다 더 좋았다고 한다.2.5. 전장
사실 이걸 만들 때 이미 전 유럽의 군대가 단발 볼트액션 소총을 사용하고 있었기에 큰 성능차이를 느끼지 못했고 그 결과가 바로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이다.[11]이후 전장에선 어느 정도 굴러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부터 시작해서 여러 굵직굵직한 전쟁엔 나오는 형식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선 카빈형이 리-엔필드 소드 오프 버전과 함께 영국군의 제식 카빈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시대가 시대인지라 소수밖에 채용되지 못했고, 차코 전쟁 이후엔 더 이상 보기도 힘들어졌다.
이후 냉전 시기에도 몇몇 예비군들이 돌려 쓸 정도로 오래 사용되었다. 심지어 캐나다군은 21세기까지 보유하고 있었을 정도이다.
현재 아프가니스탄 같은 중동의 분쟁지역에서 일부 사용되고 있다.
3. 민간 시장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상업용으로 생산되어 민간 사수들의 손에 쥐어진 바가 있다. 그러다 총덕의 나라인 미국으로가 판매가 되고 있는데, 가격이 무척이나 비싸다. 이 총의 명중률이 괜찮다는 소문이 함께돌아 수요가 더욱 많아져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았다.4. 둘러보기
2차 보어전쟁기의 영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C8102E> 제2차 보어 전쟁 영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C8102E> 볼트액션 소총 | MLM Mk.I*, Mk.II, SMLE Mk.I, Mk.I*, Lee-Speed No.1 | ||
단발 소총 | Snider Mk.II, Martini–Henry Mk.III, Mk.IV | |||
권총 | Colt M1878, Enfield Mk.I, Mk.II, Webley-Fosbery, Webley Mk.I, Mk.II, Mk.III, Mk.IV, C96, Colt New Service | |||
지원화기 | 기관총 | Nordenfelt, Maxim Mk.I, Colt M1895 | ||
화포 | Armstrong gun, QF 1-pounder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영국군의 운용장비 | 근대 보병장비 | }}}}}}}}} |
의화단 진압 당시의 8국 연합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0435> 의화단 운동 8개국 연합군의 보병장비 · · · · · · · | ||||
개인화기 | <colbgcolor=#000435> 소총 | <colbgcolor=#000435> 볼트액션 | 리-메트포드, 리-엔필드, 르벨 M1886, Gew88, Gew98, 베르단, 모신나강, 스프링필드 M1896, 리-네이비, M1888, M1895, 베테를리 M1870/87, 카르카노, 22년식 소총, 30년식 소총 | ||
폴링ㆍ롤링ㆍ리프팅블록 / 트랩도어 | 마티니-헨리, 크른카 M1867, 베른들 소총, 레밍턴 롤링블럭, 스프링필드 M1873 | ||||
권총 | 엔필드 Mk.II, 웨블리, MAS 1873, Mle 1892, 라이히 M83, 마우저 C78, 마우저 C96, S&W M3, 나강 M1895, 콜트 M1873, 콜트 M1892, 가서 M1870, 라스트&가서 M1898, 보데오 M1889, 26년식 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노던펠트, 개틀링 기관총, 가드너, 맥심, M1895 콜트-브라우닝, 스코다 M1893 | |||
화포 | QF 1파운더, RML 9파운더, 75mm 크뢰소 QF, Mle 1897, 크루프 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무기체계 둘러보기 : · · · · · · · | 근대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MLM Mk.II, SMLE No. III, No. 4 Mk.I, Ross Mk.III, M1917 Enfield | ||
반자동소총 | M1 Carbine | ||||
레버액션 소총 | Winchester M1894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II, Mk.III, Mk.V, M50 Reising | ||||
산탄총 | M1897, M37 | ||||
권총 | Webley Mk.VI, Browning Hi-Power, M1911A1, S&W Victory Model, S&W Triple Lock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Lewis Mk.III Mk.IV, Bren Mk.III Mk.IV, Browning M1918, M1941 Johnson | ||
중기관총 | Vickers Mk.I, Browning M1917, Browning M1919, Mk.II | ||||
대전차화기 | Boys Mk.I, Mk.II, PIAT, M9 | ||||
화염방사기 | Flamethrower, Portable, No.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SBML 3 Inch Mortar | ||||
유탄 | Mills No.36M,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호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c3b091,#6e5b3c> 제2차 세계 대전 호주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c3b091,#6e5b3c> 볼트액션 소총 | MLM Mk.II, SMLE No. 1 Mk.III, No. 5 Mk.I | ||
기관단총 | M1928A1, Owen Mk.I, Sten Mk.II, Mk.V, Austen Mk.I, Mk.II | |||
권총 | Webley Mk.VI, Browning Hi-Power, S&W Victory Model | |||
