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기의 화평건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화평건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000096>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88식 소총, 24식 소총, Vz.24, Wz.29, Kar98k, 38식 소총, 만리허 M1895, 카르카노 | ||
기관단총 | MP18, SIG M1920, 톰슨 기관단총 | |||
권총 | C96, 남부 권총, 북지 19식 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Vz.26, 24식 중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3년식 기관총, 쇼샤 | ||
박격포 | 27년식 척탄통 | |||
유탄 | 23식 수류탄, 91식 수류탄, 97식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중화민국의 운용장비 | 중국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필리핀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 2차 세계대전 필리핀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M1899, M1893,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P14, M1917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42, M3 | ||||
산탄총 | M1897, M1912, Auto-5 | ||||
권총 | 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M1911, M1917, 웨블리 리볼버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ff0000> 경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M1918 | ||
중기관총 | M1895,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 M1919, M2 | ||||
대전차화기 | 바주카 | ||||
화염방사기 | M1, M1A1, M2 화염방사기 | ||||
유탄 | 91식 수류탄, 10식 수류탄, 97식 수류탄, Mk.2 | ||||
박격포 | M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태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태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45식 소총, 66식 소총, 99식 소총,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카빈 | ||||
기관단총 | MP18, 100식 기관단총 | ||||
권총 | 남부 권총, M1911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66식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92식 중기관총, M1917 브라우닝, 빅커스 기관총 | ||||
대전차화기 | 97식 자동포 | ||||
박격포 | 10식 척탄통 | ||||
유탄 |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97식 파쇄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태국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2차 세계대전기의 한국독립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 2차 세계대전 독립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 Gew71, 그라 소총, 13년식 소총, 베르단, Kar98k, Gew88, 88식 소총, Gew98, Vz.24, 24식 보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 |||
권총 | C78, M1879, Mle 1873, Mle 1892, 웨블리 리볼버, M1895, 26년식 권총, C96, 14년식 권총, 94식 권총, M1911, P08, TT-33,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맥심 기관총, M1895/14, 루이스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 ||
유탄 |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97식 파쇄 수류탄, 밀즈 수류탄, F1,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한국광복군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九一式手榴弾 (きゅういちしきてりゅうだん)
10식이나 91식은 특유의 안전캡 구조 때문에 부비트랩으로 쓸 수 있다. 안전핀과 안전캡을 뽑고 그 위에 판자를 살짝 올려놓은 구조로 바닥에 심어두면, 누가 밟았을때 점화해서 터지는 것이다. 혹은 대나무 반 쪼갠 거로 수류탄을 거꾸로 들고 있는 미끄럼틀(?)을 만들고, 안전핀을 헐겁게 끼우고 인계철선을 안전핀에 묶어 길을 가로지르게 설치한다. 인계철선을 건드리면 안전핀이 빠지면서 수류탄이 대나무 미끄럼틀을 타고 떨어져 밑에 있는 돌멩이와 부딪혀 충격으로 점화한다.
물론 어느 방식이든 그냥 쓰면 지연신관의 지연시간이 너무 길어서 적이 도망칠 시간을 주므로 지연신관을 개조하는 것은 필수다.
하지만 10식이나 91식이나, 신관의 불량스러운 제조 탓에 7~8초의 지연신관이 항상 정확하게 들어맞지 않았다. 어떤 때는 5초도 안 돼서 터지거나 어떤 때는 10초 넘게 걸리는 일도 있었는데 이정도로 끝나면 운이 좋은 경우고 만일 운이 없다면 안전캡을 누르자 마자 폭발한다. 다만 폭발 지연시간이 각 수류탄마다 미묘하게 일치하지 않는 문제는 당시에는 물론이고 현대 수류탄들도 피해갈 수가 없는 문제다. 괜히 수류탄 사용 교육에서 신관 점화 확인 후 1~2초정도 기다렸다 던지는 행위는 매우 위험하니 절대 하지 말라고 가르치는 게 아니다. 5초짜리 지연신관은 3초만에 터진다는 군대식 농담도 있을 지경.
그리고 보병용으로 쓰기에는 지나치게 긴 지연신관 시간 때문에, 투척용으로는 97식이 채용된다. 하지만 97식의 보급이 시원찮아서 일선에서는 91식의 신관을 짧게 개조해서 쓰는 일이 흔했다. 이 짧게 자른 퓨즈를 장착한 야전 개조형 수류탄은 원래 척탄통 부스터를 넣는 자리를 도려내고 새 퓨즈 부품을 끼워넣은 다음 하단을 흰 색으로 칠했다. 고로 91식인데 밑바닥이 흰색이면 4초짜리 신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2차 중일 전쟁때 97식과 함께 일본 보병의 표준 수류탄으로 사용했다.