지원화기 | 기관총 | Vickers Mk.I, Lewis Mk.III Mk.IV, Browning M1917, Browning M1919, Bren Mk.I, Mk.II | ||
대전차화기 | Boys Mk.I, Mk.II, PIAT | |||
화염방사기 | Flamethrower, Portable, No.2, M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ML 3 Inch Mortar | |||
유탄 | Mills No. 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호주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d98880> 제2차 세계 대전 뉴질랜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d98880> 볼트액션 소총 | MLM Mk.II, SMLE No. 1 Mk.III, No. 5 Mk.I | ||
기관단총 | M1928A1, Owen Mk.I, Sten Mk.II, Mk.V | |||
권총 | Webley Mk.IV, Browning Hi-Power, S&W M&P, P08 | |||
지원화기 | 기관총 | Charlton Automatic Rifle, Lewis Mk.III Mk.IV, Vickers Mk.I, Bren Mk.I, Mk.II | ||
대전차화기 | Boys Mk.I, Mk.II, PIAT | |||
유탄 | Mills No. 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뉴질랜드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인도 제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b22222> 제2차 세계 대전 인도 제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b22222> 볼트액션 소총 | MLM Mk.II, SMLE No. 1 Mk III, No. 4 Mk I, No. 5 Mk I, Pattern 14 | ||
기관단총 | M1928A1, M1, Sten Mk.II, Mk.III | |||
권총 | Webley Mk.IV, M1910, M1911A1, Pistol No.2 Mk.I | |||
지원화기 | 기관총 | Lewis Mk.II, Mk.III, Vickers Mk.I, Vickers-Berthier Mk.III, Bren Mk.I, Mk.II | ||
유탄 | Mills No. 36M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인도 제국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2차 보어전쟁기의 보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보어 전쟁 보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마우저 M1895, M1897, 베테를리 소총, 게베어 1871, 크라그-에르겐센, 크로파첵 소총, 리-메트포드, 리-엔필드 | |||
레버액션 소총 | 윈체스터 M1876 | ||||
단발 소총 | 레밍턴 롤링블럭, 마티니-헨리 소총 | ||||
권총 | 콜트 M1873, 라이히 M83, 레밍턴 M1875, 마우저 C96 | ||||
지원화기 | 기관총 | 맥심 기관총 | |||
화포 | 155mm 크뢰소 "롱 톰" 야포, 크루프 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남아공의 운용장비 | 근대 보병장비 | }}}}}}}}} |
차코 전쟁기의 파라과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CE1126> 차코 전쟁 파라과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colbgcolor=#0038A8> 볼트액션 소총 | 마우저 M1895, 리-메트포드, 마우저 M1907, M1909, M1924, 베테를리-비탈리 M1870/87/15, FN M24/30, Vz.24, Vz.33 | |||
기관단총 | VMP30, 톰슨 기관단총 | ||||
권총 | S&W M&P, FN M1900, FN M1903, 콜트 M1903, 만리허 M1905 | ||||
지원화기 | 기관총 | 맥심 기관총, 콜트-브라우닝 M1895, 마드센 경기관총, 브라우닝 MG38, MG40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파라과이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왕립 소화기 공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c7c7c7,#353535> 왕립 소화기 공장의 생산 총기 | ||
리볼버 | Mk I · Mk II · No.2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 바이퍼 기관단총 | ||
소총 | <colbgcolor=#c7c7c7,#353535> 단발 | P53 · 스나이더-엔필드 · 마티니-헨리 소총 | |
볼트액션 | 리-메트포드 · 리-스피드 · 리-엔필드 · P14 · 보이스 대전차 소총 | ||
반자동 | L1A1 | ||
자동 | EM-1 · EM-2 · SA80 | ||
기관총 | 브렌 경기관총 · L7 | ||
기관포 | ADEN · RARDEN | ||
라이엇 건 | ARWEN 37 |
[1] 리-엔필드의 설계를 통한 간접적 참여[2] 차코 전쟁 당시 일부를 수입해 사용했으나, 당시 스페인산 M1927이 주력소총 이었다.[흑색화약] [무연화약] [5] 초기형인 이 소총의 설계외형을 계승한 No.1 MK.1 모델[6] 그렇게 오래 쓴건 아니다.[7] 당시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이 단발 볼트액션 소총을 사용했다.[8] 12살 때부터 동네에서 총을 만들고 다녔다고 한다.[9] 양 국가의 전력은 거의 민병대나 다름 없었다.[10] 원래 영국 총이 다 이렇다.[11] 이야기를 보태자면, 사실 성능은 독일군의 드라이제보다 더 최신형인 프랑스의 샤스포 소총이 더 좋았으나, 독일군 장교들과, 프랑스군 장교들의 능력 차이가 너무 심해 독일군이 이길 수밖에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